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남아시아 무슬림 소비자의 한식 기호도 및 푸드 네오포비아가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
Acceptance of Korean Menu Items and Its Association with a Degree of Food Neophobia among South-east Asian Muslim Consumer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2 no.3, 2017년, pp.175 - 184  

박희정 (국민대학교) ,  심현규 (국민대학교) ,  장성준 (태경농산) ,  홍재희 (국민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growing interest in Korean foods, South-east Asian consumers'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Korean foods have not been well elucida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South-east Asian Muslim consumers'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Korean foods and the association with their food neop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거주하는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 무슬림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국 음식에 대한 인식 및 기호도 조사를 실시하고, 푸드 네오포비아 및 한식 노출 정도 등 비식품요인에 따른 한국 음식 기호도를 분석하여 한국 전통 음식의 할랄 식품으로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소수의 유학생 및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횡단면적 연구라는 제한점이 있기는 하지만, 기존에 보고되지 않았던 동남아시아 무슬림 소비자들의 한식 종류 별 기호도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동남아시아 무슬림 소비자들의 한식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 및 불고기, 오징어덮밥, 김밥, 잡채, 비빔밥, 삼계탕 등에 대한 실제로 섭취한 소비자들의 높은 기호도 점수 등을 고려할 때 이러한 한식들을 상품화하여 동남아시아 무슬림 소비자들에게 소개할 경우 성공적으로 시장에 도입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슬림 인구가 많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소비자와 이 두 국가와 지리적으로 근접하여 유사한 식문화를 가진 싱가포르를 포함한 동남아시아권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국 음식에 대한 인식 및 기호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푸드 네오포비아 성향 및 한식에 대한 노출 정도가 한국 음식의 기호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동남아시아 무슬림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키는 제품개발 및 판매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슬림 인구가 많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소비자와 이 두 국가와 지리적으로 근접하여 유사한 식문화를 가진 싱가포르를 포함한 동남아시아권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국 음식에 대한 인식 및 기호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푸드 네오포비아 성향 및 한식에 대한 노출 정도가 한국 음식의 기호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동남아시아 무슬림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키는 제품개발 및 판매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9), 푸드 네오포비아 성향이 높은 집단(HFN; n=11, 50~70)으로 분류하였다. 푸드 네오포비아 성향은 [Figure 4(a), (b)]의 일부 한식을 제외하고는 인지율 및 섭취 경험률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전복죽(χ22,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슬림은 어떤 식품을 섭취하는가? 무슬림은 이슬람 율법에 의거하여 할랄 식품을 섭취한다. 할랄 식품은 무슬림에게 종교적으로 허락된 음식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슬람식 도축법인 다비하(Dhabihah)식으로 도살한 짐승의 고기와 그 고기를 가지고 만든 음식 전반을 뜻한다(Wikipedia 2016).
기존의 할랄 인증 제품이 한국의 전통적 음식과 다소 거리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기존의 할랄 인증 제품은 대부분 라면, 과자, 커피, 우유 위주의 가공 식품으로 한국의 전통적 음식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이는 식품업체에서 이슬람권 시장에 대한 수출을 위해 기존 제품을 할랄 인증에 부합하도록 가공 공정을 바꾸는 데 집중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세계 식품시장에서 각국의 에스닉푸드는 자연친화적인 웰빙 음식으로 하나의 카테고리를 형성하고 있다(Sloan, 2002).
할랄 식품은 무엇인가? 무슬림은 이슬람 율법에 의거하여 할랄 식품을 섭취한다. 할랄 식품은 무슬림에게 종교적으로 허락된 음식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슬람식 도축법인 다비하(Dhabihah)식으로 도살한 짐승의 고기와 그 고기를 가지고 만든 음식 전반을 뜻한다(Wikipedia 2016). 또한 종교적으로 금기시 된 음식을 하람(haram) 이라고 하며, 대표적인 하람 식품은 돼지고기 및 이를 활용한 가공품이나 첨가물, 맹금류, 술, 알코올이 인위적으로 첨가된 식품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hn JE, Lee DL, Imm KH. 2015. International halal food market trend (세계 할랄 식품 시장 동향), Chapter 1. In: Halal food market trend and utilization of aquatic products. (할랄식품의 시장 동향과 수산물 수출 활용 방안), Analysis of issues in global market (해외시장정보 이슈분석). Korea Maritime Institute. pp 1-10 

  2. Ariffin AS. 2007. Much ado about the Malaysian Halal food industry. The Halal Journal. Halal Symposium, True and false in Halal Market, 2016.10 

  3. Ares G, Bruzzone F, Vidal L, Cadena RS, Gimenez A, Pineau B, Hunter DC , Paisley AG, Jaeger SR. 2014. Evaluation of a rating-based variant of check-all-that-apply questions: Rate-all-that-apply (RATA). Food Qual.Prefer., 36:87-95 

  4. Chang HJ, Choi BR, Yi NY, Park BS, Kim HS. 2010. Preferences and Product Development Opinions of Koreans and Non-Koreans Regarding Commercialization of Korean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6(4):458-468 

  5. Choe JY, Cho MS. 2011. Food neophobia and willingness to try non-traditional foods for Koreans. Food Qual.Prefer., 22: 671-677 

  6. Her ES, Park HJ. 2013. Interrelations among Acculturative Stress and, Recognitions, Preferences and Eating Frequency of Korean Traditional Food by Chinese Students in Korea. Korean J. Food Nutr., 26(2):216-225 

  7. Hwang YJ, Lee KY, Kim SW, Choi JW. 2016.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ies about halal food and examples of countermeasures (국내외 할랄식품 정책과 대응사례), Chapter 3. In: Status of domestic halal food market and related tasks (국내 할랄식품 시장 실태와 대응과제), Research report of policy P211.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p35-55. 

  8. Jang MJ, Cho MS. 2000.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foreign visitors in Korea. Korean. J Dietary Culture, 15(3):215-223 

  9. Jang SH, Hong JH, Kim MY. 2014. Consumer acceptability and purchase intent of traditional Korean soup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Food Sci. Biotechnol., 23:389-400 

  10. Jang SH, Kim MJ, Lim JY, Hong JH. 2016. Cross-cultural comparison of consumer acceptability of kimchi with different degree of fermentation. J. Sens.Stud., 31:124-134 

  11. Joo NM, Sim YJ, Lee KA. 2001.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Americans residing in Korea for Korean traditional food. J. Korean Home Econo. Asso. 39(6):15-23 

  12. Kim S, Lee MA, Kim EM, Lee SJ. 2004. The gap analysis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restaurants between foreign visitors and foreign resid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6):75-85 

  13. Kim SJ, Lee KH. 2012. Effect of Asian food neophobia scale and food involvement scale on food choice motive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2(2):199-207 

  14. Kim SJ, Lee KH. 2013. The effect of foreigner's ethinic food attitudes on purchasing intentions of Korean food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3):265-272 

  15. Kim SJ, Park HJ, Lee KH. 2011. Comparison of food neophobia scale and food involvement scale between Koreans and East-South Asians. Korean J. Food Culture, 26(5):429-436 

  16. Knaapila AJ, Sandell MA, Vaarno J, Hoppu U, Puolimatka T, Kaljonen A, Lagstrom H. 2014. Food neophobia associates with lower dietary quality and higher BMI in Finnish adults. Public Health Nutrition, 18(12):2161-2171 

  17. Korean Food Foundation. 2013. 2012 Survey of Information and Strategy for foreign cities;Kuala Lumpur. (해외도시별 정보전략 조사; 쿠알라룸푸르).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pp 169-170 

  18. Kweon SY, Yoon SJ. 2006.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Chinese at Seoul residence. Korean J. Food Culture, 21(1):17-30 

  19. Lee YJ. 2007. A study on the precogniti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of Japanese tourists based on traditional Korean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1):156-164 

  20. Lee JY, Kim KJ, Park YH, Kim HR. 2010. Preference and Perception of Korean Foods of Foreign Consumers by Nationality. Korean J. Food Culture, 25(1):9-16 

  21. Pew Research Center. 2011. The future of the global Muslim population. Pew forum on religion and public life. pp 13 

  22. Pliner P, Hobden K. 1992.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the trait of food neophobia in humans. Appetite, 19(2):105-120 

  23. Pliner P, Marcia P, Marius G. 1993. Reduction of neophobia in Humans by Exposure to Novel Foods. Appetite, 20(2): 111-123 

  24. Pliner P, Lahteenmake L, Tuorila H. 1998. Correlates of human food neophobia. Appetite, 30(1):97-115 

  25. Raudenbush B, Frank RA. 1999. Assessing Food Neophobia: The Role of Stimulus Familiarity. Appetite, 32(2):261-271 

  26. Rook DW. 2006. Let's pretend:proejctive methods reconsidered. In: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marketing. Belk RW (ed). Edward Elgar Publishing Ltd. Glos, UK, pp 143-155 

  27. Rozin P, Fallon A. 1986. The acquisition of likes and dislikes for foods. In What is America Eating Proceeding of a symposium. (National Research Council (US) Food and Nutrition Board, ed.) National Academic Press, USA, pp 58-71 

  28. SalaamGateway. 2015. Global M&A activity and potential in the Halal food sector. Thomson reuters, UAE, pp 6 

  29. Schifferstein HNJ, Hekkert P. 2011. Product experience. Elsevier Science, USA, pp 100-101 

  30. Seo KH, Lee SB, Shin MA. 2003. Research on Korean food preference and the improvement of Korean restaurants for Japanese and Chinese Students in Korea. Korean J. Soc. Food Cookery, 19(6):715-722 

  31. Sloan AE. 2002. Fast and casual, Today's food service trends. Food Tech., 56(9):34 

  32. Tuorila H, Lahteenmaki L, Pohjalainen L, Lotti L. 2001. Food neophobia among the Finns and related responses to familiar and unfamiliar foods, Food qual. prefer., 12:29-37 

  33. Globalization of K-food (K-food 세계화). 2016. Economy Chosun. Available from; http://economychosun.com/special/special_view_past.php?boardNameC12&t_num9532&myscrap&img_ho145 [accessed 2017.02.22] 

  34.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6. Available from; http://www.korean.go.kr [accessed 2017.02.22] 

  35. Wikipedia, 2016. Available from; http//www.wikipedia.com [accessed 2017.02.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