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 기반 학습원리를 적용한 유아디자인교육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Design Education Program Activities Based on Brain-Compatible Learning Principles 원문보기

韓國保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v.17 no.2, 2017년, pp.45 - 73  

안경숙 (호원대학교 유아교육과) ,  신애선 (호원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뇌 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유아디자인교육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실험집단 연구대상은 K광역시에 위치한 I유치원 만 5세반 유아 17명, 비교 집단의 연구대상은 S유치원 만 5세반 유아 19명이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8주 동안 16회에 걸쳐 뇌 기반 원리를 적용한 유아디자인교육 활동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은 연령별 만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미술 교육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뇌 기반 원리를 적용한 유아디자인교육 활동을 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창의성의 유창성, 독창성, 민감성 점수가 높았다. 둘째, 뇌 기반 원리를 적용한 유아디자인교육 활동을 한 실험집단 유아들은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도움주기, 의사소통 능력, 나누기, 감정이입 및 조절 점수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뇌 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유아디자인교육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 있어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는 유아의 창의성과 친사회적 행동 향상을 돕기 위한 교수 학습방법으로 뇌 기반 원리를 적용한 유아디자인교육 활동이 의미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design program based on brain-compatible learning principles. Subjects were thirty-six children from two class of I kindergarten and S kindergarten in K city. One class was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had early child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한계는 곧 유아 주도적 활동을 제한하여 유아를 타지화 및 주변화 시키는 문제가 야기될 가능성이 있으며(김희연, 정선아, 2006; 임수진, 이혜원, 2008), 이러한 한계는 유아의 친사회성 발달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 과학적 측면에서 도출된 뇌 기반 학습원리 중 시각예술 분야에 적용가능성이 높은 학습 원리를 도출하고, 유아디자인교육에 적용하여 유아의 창의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은 다양한 영역의 발달과 관련된 유아디자인교육을 제안하고는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주로 디자인 활동과 창의성 및 인지 발달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들로 제한되어 있으며, 뇌 기반 학습 과학적 접근 방식에 기초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애선, 안경숙(2016)이 개발한 뇌 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유아디자인교육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자인이란? 디자인(design)은 인간 생활의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창의성과 심미성 및 실용성을 반영하여 사람들의 마음에 드는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을 의미한다(유명환, 배윤선, 2007; Nelson, & Stolterman, 2000). 디자인은 인간이 자신의 필요와 요구에 의해 오래전부터 자연스럽게 해왔던 활동으로 인간의 심리와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면서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발전되어 왔으며, 특히 현대 사회에서는 거의 모든 분야에 있어서 인간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Papanek, 1996; Nelson, & Stolterman, 2000).
디자인 교육이 유아기부터 시작되어야 하는 이유중 하나는? 이와 같이 디자인 교육이 유아기부터 시작되어야 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차원에서 찾아볼 수 있다. 첫째, 인간의 뇌에 미술적 경험을 다루는 전문화된 부위인 대뇌피질의 후두엽 시각피질이 유아기에 집중적으로 발달하기 때문이다(조동균, 2004; Jensen, 2001). 유아들이 그림 그리는 것을 배우지 않아도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그림으로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는 것은 바로 뇌의 후두엽 시각피질 부위가 시각적 정보처리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이 미술의 근본적인 기능과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디자인은 어떻게 변화해왔는가? 디자인(design)은 인간 생활의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창의성과 심미성 및 실용성을 반영하여 사람들의 마음에 드는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을 의미한다(유명환, 배윤선, 2007; Nelson, & Stolterman, 2000). 디자인은 인간이 자신의 필요와 요구에 의해 오래전부터 자연스럽게 해왔던 활동으로 인간의 심리와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면서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발전되어 왔으며, 특히 현대 사회에서는 거의 모든 분야에 있어서 인간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Papanek, 1996; Nelson, & Stolterman, 2000). 인간은 좋든 싫든 디자인 세상에 둘러싸여 살아가고 있으며,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기 위해 끊임없이 디자인하면서 사회 변화를 유도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3)

  1. 공영애(2008).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교육부(2013). 2013개정 유치원 교육과정(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2-16호. 

  3. 김계현(2013). 뇌 친화적 교수-학습 수업 활동 연구. 한국 뇌 기반 교육연구소. 

  4. 김숙이, 신애선, 강혜경(2017). 그림이야기책에 기초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에서 유아의 창의성 및 언어표현력에 대한 차이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6(1), 5-27. 

  5. 김영옥(2003).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 개발 연구. 아동학회지, 24(5), 105-118. 

  6. 김영혜(2005). 미술협동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그림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희연, 정선아(2006). 어린이의 삶의 관점에서 본 유아보육, 교육과정의 본질. 유아교육연구, 26(5), 355-376. 

  8. 남효순(2013). 뇌 기반 교육에 기초한 유아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동풀잎(2008). 디자인 중심의 통합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 189-195. 

  10. 문근우(2003). 창의성 신장을 위한 미술교육 연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문승호(2004). 뇌 기반 학습이론에 기초한 교육과정 개발 모형.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문현희, 김소향(2017). 디자인을 통한 입체미술활동이 만5세 유아의 추론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1), 93-118. 

  13. 박은서, 이경님(2017). 미술 통합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2(1), 95-119. 

  14. 박인숙(2015). 동화를 활용한 배려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4), 45-66. 

  15. 박현경(2012). 점토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2(2), 229-247. 

  16. 변영신, 김유빈(2012).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근거한 협력적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9(1), 111-122. 

  17. 보건복지부(2014).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서울 :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18. 서영옥(2010). 미술영재아의 뇌인지 특성을 고려한 미술지도 방안 고찰. 아동미술교육, 9, 56-69. 

  19. 서송숙, 박승순(2012). 다문화적 반편견 미술활동이 유아의 편견개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2(4), 25-43. 

  20. 서소정, 변민지, 하지영(2016).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유아-교사 관계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6(4), 245-270. 

  21. 서용모, 이예주, 안유정, 오치규(2014). IPA 분석을 활용한 유아 대상의 디자인 교육 품질에 대한 인식연구. -유아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디자인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8), 15968-4877. 

  22. 서울교대미술교육연구회(2009). 인간을 위한 미술교육. 서울 : 미진사. 

  23. 손수연, 이진희(2014).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및 교육실습경험에 따른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 한국보육학회지, 14(2), 59-81. 

  24. 송순옥(2012).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송지성, 이성애(2012). 인지 발달적 상호작용이 유아 디자인교육에 미치는 영향: 피아제(Jean Piaget)와 비고츠키(Lev S. 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8(3), 215-227. 

  26. 신애선, 안경숙(2016). 뇌 기반 유아디자인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 및 요구에 대한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15(4), 23-48. 

  27. 안경숙(2014). 뇌 기반 연구가 유아 행복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 한국영유아보육학, 80, 1-17. 

  28. 안경숙(2015). 뇌 친화적 수업원리에 기초한 예비유아교사 대상의 유아미술교육 수업모형 개발. 유아교육연구, 35(3), 279-307. 

  29. 안경숙(2016). 뇌 기반 학습원리를 적용한 예비유아교사 유아동작교육 수업의 질적 효과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6(1), 53-77. 

  30. 양새롬, 김성희, 김성현(2013). 미술요소 중심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성, 언어능력,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31(1), 207-235. 

  31. 양수영(2012). 영유아 뇌 기반 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양수영(2014). 뇌 기반 창의 동작활동 중심의 동작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및 경험의 의미. 유아교육학논집, 18(1), 171-197. 

  33. 오유경(2013). 만 4-5세 유아의 감성지능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유아 통합미술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유명환, 배윤선(2007). 디자인으로 문화읽기. 서울 : 한국학술정보. 

  35. 윤숙현(2010).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관한 반성적 고찰. 한국보육학회지, 10(1), 143-167. 

  36. 이성애(2013). 인지 발달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 디자인교육 방법 연구 : 혼합연령 종일반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이노베이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옥경, 이진희(2015). 유아 정서 지식의 기초학습능력에 대한 단기 종단적 예측력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24(3), 239-253. 

  38. 이종길(2015). 유용성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아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이종길, 정지현(2012).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접근을 활용한 유아 디자인 교육에 대한 기초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3), 355-378. 

  40. 이혜원, 양옥승(2006). 교사용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평가척도 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26(2), 69-91. 

  41. 임부연, 김은희, 최남정(2008). 아뜰리에 교사의 미술재료에 대한 사례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2(4), 251-276. 

  42. 임수진, 안경숙(2015). 뇌 친화적 수업원리에 기초한 예비유아교사 대상의 유아미술교육 수업모형 개발. 유아교육연구, 35(3), 279-307. 

  43. 임수진, 이혜원(2008). 심미적 접근을 통한 유아교육과정의 재 개념화. 교육의 이론과 실천, 13(1), 155-173. 

  44. 임지애(2000). 협동학습에 기초한 미술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전경원(2001). 유아 도형 창의성 검사 전문가 지침서. 서울: 학지사. 

  46. 정미라, 강수경, 김민정(2016). 영아기 부모를 위한 뇌 기반 양육코칭 프로그램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36(3), 230-250. 

  47. 정미라, 권정윤, 박수경, 이방실(2012). 뇌 발달 이론에 기초한 걸음마기 영아-부모 프로그램 모형. 유아교육연구, 32(2), 265-286. 

  48. 조동균(2004). 시각뇌의 기제와 미술교육. 미술교육논총, 18(2), 25-44. 

  49. 조수진(2013). 만 3, 4세 혼합연령학습의 협동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조순옥, 이경화, 배인자, 이정숙, 김정원, 민혜영(2017). 유아사회교육. 서울 : 창지사. 

  51. 조영신 이윤경(2013). 협동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8(1), 81-110. 

  52. 조은우(2010). 혼합연령 집단에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그림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지숙영(2012). 그림책을 통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4. 지주나, 강정원(2015). 만 5세 학급 유아들의 디자인 활동 경험에서 나타난 교육적 의미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 33(3), 143-167. 

  55. 한은숙(2015).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미술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Arnheim, R.(1996). The split and the structure: Twenty-eight essays. Univ of California Press. 

  57. Caine, G., & Caine, R. N.(1994). Making connections. Teaching and the human brain. NJ: Dale Seymour Publication. 

  58. Calderhead, J., & Robson, M.(1991). Images of teaching: Student teachers' early conceptions of classroom practic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7(1), 1-8. 

  59. Connell, R. W.(2005). Change among the gatekeepers: Men, masculinities, and gender equality in the global arena. Journal of Women in Culture and Society, 30(3), 1801-1825. 

  60. Connell, J. D.(2008). 뇌 기반 교수-학습전략(정종진, 임청환, 성용구 역). 서울 : 학지사. 

  61. Cohen, D. H., & Rudolph, M.(1977). Kindergarten and early schooling. Prentice-Hall. 

  62. Corbin, H.(2013). Creative imagination in the Sufism of Ibn'Arabi(Vol. 91). Routledge. 

  63. Edward, L. C.(2010). The creative arts: A process approach for teachers and children.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64. Fox, J. E., & Schirrmacher, R.(2012). Art &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United State:Wadsworth Cengage Learning. 

  65. Fox, N. A., & Rutter, M.(2010).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on the effects of early experience on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81(1), 23-27. 

  66. Gopnik, A., Meltzoff, A. N. & Kuhl., PK(2001). The scientist in the crib: Minds, brains, and how children learn. 

  67. Guilford, J. P.(1968). Intelligence, creativity, and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San Diego: RR Knapp. 

  68. Jensen, M. C.(2001). Value maximization, stakeholder theory, and the corporate objective function. Journal of Applied Corporate Finance, 14(3), 8-21. 

  69. Jensen, E.(2001). Arts with the brain in mind. Alexandria, VA: ASCD. 

  70. Jensen, E.(2005). Teaching with the brain in mind.(2nd ed).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71. Jensen, E.(2010). The (perceived) returns to education and the demand for schooling.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25(2), 515-548. 

  72. Leeper, S. H., Skipper, D. S., & Witherspoon, R. L.(1979). Good schools for young children. 

  73. Mayesky, M.(1998). Fostering creativity and aesthetics in young children: promoting creativity. Creativ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18(3), 13-25. 

  74. Mayesky, M.(2014). Creative Activities and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Cengage Learning. 

  75. Nelson, H. G., & Stolterman, E.(2000). The Case for Design: Creating a Culture of Intention. Educational Technology, 40(6), 29-35. 

  76. Papanek, V.(1986). 인간과 디자인(한도룡, 이혜묵 역). 서울 : 미진사. (원전은 1983에 출판). 

  77. Rueda, M. R., Posner, M. I., & Rothbart, M. K.(2005). The development of executive attention:Contributions to the emergence of self-regulation.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28(2), 573-594. 

  78. Schiller, P. W.(2010). Bi or multifunctional opioid peptide drugs. Life Sciences, 86(15), 598-603. 

  79. Schirrmacher, R.(2006). Art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Delmar Pub. 

  80. Siegel, L. M.(2014). The complete IEP guide: How to advocate for your special ed child. Nolo. 

  81. Sousa, D. A.(2009). 뇌는 어떻게 학습하는가(박승호, 서은희,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원전은 2006에 출판). 

  82. Sperling, R. A., Howard, B. C., Staley, R., & DuBois, N.(2004). Metacogni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nstructs. Educational Research and Evaluation, 10(2), 117-139. 

  83. Zull, J. E.(2002). The art of changing the brain. VA: Stylu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