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연변 지역 대학생의 한식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연구(II) - 민족별 비교를 중심으로 -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 of University Students in Yanbian, China - Focused on Comparisons According to Ethnicity -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2 no.3, 2017년, pp.215 - 226  

홍경희 (동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s related to Korean food according to the ethnic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Yanbian, China. Korean food was preferred by Korean-Chinese as compared with Chinese students, and Korean-Chinese students preferred Korean food more than Chin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를 통하여 조선족 젊은 세대가 한국음식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규명함으로써 민족적 식문화의 전통성이 유지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하며, 우리 민족 음식 문화와 구별되는 특성이 다른 민족의 영향을 받아 변화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한식세계화의 중요한 채널이 될 연변 거주 대학생의 한국음식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를 파악하여 한식을 홍보하고 글로벌화 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변 조선족 식문화의 최근 근황은? 중국의 주요 민족인 한족(漢族)을 비롯한 타민족과 더불어 살아가며 중화민족의 식문화 속에서 독자적인 지위를 확보하고 있으며 중국 동북부 지역의 각 민족에게도 강력한 영향을 주고 있다(Park & Chung 2002). 더군다나 연변 조선족은 폐쇄된 사회체제로 인해 우리나라에서 사라진 식문화에 대해서도 오히려 그 명맥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었음과 동시에(Park 1997) 최근에는 한국과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한국문화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식문화가 형성되고 있다(Sun 2016). 이에 따라 연변 조선족 식문화에 대한 연구는 한민족의 식문화 양상 및 변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동시에 중국의 타 민족과 지역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해 향후 연변 조선족이 한국음식과 한국문화를 전파하는 중요한 교두보 및 지지자의 역할을 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연변 지역의 특징은? 조선족(朝鮮族)은 중국의 55개 민족 중 하나로 함경도에서 중국의 동북 지역으로 이주하여 모국과 경계지역에 정착한 과계민족(跨界民族)으로, 1952년 연변지역에 자치구 지위를 획득하여 지난 반세기 동안 한민족(韓民族)에 뿌리를 둔 고유의 전통문화를 향유하며 중국의 기타 민족과 구별되는 민족성 정체성을 유지해 왔다(Sun 2016). 특히 연변 지역은 사회인구학적, 지역적, 문화적 변화 요인에도 불구하고 조선족의 풍부한 식문화 특색을 바탕으로 대부분의 조선족 가정에서 김치 및 장류를 담그고 있는 등 전통음식을 유지하고(Lyu & Ryu 1996) 식습관에서 조선족 특유의 전통성을 지니며(Jang 1993) 한국전통 문화에 대한 인식 중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을 정도로(Sun 2016) 식생활에 있어서 한국의 전통성이 보존·계승되어 왔다.
조선족이란? 조선족(朝鮮族)은 중국의 55개 민족 중 하나로 함경도에서 중국의 동북 지역으로 이주하여 모국과 경계지역에 정착한 과계민족(跨界民族)으로, 1952년 연변지역에 자치구 지위를 획득하여 지난 반세기 동안 한민족(韓民族)에 뿌리를 둔 고유의 전통문화를 향유하며 중국의 기타 민족과 구별되는 민족성 정체성을 유지해 왔다(Sun 2016). 특히 연변 지역은 사회인구학적, 지역적, 문화적 변화 요인에도 불구하고 조선족의 풍부한 식문화 특색을 바탕으로 대부분의 조선족 가정에서 김치 및 장류를 담그고 있는 등 전통음식을 유지하고(Lyu & Ryu 1996) 식습관에서 조선족 특유의 전통성을 지니며(Jang 1993) 한국전통 문화에 대한 인식 중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을 정도로(Sun 2016) 식생활에 있어서 한국의 전통성이 보존·계승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in HR. 2007. A Comparative study regarding Chinese's perception on Korean food: focused on the residents in Beijing & Shanghai. Master's degree thesis, Sejong University, Korea, pp 82-86 

  2. Cho SH, Kim JH, Kim MH, Lee WJ, Kim EK. 2016.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 among Chinese Students Residing in Korea and China. J. Korean Soc. Food Cult., 31(4):261-268 

  3. Cho WK. 2000. A Study on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 Intake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Yanbian. Doctoral degree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pp 17-26 

  4. Choe JY, Cho MS. 2012. Investigation of Dietary Behaviors According to Residence Status and Ethnic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Yanbian, China. J. Korean Soc. Food Cult., 27(1):38-48 

  5. He WH. 2010. Research on Korean food preference and satisfac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Master's degree thesis, Paichai University, Korea, pp 38-50 

  6. Hong KH, Oh UH. 2016. Comparisons of Health Related Lifestyle and Dietary Behaviors according to Gender, Ethnicity and Residence Type of University Students in Yanbian, China. Korean J. Food Nutr., 29(4):486-498 

  7. Jang JO. 1993. A Study on dietary culture of Chosun trib in Yenbeun. Korean J. Diet. Cult., 8(4):315-319 

  8. Jung HY, Jeon ER. 2010. Preference for Korean food and satisfaction of dormitory foodservice by Chinese students studying at Mokpo national univers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2):283-289 

  9. Kim DH, Cha SB. 2013. The Effect of Korean Wave on Korean Food Image, Food Preference, Food Satisfaction, and Visit Intention to Korea. J. Foodserv. Manag., 16(5):7-26 

  10. Kim DS, Ryu JK. 2013. Recent Changes in the Ethnic Korean Population in Yanbian, China: An Analysis of Data from the 1990, 2000, and 2010 Chinese Population Censuses. Sino-Soviet Affairs, 36(4):121-149 

  11. Kim HK, Park KY. 2014. Research of Korean Wave by media Images of Korea Food, Effects of Korea Food good feelings. Tour. Res., 29(2):61-80 

  12. Kim MH. 2008. Foreign Students Staying in Korea who Prefer Korean food. Master's degree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Korea, pp 69-76 

  13. Kweon SY, Yoon SJ. 2006.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Chinese at Seoul Residence. J. Korean Soc. Food Cult., 21(1):17-30 

  14. Lee BS, Park HJ, Jung JW. 2010.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bout Traditional Food by Generations in Busan Area. Korean J. Culin. Res., 16:(4)1-14 

  15. Lee ES. 2016.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hinese Students' Preference on Korean Menu and The Determinants of Preference on Korean Food by Familiarity to Korea: Local Chinese Students Vs. Chinese Students in Korea. J. Hotel & Resort, 15(1):181-196 

  16. Lee HG, Kim GW, Yoo JY, In KK. 2012. Awareness and Evalu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5):415-421 

  17. Lee JM, Kim MK, Park HJ. 2001. A Study on Nutrient Intake and Dietary Behavior of House Wife and Female College Student in Yanbian. J. Korean Soc. Food Cult., 16(1):33-42 

  18. Lee JY, Kim KJ, Park YH, KIm HR. 2010. Preference and Perception of Korean Foods of Foreign Consumers by Nationality. J. Korean Soc. Food Cult., 25(1):9-16 

  19. Lee WJ. 2012. The Image Perception and Quality Evaluation of Korean Restaurant in China. J. Korean Airline Manag, 10(3):59-75 

  20. Lim HS, Im S. 2015. Study on Different Body Types between Korean-Chinese and Han-Chinese Women in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and the Social Environmental Factor: With the focus on the Women in their 60's. J. Korean Soc. Costume, 65(7):1-18 

  21. Lyu ES, Ryu K. 1996. Study of the Yanbian Korean housewives' knowledge of Korean traditional holidays foods. Korean J. Diet. Cult., 11(3):327-337 

  22. Moon SJ, Song JS. 2012. Study on Food Quality of Korean Restaurants,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in Chinese University or College Students -Focused on different awareness of Korean food-. J. Korean Soc. Food Cult., 27(3):285-293 

  23. Paek HY, Kwak EJ, Joung HS, Jeong JH, Cho YS. 2015.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of Traditional and Yaksun Foods: Focus o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service Daegu and Gyungbuk A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25(5):779-790 

  24. Park ES. 1997. Perception of traditional and prohibitive foods in Yanbian area. Korean J. Diet. Cult., 12(2):103-136 

  25. Park ML, Kim YA, Yoon KS, Liu F, Byun GI. 2009. A Research on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 in Shenyang Region of China -Focused on Bibimbap- Korean J. Culin. Res., 15(1):169-180 

  26. Park YS. 2001. Food Management Pattern and Preception of Housewives in Yuanbean A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11(6):430-445 

  27. Park YS, Chung YS. 2001. Perception of Housewives in Yanbian Area on Korean Traditional Food and Cultural Background. J. East Asian Soc. Diet. Life, 11(1):71-81 

  28. Park YS, Chung YS. 2002. Perceptional Dimensions and Patterns of Korean Traditional Food and Culture. J. Korean Soc. Food Cult., 17(4):446-455 

  29. Park YS, Chung YS. 2007.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ies of Traditional Korean Foods and Foods of National Holidays in the Yanbian Region of China. J. East Asian Soc. Diet. Life, 17(2):153-163 

  30. Seo SH, Ryu KM. 2009. Chinese Customers' Perception of Korean Foods and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to Korean Cuisine Restaurants -A Focus on Visiting Experience and Frequency of Visits. J. Korean Soc. Food Cult., 24(2):126-136 

  31. Song CJ. 2012. Overseas Chinese Globalization and Korean Food. Food cult., 5(1):8-21 

  32. Sun BK. 2016. A Study on the Activities linked with Homeland and Identity of Yanbian Korean-chinese. J. Korean Northeast Asia, 21(1):53-70 

  33. The Korean Food Foundation. 2014. 200 International Korean Menu Guide. pp 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