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산술적 사고의 의미와 요소 분석
An Analysis on Meaning and Factors of the Arithmetical Thinking 원문보기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7 no.4, 2017년, pp.765 - 789  

임미인 (서울오류초등학교) ,  장혜원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술 지도 시 산술적 사고의 측면을 강조해야 한다는 데에 다수의 동의가 있어왔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산술적 사고 자체에 주목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산술적 사고에 초점을 맞춘 지도를 위해서는 산술적 사고의 의미와 요소를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술적 사고의 의미와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고, 산술적 사고의 요소를 추출하기 위한 이차적인 방법으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종합적으로 산술적 사고의 요소를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 내용적 사고로서 산술적 사고의 의미를 파악하고, 수 관련 5가지, 연산 관련 11가지, 공통 요소 2가지로 총 18가지의 산술적 사고 요소를 추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ithmetic is the basis of school mathematics and in fact, number and operation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s the most basic and essential domain. Even though there has been a consensus that arithmetic should be taught more meaningfully beyond the emphasis of calculation skills and teachers sh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립 국어원에 따른 산술의 정의는 무엇인가? 이에 답하기 위해서는 먼저 산술의 의미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국립국어원(2016)에 따르면, 산술(算術)은 ‘일상생활에서 실제로 응용할 수 있는, 수와 양의 간단한 성질 및 셈을 다루는 수학적 계산 방법’이라고 정의된다. 이로부터 ‘산술’이라는 용어 자체는 일반인들에게 방법적, 기능적 측면의 느낌을 제공한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산술에서 대수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는 어떤 관점으로 구분되는가? 후자의 분석과 관련하여 산술에서 대수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는 크게, 전 대수적 접근(pre-algebra approach)과 초기 대수적 접근(early-algebra approach)의 관점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산술과 대수의 분명한 차이를 주장하는 전대수적 접근과는 다른 관점에서 산술과 대수의 연결을 논하는 초기 대수적 접근이라 할지라도, 방정숙, 최지영(2011), 이화영(2011) 등 다수의 연구에서 양자 간에는 인지적 간격이 존재하며 그 간격을 좁히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초등 수학에서 산술을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산술은 학교수학의 기본이라 할 수 있고 실제로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수와 연산은 가장 기본이며 핵심 영역에 해당된다. 또한 후속 학습과의 연결성을 고려할 때 산술은 이후 수학 학습의 중요한 기초가 된다. 이와 같은 산술의 중요성에 비추어볼 때 ‘초등 수학에서 산술을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강문봉, 김수미, 송상헌, 박교식, 박영배, 유현주, 이종영, 정동권, 정은실, 정영옥 (2003). 초등수학교육의 이해. 서울: 경문사. 

  2. 강완, 김상미, 박만구, 백석윤, 오영열, 장혜원 (2014). 초등 수학교육론. 서울: 경문사. 

  3. 국립국어원 (2016). 표준국어대사전. '산술(算術)'의 정의.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에서 2016년 6월 인출. 

  4. 기정순, 정영옥 (2008). 등호 문맥에 따른 초등학생의 등호 개념 이해와 지도 방법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0(4), 537-555. 

  5. 김성준 (2002a). 수학 학습에서 이행에 관한 고찰 -산술과 대수를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12(1), 29-48. 

  6. 김성준 (2002b). 대수적 사고의 기원에 관한 고찰. 한국수학사학회지, 15(2), 49-68. 

  7. 김성준 (2003a). '초기대수'를 중심으로 한 초등대수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13(3), 309-327. 

  8. 김성준 (2003b). '대수적 사고'와 관련된 선행 연구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 2003년도 수학교육학연구 발표대회논문집, 577-598. 

  9. 김성준 (2004). 대수의 사고 요소 분석 및 학습-지도 방향 탐색.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10. 김수환, 박성택, 신준식, 이대현, 이의원, 이종영, 임문규, 정은실 (2010). 초등학교 수학과 교재연구. 경기도: 동명사. 

  11. 김은혜 (2008).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산술적 사고에서 대수적 사고로의 이행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정원, 방정숙, 최지영 (2016). Rasch 모델을 통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등호 이해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5(1), 1-19. 

  13. 도종훈, 최영기 (2003). 수학적 개념으로서의 등호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2(5), 697-706. 

  14. 박교식 (1993). 초등학교에서의 함수적 사고와 그의 지도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논문집, 27(1), 279-295. 

  15. 박수진 (2016). 델파이 조사를 통한 유아교육기관 원장 리더십 역량 진단 도구 개발 및 원장의 리더십, 교사의 교직 헌신, 부모의 만족도 관계. 총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방정숙, 최지영 (2011). 범자연수와 연산에 관한 수학 교과서 분석: 일반화된 산술로서의 대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0(1), 41-59. 

  17. 우정호 (2011).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제2증보판).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8. 우정호, 김성준 (2007). 대수의 사고 요소 분석 및 학습-지도 방안의 탐색.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17(4), 453-475. 

  19. 유미경, 김재홍, 권석일, 박선용, 최지선, 박교식 (2008). 대수 발달의 단계에 관한 드모르간의 관점 연구. 한국수학사학회지, 21(4), 61-78. 

  20. 이종성 (2001). 델파이 방법(연구방법 21). 경기도: 교육과학사. 

  21. 이혜민, 신인선 (2011). 산술과 대수적 사고의 연결을 위한 분수 scheme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 14(3), 261-275. 

  22. 이화영 (2011). 초등학생의 대수 추론 능력과 조기 대수(Early Algebra) 지도.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임미인, 장혜원 (2016). 수와 연산 영역 부진 학생의 산술적 사고 수준에 관한 사례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한 학생을 대상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6(3), 489-508. 

  24. 최지선, 박교식 (2009). 우리나라 초등학교 1-2학년 수학에서의 수 감각 지도 내용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19(4), 513-530. 

  25. 片桐重男 (1991). 數學的な考え方.態度とその指導 II : 問題解決過程と發問分析. 이용률, 성현경, 정동권, 박영배 (역) (1992). 수학적인 생각?태도와 그 지도 II: 문제해결과정과 발문분석. 서울 : 경문사. 

  26. Amerom, B. A. (2002). Reinvention of early algebra. Developmental Research on the Transition from Arithmetic to Algebra. Utrecht University. 

  27. Baroody, A. J., & Dowker, A. (2003). The Development of Arithmetic Concepts and Skills: Constructing Adaptive Expertis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8. Brownell, W. A. (1947). The place of meaning in the teaching of arithmetic. Elementary School Journal, 47, 256-265. 

  29. Buswell, G. T. (1950). Study pupil's thinking in arithmetic. The Phi Delta Kappan, 31(5), 230-233. 

  30. Cobb, P., & Meerkel, G. (1989). Thinking strategies : Teaching arithmetic through problem solving. New Directions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1989 Yearbook, 70-81. Reston, VA: NCTM. 

  31. De Morgan, A. (1830). Elements of Arithmetic. London: Walton. 

  32. Filloy, E., & Rojano, T. (1989). Solving equations: the transition from arithmetic to algebra.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9(2), 19-26. 

  33. Guberman, R. (2016). Development of arithmetical thinking: Evaluation of subject matter knowledge of pre-service teachers in order to design the appropriate 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4(4), 739-755. 

  34. Howden, H. (1989). Teaching number sense. Arithmetic Teacher, 36, 6-11. 

  35. Krysztofiak, W. (2016). Representational structures of arithmetical thinking: Part I. Axiomathes, 26(1), 1-40. 

  36. Leontiev, A. N. (2005). On the development of arithmetical thinking in the child. Journal of Russian and East European Psychology, 43(3), 78-95. 

  37. Oliveira, H., & Mestre, C. (2014). Opportunities to develop algebraic thinking in elementary grades throughout the school year in the context of mathematics. In Li, Y., Silver, E. A., & Li, S. (Eds.), Transforming Mathematics Instruction : Multiple Approaches and Practice, 173-197. NY: Springer. 

  38. Slavit, D. (1999). The role of operation sense in transitions from arithmetic to algebra thought.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7, 251-274. 

  39. Smith, E. (2007). Representational thinking as a framework for introducing functions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In Kaput, J. J., Carraher, D. W., & Blanton, M. L. (Eds.), Algebra in the Early Grades, 133-160. NY: Lawrence Erlbaum. 

  40. Thorndike, E. L. (1929). The Psychology of Arithmetic. NY: The Macmillan Company. 

  41. Thorndike, E. L. (1962). The psychology of arithmetic. In Joncich, G. M. (Ed.), Psychology and the Science of Education: Selected Writings of Edward L. Thorndike. Bureau of publications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42. van Hiele, P. M. (1986). Structure and insight: A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 Orlando, Fla: Academic Press. 

  43. Warren, E. (2003). The role of arithmetic structure in the transition from arithmetic to algebra.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15(2), 122-1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