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교육에서 교수리더십, 학습동기,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귀농·귀촌 학습자를 중심으로-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Instructional Leadership,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Outcome - Urban-Rural Migrant Learners -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4 no.1, 2017년, pp.21 - 31  

박유순 (숭실대학교대학원) ,  최은수 (숭실대학교 평생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dult educators' instructional leadership, learners' motivation and performance among those participants in education for urban-rural migr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2 agricultural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귀농⋅귀촌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귀농⋅귀촌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Houle의 동기 유형을 사용하여 귀농⋅귀촌학습자의 학습동기요인을 목표지향형 동기, 활동지향형 동기, 학습지향형 동기로 설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귀농⋅귀촌교육 프로그램을 담당하면서 교수 역할을 하는 자를 교수자라 지칭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수리더십을 귀농⋅귀촌교육학습자의 학습동기를 고취하고 학업성과, 전문가적 성장을 지원하며, 교육활동을 촉진하는 성인교수자의 리더십으로 정의하고, 측정변인으로 안드라고지적 지향성, 지식과 기술, 강의기법으로 선정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러한 능력들, 학습자의 역량, 적절한 교수법에 대한 공감, 학습 전략에 대한 평가는 멘토 교사와 임상 전문가, 교수자들의 투입에 의해 이루어지며(Dinham, 2013), 교수법 개발은 전 시스템에 걸쳐 변화가 있어야 한다(Stein & Nelson, 2003). 교수리더십이 효과적으로 발휘될 때에 학습의 효과는 극대화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귀농이란 무엇인가? 귀농⋅귀촌의 개념을 학자들의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다. 귀농은 농촌으로 이주하여 농업에 종사하면서 살아가는 것이며, 귀촌은 농업에 종사 여부와 상관없이 농촌으로 이주하여 사는 것을 말한다(김정섭, 2009).
귀농⋅귀촌교육 프로그램을 맡고 있는 성인교육기관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정부교육기관, 자치단체, 대학 평생교육원 및 민간 평생교육기관 등의 성인교육기관에서 제공되고 있다. 이렇게 각 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귀농⋅귀촌교육 프로그램이 교수자에 의해 인위적으로 구성되거나 바쁜 업무로 인하여 학습자의 수요를 완전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개선 방안도 적절하게 피드백 되지 못하고 있거나, 관성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있어 교육과정에 대한 모니터링 및 품질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의견이다(송용섭 & 황대용, 2010).
개인의 행복과 100세 시대에 맞는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해 필요한것은? 현대사회의 급속한 구조적⋅기능적 변화로 지식⋅정보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지식과 정보의 생성과 소멸 주기가 매우 짧아지고 있다. 성인이 이러한 사회변화에 적응하고 개인의 행복과 100세 시대에 맞는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미래를 능동적으로 계획하고 자기주도적으로 지식을 습득하는 학습이 필요하다. 성인교육현장에서 학습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현상은 성인학습자가 평생학습 경험을 통해 자신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 바람직한 변화를 추구하려는 의지의 표출이다(최은수 등,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4)

  1. 고상환, & 김동현. (2011). 제주지역 귀농귀촌 교육 참여자 특성 및 교육 만족도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18(4), 983-1010. 

  2. 고성진. (2010). 훈육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생도들의 학습동기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3. 고영미, & 유영의. (2014). 셀프 리더십 강좌가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유아 교육학논집, 18(5), 541-560. 

  4. 구주형, 한상훈, & 강훈. (2015).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의식, 참여동기, 학습성과에 관한 구조적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7), 4537-4548. 

  5. 김영미, & 한상훈. (2012). 성인학습자의 자아개념, 참여동기 및 학습참여도와 평생학습 성과의 구조적 분석. 교육연구논총, 33(2), 123-143. 

  6. 김영화, 전도근, & 최종철. (2007). 성인학습자 관점에서 접근한 평생교육강사 평가준거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34(2), 155-186. 

  7. 김애련. (2004). 대학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 인식 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8. 김애련. (2006).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 진단척도(ALDS). 교육과학사. 

  9. 김정섭. (2009).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과제. 농촌지도와 개발, 16(3), 533-556. 

  10. 김종숙. (2007). 이러닝의 학습만족도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대학원. 

  11. 김희곤. (2014). 다원적 군(軍) 교수자 교수역량이 학습자의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훈련 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12. 남기찬, 임효창, & 황국재. (2002). 온라인 교육훈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 학회지, 27(1), 75-94 

  13. 농림축산식품부. (2013). 귀농.귀촌인 통계. 

  14. 농림축산식품부. (2016). 2015년 귀농.귀촌 통계. 

  15. 마상진. (2007). 농업인 교육?훈련 담당자 의 전문성과 교육요구. 농업교육과 인적자 원개발, 39(1), 117-136. 

  16.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17. 박도영. (2005). 학습동기, 학습의지와 몰입 감 통합모형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10, 81-100. 

  18. 박창동, & 이희수. (2011). 성인학습자의 공식적 CoP 참여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K은행을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17(3), 83-107. 

  19. 변주성. (2009). 평생교육기관 도자교육 프로그램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구조분석.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 서규선, & 변재면. (2000). U턴 귀농자 장.단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농촌지도와 개발, 7(1), 137-153. 

  21. 서만용, & 구자인. (2005). 귀농자의 농촌 정착에 관한 탐색적 연구. 농촌관광연구, 12(2), 145-171. 

  22. 서창갑. (2013). 이러닝에서 교수자 역할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디지털 융복합연구, 11(8), 341-347. 

  23. 송상호. (2000). 동기적으로 적응적인 웹기반 수업설계 방안의 고찰. 교육 공학연구, 16(2), 37-53. 

  24. 소연희. (2009). 학습자의 교수몰입에 대한 지각정도가 자기효능감, 학습동기가 수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47(4), 76-95. 

  25. 송용섭, & 황대용. (2010). 녹색성장과 연계한 농업농촌교육의 성과와 선진화방안. 한국농업교육학회 2010 정기학술대회(귀농.귀촌교육의 실태와 발전방안), 한국농업교육학회. 

  26. 신승원. (2011). 성인영어교수자의 교수리더십, 성인영어 학습자의영어자아개념,셀프리더십, 영어교사효능감, 교육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27. 신은정. (2012).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28. 우성호, & 이성근. (2015). 귀농.귀촌의 의사결정요인에 관한 연구-경상북도 6개 시.군을 대상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22(2), 101-116. 

  29. 유일, & 신선진. (2006). 교수자요인과 매체풍부성인 원격교육학습자의 이용의도와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5(3), 35-53. 

  30. 이기환. (2003). 평생교육학습자의 참여동기와 만족도.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31. 이민수, & 박덕병. (2011). 도시민 농촌이주에 대한 주요쟁점과 시사점. 농촌지도와 개발, 18(1), 1-33. 

  32. 이민수, & 박덕병. (2012). 도시민의 귀촌행태 유형화와 시사점. 농촌지도와 개발, 19(4), 1137-1170. 

  33. 이재은, 유병민, & 박혜진. (2012). 원격교육에서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동기와 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농촌지도와 개발, 22(2), 233-243. 

  34. 이정수. (2012). 군 조직원의 상사 변혁적 리더십, 자기주도학습 및 학습동기가 적응력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35. 이종훈, & 김성환. (2015). 학습공동체에서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 학습만족도, 학습 성과 간의 구조관계분석. 기업교육연구, 17(2), 1-29. 

  36. 이은주. (2001). 몰입에 대한 학습동기와 인지전략의 관계. 평생심리연구, 15(3), 199-216. 

  37. 임숙경. (2007). 여성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성과 및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38. 전선영. (2012). 성인학습자의 학습자특성과 교육기관특성이 평생교육 참여성과에 미치는 영향 참여동기 및 학습만족수준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39. 정미희. (2013).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에 따른 학습성과 인식 연구 - S시 평생학습관 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40. 정주영. (2012).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핵심역량개발 연구. 수산해양교육 연구, 24(2), 21-223. 

  41. 정철영. (1998). IMF에 따른 귀농희망 실업자를 위한 영농교육훈련의 실태 및 개선방안.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2(1), 1-26. 

  42. 최운실. (2005).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성과 분석-HRD자본, 사회문화적 자본, 개인적 자본 측면의 성과 인식을 중심으로. 직업 교육 연구, 24(3), 381-419. 

  43. 최윤지, 한송희, & 공민재. (2015). 귀농 교육의 만족도, 성취도, 효과성 분석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21(1), 51-61. 

  44. 최윤지, & 신효연. (2016). 귀농인의 영농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23(3), 335-346 

  45. 최은수. (2006). 성인교육자 리더십과 리더십 개발 연구를 위한 이슈의 개념화와 이론적 틀. Andragogy Today, 9(3), 107-143. 

  46. 최은수, 권기술, 진규동, 손판규, 김민서, 신승원, 김진혁, 박재진, 이미섭, 강찬석, 강영환, 이희 & 박시남. (2013). 뉴 리더십 와이드. 학지사. 

  47. 한상훈. (2003).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동기와 자기주도 학습간의 관계. 평생교육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9(3), 225-246. 

  48. 한상훈. (2007).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와 자기주도학습과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7(2), 355-374. 

  49. 함석열. (2010).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 임파워먼트와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상지대학교 대학원. 

  50. 홍길표, & 임효창. (2006). 공무원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경영학회, 산학경영연구, 19(2), 95-116. 

  51. Beder, H. (1999). The outcomes and impacts of adult literacy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Cambrige, MA: National Center for the Study of Adult Learning and Literacy. 

  52. Boone, E. J. (1985). Developing Programs in Adult Educa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53. Boshier, R. (1971). Motivational orientations of adult education participants: A factor analytic exploration of Houle's typology. Adult Education, 21(2), 3-26. 

  54. Cardno, C. (2006). Leadership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quiet revolu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Management, 19(4). 292-306. 

  55. Deci, E. L., & Ryan, R. M.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strinsic motivati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January, 68-78. 

  56. Dinham, (2013). Connecting clinical teaching practice with instructional leadership. 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 57(3), 225-236. 

  57. Hallinger, P., & Murphy, J. (1985). Assessing the instructional management behaviors of principal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6(2), 217-247. 

  58. Hearn, R. M. (2010). An evaluation of instructional coaching at selected high schools in North Louisiana and its effect on student achievement, organizational climate, and teacher effica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Louisiana Tech University. 

  59. Hill, D. C. (2012). Learning outcomes perceptions about the influence of ABET accreditation on OSH education. Professional Safety, 57(10), 53-61. 

  60. Houle, C. O. (1961). The inquiring mind.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61. Knowles, M. S. (1980). The modern practice of adult education: From pedagogy to andragogy(2nd ed.). NY: Cambridge Books. 

  62. Knowles, M. S., Holton III, E. F. & Swanson, R. A. (2005). The adult learner (6th ed.). Cambridge, MA: Elsevier Inc. 

  63. Merriam, S. B., & Bierema, L. L. (2014). Adult learning: Linking theory and practice. San Francisco, CA: Jossey-Bass. 

  64. Marks, H. M., & Printy, S. M. (2003). Principal leadership and school performance: An integration of transformational and instructional leadership.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39(3), 370-397. 

  65. Morin, K. H. & Bellack, J. P. (2015). Student learning outcom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4(3), 53-54. 

  66. Morstain, B. R. & Smart, J. C. (1974). Reasons for participation in adult education courses: A multivariate analysis of group differences. Adult Education, 24(2), 83-98. 

  67. Neumerski, C. M. (2012). Rethinking instructional leadership, a review: What do we know about principal, teacher, and coach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where should we go from here. Educational Administration, 49(2), 310-347. 

  68. Peacock, J. S. (2014). Science instructional leadership: The role of the department chair. Science Educator, 23(1), 37-48. 

  69. Printy, S. (2008). Leadership for teacher learning: A community of practice perspective.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44(2), 187-226. 

  70. Renta-Davids, A., Jimenez-GonZalez, J., Fandos-Garrido, M., & Gonzalez- Soto, A. (2014). Transfer of learning motivation, training design and learning?conducive work effects. European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38(8), 728-744. 

  71. Sass, E. J. (1989). Motivation in the college classroom: What students tell us. Teaching of psychology, 16(2), 86-88. 

  72. Smylie, M, A., & Denny, J. W. (1990). Teacher leadership: Tensions and ambiguities in organizational perspective.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26(3), 235-259. 

  73. Stein, M. K., & Nelson, B. S. (2003). Leadership content knowledge.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25(4), 423-448. 

  74. Wang, Y., Peng, H., Huang, R., Hou, Y., & Wang, J. (2008). Characteristics of distance learners: Research on relationships of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self-efficacy, attribution and learning results. Open Learning, 23(1), 17-2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