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와 연산 영역 부진 학생의 산술적 사고 수준에 관한 사례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한 학생을 대상으로 -
A Case Study on Levels of Arithmetical Thinking of an Underachiever in Number and Operation - Focusing on a 6th Grader - 원문보기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6 no.3, 2016년, pp.489 - 508  

임미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  장혜원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와 연산은 초등수학에서 가장 기본이고 핵심이면서도 학생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는 영역으로 알려져 왔다. 이와 같은 학습의 어려움은 계산 방법이나 계산 기능의 측면을 강조하는 것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고, 관련 사고의 측면에서 검토할 필요가 대두된다. 본 연구는 Guberman(2014)에 기초하여 수와 연산 영역 부진 학생의 산술적 사고 수준 및 산술에 대한 이해 정도를 분석하여 산술에 관한 어려움의 원인을 진단하고 그에 대한 처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학 학습 중 유독 수와 연산 영역에서만 어려움을 보이는 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산술적 사고 수준 및 산술 개념 이해 검사를 실시하고 학생의 반응을 분석하는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대상 학생의 산술적 사고는 Guberman의 1수준에 해당하며 몇 가지 산술 개념과 관련하여 이해에 어려움을 지니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분석 결과 및 그에 대한 논의로부터 구체적인 처방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umber and operation is the most basic and crucial part in elementary mathematics but is also well known as a part that students have lots of difficulties. A lot of researches have been done in various ways to solve this problem but it can't be solved fundamentally by emphasizing calculation method ...

Keyword

참고문헌 (40)

  1. 강완, 김상미, 박만구, 백석윤, 오영열, 장혜원 (2014). 초등수학교육론. 서울: 경문사. 

  2. 강흥규 (1997). Dewey의 지식론과 산술 교육론,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7(1), 415-434. 

  3. 교육부 (2015). 수학 4-1. (주)천재교육. 

  4. 국립국어원 (2016).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2016.06.13). 

  5. 권미선 (2015). 범자연수와 그 연산의 핵심 교수.학습 요소에 따른 수업 모형 개발 및 지도의 실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남희 (1994). 대수적 사고에 관한 고찰: 산술과의 관련성과 변수개념.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4(2), 189-204. 

  7. 김선희, 김부미, 이종희 (2014). 수학교육과 정의적 영역. 서울: 경문사. 

  8. 김성준 (2002). 수학 학습에서 이행에 관한 고찰-산술과 대수를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12(1), 29-48. 

  9. 김용태 (2016). 인식론적 장애 예방을 위한 초등수학의 진단과 처방. 서울: 교우사. 

  10. 도종훈, 최영기 (2003). 수학적 개념으로서의 등호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2(5), 697-706. 

  11. 방정숙, 최지영 (2011). 범자연수와 연산에 관한 수학 교과서 분석: 일반화된 산술로서의 대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0(1), 41-59. 

  12. 안지영, 전영주, 윤마병, 이종학 (2014). 한국의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수학과 교육과정 규준 CCSSM의 비교 분석 -초등학교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4), 437-464. 

  13. 우정호 (2011).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제2증보판).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4. 우정호, 정영옥, 박경미, 이경화 (2006). 수학교육학 연구방법론. 서울: 경문사. 

  15. 유충현 (2011). 산술교육에서의 직관적 전개가 가지는 인간 교육적 의미.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27(4), 453-470. 

  16. 이종학 (2014). 산술과 대수 영역의 문장제 문제 해결 전략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내용지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2), 1083-1099. 

  17. 이형주, 고호경 (2015). 협동학습 및 또래교수 프로그램이 수학학습부진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5(1), 113-137. 

  18. 이혜민, 신인선 (2011). 산술과 대수적 사고의 연결을 위한 분수 scheme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 14(3), 261-275. 

  19. 이화영 (2011). 초등학생의 대수 추론 능력과 조기 대수(Early Algebra) 지도.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장혜원, 임미인, 강태석 (2015). 초등 수학 학습 부진아의 자릿값 이해 수준. 대한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학연구, 25(3), 347-366. 

  21. 장혜원, 최민아, 임미인 (2014). 0처리 오류에 기초한 교과용 도서 분석 및 활동 구성.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2), 257-278. 

  22.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수학 클리닉 진단 검사지 및 수학 클리닉 진단 검사 가이드라인. http://www.askmath.re.kr. 

  23. Berman, J. (2011). SToPV: A five minute assessment of place value. Australian primary mathematics classroom, 16(4), pp.24-28. 

  24. Brownell, W. A. (1947). The place of meaning in the teaching of arithmetic, Elementary school journal, 47, pp.256-265. 

  25. Buswell, G. T. (1950). Study pupil's thinking in arithmetic. The phi delta kappan, 31(5), pp.230-233. 

  26. Caldwell, J. H., Karp, K., & Bay-Williams, J. M. (2011). Develop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addition and subtraction for teaching mathematics in prekindergarten-grades2. Reston: NCTM. 

  27. CCSSI (2010). Common Core State Standard for Mathematics. http://www.corestandards.org. 

  28. Guberman, R. (2008). A framework for characterizing the development of arithmetical thinking. Proceeding of ICME-11-topic study group 10: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number system and arithmetic, pp.113-122. 

  29. Guberman, R. (2014). Development of arithmetical thinking: Evaluation of subject matter knowledge of pre-service teachers in order to design the appropriate 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pp.1-17. 

  30. Herscovics, N., & Linchevski, L. (1994). A cognitive gap between arithmetic and algebra.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7(1), pp.59-78. 

  31. Hiebert, J., & Lefevre, P. (1986).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in mathematics: An introductory analysis. In Hiebert, J.(Ed.),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The case of mathematics, pp.1-27. Hillsdale, NJ: Erlbaum. 

  32. Krysztofiak, W. (2015). Representational structures of arithmetical thinking: Part I. DOI 10.1007/s10516-015-9271-1. 

  33. Lannin, J., Chval, K., & Jones, D. (2013). Putt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multiplication and division into practice in grades 3-5. Reston: NCTM. 

  34. Leontiev, A. N. (2005). On the development of arithmetical thinking in the child. Journal of Russian and East European Psychology, 43(3), pp.78-95. 

  35. Merriam, S. B. (1988). The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36.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VA: Reston. 

  37. Reys, L. H. (1984). Affective variables and mathematics education.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4(5), pp.558-581. 

  38. Usiskin, Z. (1982). van Hiele levels and achievement in secondary school geometry. CDASSG Project.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39. van Hiele, P, M. (1986). Structure and insight: A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 Orlando, Fla: Academic Press. 

  40. Warren, E. (2003). The role of arithmetic structure in the transition from arithmetic to algebra.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15(2), pp.122-13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