$\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후마네트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낙상 관련 체력요인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umanet Exercise Program on Fall Down-Related Physical Fitness Factor and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Peopl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5 no.2, 2017년, pp.33 - 42  

김혜정 (사랑심리발달재활센터) ,  방요순 (광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손보영 (빛고을전남대학교병원) ,  오은주 (동아보건대학 작업치료과) ,  황민지 (광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fumanet exercise program on the cognitive function and fall down-related physical fitness factor in elderly people. Method: The study period was May 2-June 24, 2016. The participants included 20 elderly persons (control group 10, experimental group 1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후마네트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고령 노인의 낙상 관련 체력요인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령 노인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낙상 위험률이 어떠한가? 고령 노인의 뼈대 근육군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근력의 감소가 급격하여 낙상 위험률이 10배 정도 높다(Miller,2002). 하지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 감소는 젊은 노인보다 약 40 %의 감퇴를 더 초래하여 낙상의 잦은 빈도와 심각성을 드러낸다(도현경과 임재영, 2015).
노인의 낙상 위험성과 불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은 무엇인가? 노인의 낙상은 건강의 취약성과 기능 수준의 저하를 느끼게 하는 강력한 예측인자이자 사회적 문제이다(Holley,2002). 노화로 인한 하지근력, 균형, 보행능력 등의 신체기능과 의식, 지남력, 기억력, 판단력 등의 인지기능의 저하는 노인의 낙상 위험성과 불안정성을 증가시킨다(조성일,2012; Verghese 등, 2002; Jensen 등, 2003). 특히 70-80대 노인은 낙상 고위험군으로 낙상의 후유증을 심각하게 겪는다.
후마네트 운동프로그램에서 근육의 향상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 후마네트 운동프로그램은 2004년 훗카이도(Hokkaido)교육대학의 키타자와(Kitajawa) 교수팀이 노인의 보행기능개선과 낙상 예방을 위해 개발한 것으로, 밟지 않는다는 뜻의 일본어 ‘FUMSNAI(후마)’와 영어 NET(네트)’의 합성어이다(이선미, 2016). 근육의 향상보다는 운동의 진행과정 동안의 학습과정을 중요하게 생각한 운동으로, 노인의 운동 및 인지기능, 그리고 정서기능에 까지 영향을 미친다(청미디어, 2016). 프로그램의 습득 과정은 말초 조직과 시각을 비롯한 중추신경 기능의 협업을 개선시키고, 보행에 필요한 중심이동, 비틀거림, 보행과 균형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낙상을 예방한다(이선미,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권영철, 박종한(1989).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의 표준화 연구: 제1편 : MMSE-K의 개발 - PartI. 신경정신의학회지, 28(1), 125-135. 

  2. 김설향, 천영진(2013). 노인 낙상 예방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문헌 고찰.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3(2), 711-721. 

  3. 김윤지, 하주영(2010). 신체활동증진을 위한 방문 및 전화 코칭이 허약노인의 체력, 생리적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학술대회, 10, 234. 

  4. 김희, 정민예(2015). 뇌졸중 성인의 낙상 감소를 위한 1대 1 낙상 예방 교육의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5), 426-435. 

  5. 도현경, 임재영(2015). 초고령 노인의 신체기능장애와 재활 전략. 노인병, 19(2), 61-70. 

  6. 손남정, 이경옥, 안주연(2017). 넘어짐 예방 운동이 여성노인의 체력, 자세,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7(1), 237-250. 

  7. 손보영, 방요순, 황민지 등(2016). 낙상예방운동에 따른 신체기능과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2), 113-125. 

  8. 송민옥(2010). 인지운동치료에 관한 문헌고찰. 대한건강과학학회지, 7(1), 57-68. 

  9. 양지, 이환희, 강기석 등(2015). 하지근력강화중심 낙상예방운동이 노인의 신체기능 및 근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3), 1904-1919. 

  10. 유명숙(2006). 낙상으로 입원한 노인의 관련요인에 대한 조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유양경(2010). 노인의 낙상 실태 및 낙상경험에 따른 신체 기능의 차이. 노인간호학회지, 12(1), 40-50. 

  12. 유연주, 이기광, 김석범(2014). 낙상공포와 인지적 과제 수행이 고령자의 장애물 보행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학술지, 16(4), 63-72. 

  13. 이경진, 김수정, 송창호(2012). BIORescue 프로그램을 이용한 인지과제균형훈련이 노인의 정적균형, 동적균형, 시지각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1(1), 211-229. 

  14. 이삼철(2016). 여성노인의 규칙적인 걷기운동이 신체조성, 기능성 체력, 그리고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4(2), 67-76. 

  15. 이선미(2016). 후마네트 운동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 수행능력, 보행능력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이정화, 한경혜(2006). 농촌 전기고령자와 후기고령자의 신체적 건강과 의료시설 이용.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2), 175-197. 

  17. 정복희(2016). 복합재활중재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저하와 치매환자의 인지와 손기능에 미치는 연구. 대한통합의학회지, 4(3), 49-59. 

  18. 조성일(2012).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이 후기고령자의 근력, 균형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조재진, 엄기매, 임종민(2016). Wii-Fit Plus를 이용한 복합 운동프로그램이 65세 이상 노인의 낙상관련 체력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5(4), 1357-1368. 

  20.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2012). 최근 노인 손상의 발생 기전별 특성. 질병관리본부. 

  21. 채경주(2010). 치매노인의 낙상예방을 위한 중재방안을 위한 문헌고찰. 고령자 치매 작업치료학회지, 4(2), 27-34. 

  22. 청미디어(2016). http://www.chungmedia.net. 

  23. 후마네트(2016). http://fumanet.kr/?page_id53. 

  24. Aggarwal NT, Wilson RS, Beck TL, et al(2006). Motor dysfunction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the risk of incident Alzheimer disease. Arch Neurol, 63(12), 1763-1769. 

  25. Csukal M, McCarty DJ(1985). Simple method for measurement of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Am J Med, 78(1), 77-81. 

  26. Folstein MF, Folstein SE, McHugh PR(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2(3), 189-198. 

  27. Haver D(2010). Health promotion and aging: practitional application for health professionals.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Inc. 

  28. Holley S(2002). A look at the problem of falls among people with cancer. Clin J Oncol Nurs, 6(4), 193-197. 

  29. Jensen J, Nyberg L, Gustafson Y, et al(2003). Fall and injury prevention in residential care-effects in residents with higher and lower levels of cognition. J Am Geriatr Soc, 51(5), 627-635. 

  30. Katz N, Elazar B, Itzkovich M(1995). Construct validity of a geriatric version of the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 Battery. Phys Occup Ther Geriatr, 13(3), 31-46. 

  31. Katz N, Itzkovich M, Averbuch S, et al(1989).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 battery for brain-injured patients: reliability and validity. Am J Occup Ther, 43(3), 184-192. 

  32. Kltazawa K, Showa S, Hiraoka A, et al(2015). Effect of a dual-task net-step exercise on cognitive and gait function in older adults. J Geriatr Phys Ther, 38(3), 133-140. 

  33. Kovacs E, Sztruhar Jonasne I, Karoczi CK, et al(2013). Effects of a multimodal exercise program on balance, functional mobility and fall risk in older adults with cognitive impairment: a randomized controlled single-blind study. Eur J Phys Rehabil Med, 49(5), 639-648. 

  34. Lauretani F, Russo CR, Bandinelli S, et al(2003). Age-associated changes in skeletal muscles and their effect on mobility: an operational diagnosis of sarcopenia. J Appl Physiol, 95(5), 1851-1860. 

  35. Mathias S, Nayak US, Isaacs B(1986). Balance in elderly patients: the "get-up and go" test. Arch Phys Med Rehabil, 67(6), 387-389. 

  36. Miller CA(2002). The connection between drugs and falls in elders. Geriatr Nurs, 23(2), 109-110. 

  37. Montero-Odasso M, Verghese J, Beauchet O, et al(2012). Gait and cognition: a complementary approach to understanding brain function and the risk of falling. J Am Geriatr Soc, 60(11), 2127-2136. 

  38. Podsiadlo D, Richardson S(1991).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39(2), 142-148. 

  39. Rossiter-Fornoff JE, Wolf SL, Wolfson LI, et al(1995). A cross-sectional validation study of the FICSIT common data base static balance measures. Frailty and injuries: cooperative studies of intervention technique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50(6), 291-297. 

  40. Rubenstein LZ, Josephson KR(2006). Falls and their prevention in elderly people: what does the evidence show?. Med Clin North Am, 90(5), 807-824. 

  41. Schroter A, Mergl R, Burger K, et al(2003). Kinematic analysis of handwriting movements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mild cognitive impairment, depression and healthy subjects. Dement Geriatr Cogn Disord, 15(3), 132-142. 

  42. Smith PJ, Blumenthal JA, Hoffman BM, et al(2010). Aerobic exercise and neurocognitive performance: a meta-analy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Psychosom Med, 72(3), 239-252. 

  43. Verghese J, Buschke H, Viola L, et al(2002). Validity of divided attention tasks in predicting falls in older individuals: a preliminary study. J Am Geriatr Soc, 50(9), 572-1576. 

  44. Yaffe K, Barnes D, Nevitt M, et al(2001). A prospective study of physical activity and cognitive decline in elderly women: women who walk. Arch Int Med, 161(14), 1703-17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