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수학교실에서 역량 기반 과정중심평가의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
Process-Focused Assessment for Mathematical Subject Competency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22 no.3, 2019년, pp.199 - 219  

전영주 (전북대학교) ,  이종학 (대구교육대학교)

초록

수학 교실에서 과정중심평가의 실현을 위해서는 수업의 설계자이자 실제적 운영자인 현장 교사가 역량 기반 과정중심평가를 적용한 수업을 어떻게 계획하고 실행하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역량 기반 과정중심평가를 적용한 실험 수업을 수행하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학생 평가로 강조되고 있는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실제 수업에서의 적용 사례를 분석하였고, 이에 따른 학교수학 교육평가에서 과정중심평가가 지니는 교육적 의의를 탐색하였으며, 나아가 초등수학 교육 현장에의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2학년 초등수학 교실에서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역량 기반 과정중심평가 수업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실제적으로 살펴보고, 더불어 과정중심평가를 적용한 수업에서 각 학생들의 요구와 필요에 부합하는 개별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을 알아보았다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o plan and perform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of the teacher as the planner and practitioner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for mathematical subject competency in a mathematics classroom. In this study, we designed and conducted an ex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후)실험수업을">실험 수업을 실시하여, 이를 통해 초등학교 현장의 수학교사들에게 과정중심평가의 의미와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과정중심평가에 대해서 살펴보고, 교육과정과 수업, 그리고 평가를 일체화하기 위한 방안을 도모하고자, 본 논문은 과정중심평가에 따른 실험 수업을 수행하여 초등 수학교실에서 역량기반 과정중심평가의 적용 방안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 또한 과정중심평가는 측정하기 쉬운 것, 분명한 것을 평가의 대상으로 삼기보다는 교육적 가치 있는 것을 평가한다. 더불어 과정중심평가는 평가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평가의 본질적인 역할에 충실할 것을 강조하여, 평가의 결과와 더불어 과정에도 관심을 가지고 학생들에게 적기에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생의 학습과 성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성격으로 본 연구는 수학 교실에서 역량 기반 수학과 과정중심평가를 적용되기 위한 실험 수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먼저 수학교육전문가 2인과 현장교육전문가 3인을 대상으로 역량 기반 과정중심평가 수업과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평가 계획을 수립하였다.
  • 후)성취기준에">성취 기준에 따른 수학적 내용이나 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적어도 1∼2개의 역량을 선정하여 지속적으로 피드백하고 그 성장 정도를 평가하였다. 예를 들어, 의사소통 역량은 수업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논의 활동을 중심으로 그 수준과 태도를 점검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평가 체제 개선의 동향을 반영할 수 있는 역량 기반 수학과 과정중심평가의 적용 방안에 대해서 고찰하고, 그 적용 사례를 밝히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교수·학습이 발생하는 교실 상황에서 즉각적인 평가와 피드백이 이루어져 수업과 평가가 통합되어 하나가 되는 바를 추구하는 과정중심평가가 초등수학 교실에서 행해질 수 있도록 과정중심평가의 실행을 위해 평가 틀에 따라 과정중심평가에 따른 실험 수업을 실시하여, 이를 통해 초등학교 현장의 수학교사들에게 과정중심평가의 의미와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이 일어나는 수업 상황에서 즉각적인 평가가 이루어져 교수·학습과 평가가 하나로 통합되는 바를 추구하는 과정중심평가가 초등수학 교실에서 실제로 행해질 수 있도록 과정중심평가의 실행요건 및 실제 모습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초등학교 현장의 수학교사들에게 과정중심평가의 의미와 실행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은 무엇을 요구하는가? 그렇지만 수학과 과정중심평가는 교수·학습 단계마다 총괄적으로 이루어져 온 지금까지의 평가가 수업 목표에 기반한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 순환관계적 평가를 형성하는 데 미흡했다는 인식 하에 이의 개선을 추구한다(이경화, 강현영, 고은성, 이동환, 신보미, 이환철, 김선희, 2016). 최근 들어 학교 수학교육의 이정표 역할을 하는 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에 따르면 교육부(2015d)는 기존의 평가 방법에서 탈피한 새로운 평가 방식으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수학평가의 선도적인 방법으로 과정중심평가를 제시하고 있다. 더불어 교육부(2015d)는 과정중심평가에 대해서 학생의 학습 과정 및성취 정도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평가를 통해 배우는 수학평가 풍토 조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평가 방법이라고 밝히며, 실제로 수학교육 현장에서 수행되기를 바라고 있다.
교수·학습 단계마다 이루어진 수학과 과정중심평가는 어떻게 평가를 받는가? 교육현장에서 교사와 학교는 수시 평가와 함께 정기적인 중간·기말 고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성취 도를 파악하는 데 상당한 노력과 시간을 들여왔고, 나아가 교실 수업의 어느 단계와 내용에서 어떠한 어려움을 겪는지 파악하여 최대한 도울 수 있는 평가 도구와 절차를 고안하고 적용하려고 노력하여 왔다. 그렇지만 수학과 과정중심평가는 교수·학습 단계마다 총괄적으로 이루어져 온 지금까지의 평가가 수업 목표에 기반한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 순환관계적 평가를 형성하는 데 미흡했다는 인식 하에 이의 개선을 추구한다(이경화, 강현영, 고은성, 이동환, 신보미, 이환철, 김선희, 2016). 최근 들어 학교 수학교육의 이정표 역할을 하는 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에 따르면 교육부(2015d)는 기존의 평가 방법에서 탈피한 새로운 평가 방식으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수학평가의 선도적인 방법으로 과정중심평가를 제시하고 있다.
수학교과에서 구현되어야 할 핵심 능력의 여섯가지에 대한 설명은? 첫째, 교과 역량으로서의 문제 해결은 문제 상황에서 수학적 지식과 기능을 활용하여 문제해결 전략을 탐색하고, 최적의 해결 방안을 선택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다. 둘째, 추론은 추측하고, 논리적으로 분석·정당화하며 그 과정을 반성하는 능력이다. 셋째, 창의·융합은 수학의 지식과 기능을 토대로 아이디어를 다양하고 풍부하게 산출하고 정교화하 며, 수학적 지식·기능·경험을 연결하거나 타 교과나 실생활의 지식·기능·경험을 수학과 연결·융합하여 새로운 지식·기능·경험을 생성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다. 넷째, 의사소통은 수학 지식이나 아이디어, 수학적 활동의 결과, 문제 해결 과정, 신념과 태도 등을 말이나 글, 그림, 기호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능력이다. 다섯째, 정보 처리는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수집·정리·분석·활용하고 적절한 공학적 도구나 교구를 선택, 이용하여 자료와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능력이다. 여섯째, 태도 및 실천은 수학의 가치를 인식하고, 자주적 수학 학습 태도와 민주 시민 의식을 갖추어 실천하는 능력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강현영, 김선희, 고은성, 이동환, 조진우, 탁병주(2016). 수학 과정중심평가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 한국과학창의재단, BD18020002. 

  2. 권미선(2018).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초등 수학에서 과정 중심 평가 적용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 과교육연구, 18(18). 873-896. 

  3. 고상숙, 박만구, 강경은, 김혜영(2015). 학생성장을 위한 초등수학 수행평가모델의 개발 및 적용. 수학 교육논문집, 29(4), 625-642. 

  4. 고상숙, 박만구, 한혜숙(2013). 교구 및 공학도구를 활용한 수학적 과정중심 평가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4), 675-694. 

  5. 교육부(2015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6. 교육부(2015b). 초등학교 1-2학년군 1-1, 1-2, 2-1, 2-2 수학 교과서. 서울: 천재교육. 

  7. 교육부(2015c). 초등학교1-2학년군1-1, 1-2, 2-1,2-2 수학교사용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8. 교육부(2015d). 제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 기본 방향. 교육부. 

  9. 교육부(2016). 학교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 지침 일부개정안. 교육부. 

  10. 김정민(2018). 과정중심평가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0). 839-859. 

  11. 대구교육대학교(2018). 교사 및 예비교사를 위한 수업 역량 개발을 위한 워크숍. 대구교육대학교. 

  12. 박경미, 박선화, 권점례, 윤상혁, 강현영, 이경진, 최지선, 강은주, 김민정, 이광상, 김재영, 이관연, 한준철, 김선희, 방정숙, 이경은, 도종훈, 이문호, 황선미, 임해미, 이화영, 조혜정, 박정숙, 이승훈, 박문환, 김성여, 임미인, 권영기, 서보억, 이은정, 김완일, 장혜원, 이만근, 권오남, 안현정, 이지윤, 강성권, 강태석, 김화경, 신동관, 오택근, 전인태(2015). 2015 개정 수학과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BD15120005. 

  13. 반재천, 김선, 박정, 김희경(2017).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교육과정평가연구, 12(3), 105-130. 

  14. 방정숙, 조수윤(2014). 수학 수업을 위한 초등 교사의 지도안 작성 실태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4). 365-390. 

  15. 서종진, 윤연수(2010). 평가를 통한 수학학습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2), 185-203. 

  16. 이경화, 강현영, 고은성, 이동환, 신보미, 이환철, 김선희(2016). 과정중심평가의 실행을 위한 방향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26(4), 819-834. 

  17. 정민수, 김연경, 부재율(2019). 수학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교사학습공동체의 동료코칭 실행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6(1), 19-49. 

  18. 정상권, 이경화, 유연주, 신보미, 박미미, 한수연(2012). 수학적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수학교육학연구, 22(3), 401-427. 

  19. 정현진(2018). 수학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소고(초등수학2학년 현장 적용 사례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술지, 2016(3). 40-46. 

  20. 조용기(1996). 참평가. 초등교육연구, 8, 1-11. 

  21.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7).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 어떻게 할까요, OMR 2017-19-2. 

  22.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3). 창의인성교육 실현을 위한 평가방법 개선 종합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E 2013-20. 

  23. 한국창의재단(2016). 2016 수학교육 정책사업 공고. 한국창의재단. 

  24. 황우형, 구자형(2006). 수학과 평가틀 비교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4), 497-520. 

  25. 학생평가지원포털(https://stassess.kice.re.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