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ichia anomala JK04와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 혼합발효에 의한 캠벨얼리 와인과 아로니아 와인의 블렌딩 효과
Blending effect of Campbell Early and aronia wines fermented by the mixed culture of Pichia anomala JK04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4 no.3, 2017년, pp.472 - 482  

정효성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이새벽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여수빈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김다혜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최준수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김동환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여수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박희동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산 캠벨얼리 와인의 주질 개선과 기능성 향상을 위해 캠벨얼리 뿐만 아니라 안토시아닌폴리페놀 성분이 풍부하여 항산화능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아로니아를 이용하여 상업용 효모인 S. cerevisiae Fermivin과 향미증진능을 지닌 P. anomala JK04를 각각 단독 또는 5:5(v/v)의 비율로 혼합발효한 후 블렌딩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최적 블렌딩 비율을 정하기 위하여 예비실험으로 캠벨얼리 와인에 아로니아 와인을 각각 5, 10, 20%(v/v) 첨가하여 항산화능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캠벨얼리 와인과 아로니아 와인의 블렌딩 비율을 9:1(v/v)로 설정하였다. P. anomala JK04로 단독발효한 캠벨얼리 와인은 낮은 알코올 함량으로 인해 블렌딩에서 제외하였고, 나머지는 발효에 이용된 균주에 따라 블렌딩하였다. 블렌딩와인의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총 안토시아닌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모든 블렌딩와인에서 대조구인 S. cerevisiae로 단독발효한 캠벨얼리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블렌딩와인의 유리당 분석 결과에서는 P. anomala JK04로 단독발효한 아로니아 와인을 첨가한 시험구(A,D)에서 glucose와 fructose 같은 잔당이 남아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유기산 분석 결과에서는 상기 두 시험구에서 특히 malic acid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다. 블렌딩와인의 외관적 품질을 검사하기 위해 색도, 휘발성 향기성분, 관능검사가 수행되었으며, P. anomala JK04를 사용 여부에 따라 A, B, C와 D, E, F 순으로 hue와 intensity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Hunter's color value에서는 아로니아 와인의 첨가가 와인의 a value와 b value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휘발성 향기성분분석에서는 P. anomala JK04의 사용이 와인에 부정적인 성분인 aldehyde와 acid 함량이 소폭 증가시키긴 하였지만, 중요한 향기성분은 ester 화합물의 함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P. anomala JK04로 단독발효한 아로니아 와인을 사용한 시험구(A,D)에서 색, 맛, 신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다른 시험구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향기 항목에서는 모든 블렌딩와인이 대조구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캠벨얼리 와인에 아로니아 와인을 블렌딩하여 기능성을 증가시켰으며, S. cerevisiae Fermivin과 P. anomala JK04를 혼합발효하여 향기성분의 증가 및 관능적 품질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mprove functionality and palatability of Korean Campbell Early wine. Campbell Early and aronia were fermented by either individually or at 5:5 (v/v) mixed culture of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 and Pichia anomala JK04. Blending was carried out using those two wines with different mixing 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산 캠벨얼리 와인의 기능성 및 관능적 특성의 향상을 위하여 캠벨얼리와 아로니아를 P. anomala JK04와 S. cerevisiae Fermivin을 이용하여 각각 단독발효 또는 혼합발효를 진행하였으며, 발효가 종료된 각 와인들을 블렌딩하여 그에 따른 블렌딩와인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국산 캠벨얼리 와인의 주질 개선과 기능성 향상을 위해 캠벨얼리 뿐만 아니라 안토시아닌과 폴리페놀 성분이 풍부하여 항산화능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아로니아를 이용하여 상업용 효모인 S. cerevisiae Fermivin과 향미 증진능을 지닌 P. anomala JK04를 각각 단독 또는 5:5(v/v)의 비율로 혼합발효한 후 블렌딩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최적 블렌딩 비율을 정하기 위하여 예비실험으로 캠벨얼리와인에 아로니아 와인을 각각 5, 10, 20%(v/v) 첨가하여 항산화능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캠벨얼리 와인과 아로니아 와인의 블렌딩 비율을 9:1(v/v)로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2)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ame column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 (p<0.05).
  • 2)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ame row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ichia anomala가 생성하는 향기 관련 화합물은? Non-Saccharomyces 종은 알코올 함량이 낮은 발효 초기 단계에 왕성하게 활동하여 와인에 독특한 풍미와 특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그 중에서 Pichia anomala는 아세트산, 글리세롤, 에스테르, 아세토인 등의 향기에 관여하는 화합물을 생성한다고 알려져 있다(14). 본 연구실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분리한 P.
캠벨얼리란? 캠벨얼리(Campbell Early)는 미국에서 개량한 Vitis labrusca 종에 속하는 교잡종으로 우리나라 토양과 기후조건에 적합하고 완숙이 되면 단맛과 신맛을 나타내며, 미국 종 특유의 향미가 있어 생과용으로서 사용되는 품종이다(1,2). 또한 캠벨얼리는 우리나라 포도 재배면적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3) 국산 와인 제조 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품종으로 알려져 있으나, 산도가 강하고 당도가 낮아 와인 제조 시 색과 향이 약하고 바람직하지 못한 특유의 호취향(fox aroma)을 내어 포도주 양조에 적합하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4).
국산 캠벨얼리 와인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이유는 캠벨얼리의 어떤 특징 때문인가? 캠벨얼리(Campbell Early)는 미국에서 개량한 Vitis labrusca 종에 속하는 교잡종으로 우리나라 토양과 기후조건에 적합하고 완숙이 되면 단맛과 신맛을 나타내며, 미국 종 특유의 향미가 있어 생과용으로서 사용되는 품종이다(1,2). 또한 캠벨얼리는 우리나라 포도 재배면적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3) 국산 와인 제조 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품종으로 알려져 있으나, 산도가 강하고 당도가 낮아 와인 제조 시 색과 향이 약하고 바람직하지 못한 특유의 호취향(fox aroma)을 내어 포도주 양조에 적합하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4). 따라서 국산 캠벨얼리 와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효 과정 중 감산 효과를 지닌 Issatchenkia orientalis와 Saccharomyces cerevisiae의 혼합발효(5), 머스트 전처리 과정 중 carbonic maceration 처리(6),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한 malolactic fermentation(7) 등을 통해 신맛의 주원인이 되는 malic acid 함량을 낮추는 연구들과 MBA, Stuben, 머루, 블루베리, 복분자, 블랙커런트 등 다양한 과실의 혼합에 따른 캠벨얼리 와인의 주질 향상(2), 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Kim MA (2015)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ampbell Early wine based on the amount of Korean indigenous Hanseniaspora uvarum cells.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p 1 

  2. Yook C, Seo MH, Kim DH, Kim JS (2007) Quality improvement of Campbell Early wine by mixing with different frui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90-399 

  3. Kim SH, Choi IM, Cho JG, Han JH, Hwang JH, Seo HH, Yun HK (2011)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ruit quality of ‘Campbell Early' grapes and climatic factors. Korean J Agric For Meteorol, 13, 93-100 

  4. Lee JB (2014) Effects of a Hanseniaspora uvarum isolated from Korean grapes on the quality of wine fermented using Campbell Early grape must.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p 2 

  5. Kim DH, Hong YA, Park HD (2008) Co-fermentation of grape must by Issatchenkia orientali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reduces the malic acid content in wine. Biotechnol Lett, 30, 1633-1638 

  6. Chang EH, Jeong ST, Jeong SM, Lim BS, Noh JH, Park KS, Park SJ, Choi JU (2011) Deacidification effect of Campbell Early must through carbonic-maceration treatment: Isolation and properties of the bacteria associated with deacidification. Korean J Food Preserv, 18, 973-979 

  7. Lee SB, Kim DH, Park HD (2016) Effects of protectant and rehydration conditions on the survival rate and malolactic fermentation efficiency of freeze-dried Lactobacillus plantarum JH287. Appl Microbiol Biotechnol, 100, 7853-7863 

  8. Hong YA, Park HD (2013) Role of non-Saccharomyces yeasts in Korean wines produced from Campbell Early grapes: Potential use of Hanseniaspora uvarum as a starter culture. Food Microbiol, 34, 207-214 

  9. Kahkonen MP, Hopia AI, Heinonen M (2001) Berry phenolic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49, 4076-4082 

  10. Hou DX (2003) Potential mechanisms of cancer chemoprevention by anthocyanins. Curr Mol Med, 3, 149-159 

  11. Park HJ, Chung HJ (2014) Influence of the addition of aronia powder on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uffins. Korean J Food Preserv, 21, 668-675 

  12. Song JH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dressing containing aronia (black chokeberry). MS Thesis, Sejong University, Korea, p 1-3 

  13. Park SH, Park JH, Noh JG, Shin HM, Lee SH, Kim YH, Eom HJ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ronia jams added with apple. Korean J Food Preserv, 23, 180-187 

  14. Rojas V, Gil JV, Pinaga F, Manzanares P (2001) Studies on acetate ester production by non-Saccharomyces wine yeasts. Int J Food Microbiol, 70, 283-289 

  15. Kwon SJ, Choi JS, Yeo SH, Park HD (2015)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wine by the mixed culture of Pichia anomala JK04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 cells. Korean J Food Preserv, 22, 768-777 

  16. Wahyono A, Lee SB, Kang WW, Park HD (2016) Improving bread quality using co-culture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Torulaspora delbrueckii JK08, and Pichia anomala JK04. Ital J Food Sci, 28, 298-313 

  17. Kwon SJ (2015)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wine fermented by the mixed culture of Pichia anomala JK04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p 18-27 

  18. AOAC (200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210-219 

  19. Ahmed H (2004) Principles and reactions of protein extrac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CRC Press, London, England, p 350-352 

  20. Liquors Licence Aid Center (2010) Code for analysis of alcoholic beverages. National Tax Service, Seoul, Korea, p 39, p 104-202 

  21. KFDA (2010) Food code. Korean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10, 3-25 

  22. Giusti MM, Wrolstad RE (2001) Characterization and measurement of anthocyanins by UV-visible spectroscopy. Curr Protoc Food Analyt Chem, F1.2.1-F1.2.13. 

  23. Ough CS, Amerine MA (1980) Methods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es. Wiley & Sons, New York, NY, USA, p 176-180 

  24. Yoo CY (2013) Antioxidant and anti-diabetes inhibitory activity of Gossypium semen extracts.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p 6 

  25. Kim DH, Lee SB, Park HD (2014)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ider from late harvest Fuji apples by a sugar tolerant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SS89. Korean J Food Preserv, 21, 917-924 

  26. SAS (2004) SAS/STAT 9.3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p 313-383 

  27. Domizio P, Romani C, Lencioni L, Comitini F, Gobbi M, Mannazzu I, Ciani M (2011) Outlining a future for non-Saccharomyces yeasts: Selection of putative spoilage wine strains to be used in association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for grape juice fermentation. Int J Food Micriobiol, 147, 170-180 

  28. Park WM, Park HG, Rhee SJ, Lee CH, Yoon KE (2002) Suitability of domestic grape, cultivar Campbell's Early, for production of red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90-596 

  29. Jackson RS (2008) Wine science: Principles and applications. 3th ed,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p 1-14 

  30. Lee JA, Yoon JY (2016) The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okies containing aronia powder. Culi Sci Hos Res, 22, 179-189 

  31. Vas G, Gal L, Harangi J, Dobo A, Vekey K (1998) Determination of volatile aroma compounds of blaufrankisch wines extracted by solid-phase microextraction. J Chromtogr Sci, 36, 505-510 

  32. Mingorance-Cazorla L, Clemente-Jimenez JM, Martinez-Rodriguez S, Las Heras-Vazquez FJ, Rodriguez-Vico F (2003) Contribution of different natural yeasts to the aroma of two alcoholic beverages.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19, 297-304 

  33. Sun SY, Che CY, Sun TF, Lv ZZ, He SX, Gu HN, Shen WJ, Chi DC, Gao Y (2013) Evaluation of sequential inocula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Oenococcus oeni strains on the chemical and aromatic profiles of cherry wines. Food Chem, 138, 2233-2241 

  34. Jeong EJ, Jeon SY, Baek JH, Cha YJ (2011)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ommercial vinegar beverages derived from fruits. J Life Sci, 21, 292-299 

  35. Molina AM, Swiegers JH, Varela C, Pretorius IS, Agosin E (2007) Influence of wine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synthesis of yeast-derived volatile aroma compounds. Appl Microbiol Biotechnol, 77, 675-687 

  36. Jiang B, Zhang Z (2010) Volatile compounds of young wines from Cabernet Sauvignon, Cabernet Gernischet and Chardonnay varieties grown in the Loess Plateau region of China. Molecules, 15, 9184-9196 

  37. Duarte WF, Dias DR, Oliveira JM, Vilanova M, Teixeira JA, Almeida e Silvar JB, Schwan RF (2010) Raspberry (Rubus idaeus L.) wine: Yeast selection, sensory evaluation and instrumental analysis of volatile and other compounds. Food Res Int, 43, 2303-2314 

  38. Dixon J, Hewett EW (2000) Factors affecting apple aroma/flavour volatile concentration: A Review. New Zeal J Crop Hortic Sci, 28, 155-1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