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다라트(Mandal-Art) 기법을 이용한 웹기반 농업용수 정보시스템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Web-based Agricultural Water Information System using Mandal-Art Method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3 no.4, 2017년, pp.49 - 59  

김솔희 (서울대학교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  김찬우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  정찬훈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  박진선 (충북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김정대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서교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서울대학교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ystem evaluation has increased according to ICT development and this evaluation is required for objective verific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for web-based information system and verify the availability of these evaluation indicato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아이디어의 창의적인 개발 방법인 만다라트(Mandal-Art) 기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전문정보를 제공하는 웹기반 정보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도출된 전문정보에 대한 평가지표와 일반적인 시스템 평가항목을 종합하여 평가를 위한 설문을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정보시스템 평가와 관련된 문헌을 조사하고 이를 창의적인 아이디어 창출기법 중 하나인 만다라트(Mandal-Art) 기법을 이용하여 웹기반 정보시스템을 체계에 따라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도출하였고, 이를 농업용수 통합정보시스템의 평가에 적용하여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시스템 가운데 농촌용수 정보와 관련된 ‘지능형 농촌용수 정보서비스’ 를 대상으로 맞춤형 평가지표를 설정하고 이를 설문을 통해 평가 지표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정보시스템 운영 성과측정 매뉴얼’을 발표하여 정보시스템의 운영에 대한 성과측정 및 정보자원의 처리 방안, 운영 성과관리 및 활용 등에 대한 매뉴얼을 제시하였다(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6). 해당 매뉴얼은 ⌜정보시스템 운영 성과관리지침(행정자치부 고시 제2015-44호, 2015.12.14.)⌟에 따라 정보시스템의 운영 성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기준과 절차, 방법 등을 상세하게 제시하여 정보시스템을 운영하는 담당자가 보다 쉽고 정확한 성과측정 활동을 수행하고 정보시스템 운영 성과관리 제반 사항에 대한 이해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현행 정보시스템의 분석 항목은 크게 어플리케이션, 하드웨어 및 상용 소프트웨어, 데이터 베이스에 대하여 분석대상, 분석관점, 그리고 분석항목(예시)을 제시하고 있다.
  • , 2017). 해당 정보서비스는 농촌용수의 수요와 공급과 관련한 시설과 실시간으로 계측되는 수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적절한 공급량을 결정하는 등의 농촌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능형 농촌용수 정보서비스는 농어촌공사에서 부처의 업무에 따라 구축되어 사용되고 있는 농업기반관리시스템(Rural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RIMS),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Rural Agricultural Water Resource information system, RAWRIS), 농업용수관리자동 화(Tele-Metering/Tele-Control, TM/TC), 농어촌지하수넷 (Groundwater Net), 농촌용수관측관리시스템(UIRRI)을 통합하여 운영되고 있다(Kim and Kang, 2016).

가설 설정

  • 또한 시스템 내에서 정보이동, 정보 접근성, 정보의 이해 용이성도 높은 수준의 만족도로 평가되었다. 정보 접근성의 경우 전문가와 일반인 집단 모두 관리시스템과 상황판의 아이콘 위치를 상단으로 이동할시 접근이 편리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물 관리 담당자가 본 정보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유인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근거는? 지능형 농촌용수 정보서비스가 제공하는 농촌용수 관련 전문 정보가 향후 가뭄 및 홍수와 관련하여 업무 수행 및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질의한 결과 전문가 집단에서는 수리시설물의 위치정보가 비교적 정확하게 구현되어 있어 농촌용수 관련 전문가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의 관계자와 지역민에게 중요한 자료 제공을 제공하고 물 관리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만다라트(Mandal-Art) 기법은? 만다라트(Mandal-Art) 기법은 일본의 디자이너 이마이즈미 히로아키가 1987년에 창안한 발상기법으로써, 특정 주제에 대해 체계성을 가지고 목표를 계획하거나 아이디어를 구체화 시킬 때 유용한 사고확장 방법이다(Tseng et al, 2008; Ryu and Han, 2016). 본질을 뜻하는 'Manda'와 소유를 뜻하는 'la'가 결합한 Manda+la는 '목적을 달성한다'는 의미이며, Mandal+art는 '목적을 달성하는 기술 혹은 그 틀'을 말한다.
농업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는 다수의 정보시스템은 누구를 대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가? 농업분야의 경우 농업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는 다수의 정보시스템은 공무원, 전문가, 그리고 농민 등을 대상으로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자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다. 한국농어촌공사(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는 기존에 개발된 다양한 농업용수 관련 시스템(RIMS, RAWRIS, TM/TC, UIRRI, 그리고 Groundwater Net)과 기상청의 기상 정보, 국토교통부의 브이월드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시스템을 연계하여 보다 효율적인 통합 정보시 스템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있어왔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dachi, M., Ito, E., and T. Fujimoto, 2013. Proposal on Divergent Web Search Engine with Mandal-Art. The 1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net Computing (ICOMP'13). 

  2. DeLone W.H. and E.R. McLean, 1992. Information Systems Success: The Qu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3(1): 60-95. 

  3. Eom, H. and K. Youn, 2007. Health Center Information Systems Evaluation Too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in BSC Framewo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Statistics. 32(1): 1-15. 

  4. Hong, H. and Y. Noh, 2008. A Study on Modeling a Unified Policy Information Service Syste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1): 95-125. 

  5. Jo, J., Yang, D., and B. Choi, 2005. Investigation into Industrial Application of Creative Knowledge Creation Model Using Whole Brain Theory and Creative Thinking Tools.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6(2): 1-22. 

  6. Jung, H. and S. Kim, 2003. An Empirical Study on Development of IS Evaluation Indices : In Case of Public Sectors.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28(4): 155-188. 

  7. Jung, Y., 2010. Implementation Plan of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for Ubiquitous Healthcare Service.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5(2): 115-126. 

  8. Kaplan R. and Norton D., 1992. The Balanced Scorecard: 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vard Business Review, 70(1): 71-79. 

  9. Kim, D., Kang, S., Kim, J., Kim, J., Kim, H. and J. Jang, 2017.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totype for Intelligent Integrated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nd Service including Reservoirs managed by City and Coun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3(3): 163-174. 

  10. Kim, D., Kim, J., Kim, J., Koo, H. and H. Lim, 2016. System Analysis for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trategy of Agricultural Reservoir managed by City and Coun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2(2): 165-173. 

  11. Kim, J., 2004. A Development of User Evaluation Index and A Performance Evaluation in City e-Government Websites: Fosused on Metropolitan Districts.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17(1): 33-54. 

  12. Kim, J., 2005. An Exploratory Study on Developing an Evaluation Model of Web Site - Focused on Tourism Information website.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6(1): 327-349. 

  13. Kim, J. and S. Kang, 2016. Integrated Development of Intelligent Agricultural Water Information Service can Solve Flood and Drought in One Place. Rural Research Institute Focus,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59(August). 

  14. Kim, S., Lee, H., and H. Kwon, 2013. Evaluation Method and Application Examples for Availability Provision of National Defense Information System. Journal of Korea Institute for Defense Analyses. 1493: 13-50. 

  15. Kim, T., Lee, J. and G. Kim, 2002. A Study on the Index Development of Website's Evaluation in Public Sector: Focused on Critical Review of Website's Evaluation Trends.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33: 159-173. 

  16. Martinsons M., Davison R., and Tse D., 1999. The Balanced Scorecard: a Foundation for the Strategic Management of Information Systems. Decision Support Systems, 25: 71-88. 

  17. Moon, T. and H, Moon, 2009.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Methods of Web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Korea Government Department Websites.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2(3): 1511-1535. 

  18.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6. A Performance Measurement Manual of Information System Operation.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19. Park C. and Y. Choi, 2002. The Trend and Index Emphasis of Website Evaluation Research: Focused on the Differences of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10(2002-2): 191-258. 

  20. Park J., and Y. Kang, 2005. Exploring Study for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Technique. Kyung Young Nonchong publised by Business Research Center Dong-A University. 26: 181-193. 

  21. Ryu, H. and G. Han, 2016. A Design Thinking Process with 'Aspie': Developing a New Intervention for People with Asperger's Syndrome. Hanyang Medical Review. 36(1): 11-16. 

  22. Tseng, I., Moss, J., Cagan J. and K. Kotovsky, 2008. Overcoming Blocks in Conceptual Design: The Effects of Open Goals and Analogical Similarity on Idea Generation. Proceedings of the ASME 2008 International Design Engineering Technical Conferences and Computers and Information in Engineering Conference; 2008 Aug 3-Aug 8; New York (NY), USA.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2008: 3-9. 

  23. Yang, D., 2004. Creation and Use of $5{\times}5$ Mandal-Art, Seminar at KAIST and Personal Communi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