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rain complex of Saemangeum is created for promoting the foundation of agriculture combined the global competitiveness. However, the masterplan is being also revised with changing of local conditions and social needs. Thus, the dynamic masterplan is needed to consider the change of time for Sa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상한 작부체계를 통해 새만금 첨단복합농업단지에서 재배한 작물을 국내 시장에서 소비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수입 대체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는 규모화 및 기계화 경작을 통한 생산비 절감으로 저렴하면서도 양질의 조사료를 공급하여 축산농가의 부담을 덜고 축산시장에 활력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새만금 농생명용지는 간척지의 특성상 내부 개발 완료와 동시에 경작이 용이하지 않으며 대규모 구획으로 경지정리가 이루어지므로 순차적 개발과 임대방식 등을 통한 점진적 운영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용지의 해수면 위로 노출된 기간, 지반고, 현제 토양의 염분특성 등을 고려하여 새만금 농생명용지 6-2공구의 단계별 개발 방안을 제안하였다. 평균 지반고는 3유역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해수면 위로 드러나므로, 면적의 비율 및 전체 지형이 6유역의 개발을 최우선으로 두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하였다.
  • 2015년 기준 국내 사료 자급률은 81 %를 기록했지만, 생산성이 낮고 농가선호도가 낮은 볏짚이 사료 생산량 중 약 4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MAFRA, 2016). 따라서 제시한 작부체계를 통해 축산물 품질향상과 축산농가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조사료 생산기반 확충사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자 하였다. 밀, 맥주보리와 같은 곡물은 국내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나 농가운영규모가 영세하여 가격경쟁력 확보가 어려운 작물에 대해 가격 경쟁력 제고방안과 생산 후 안정적 공급처 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
  • 새만금 6-2공구의 농지에 대한 용수공급은 면적 641 ha 중 도로와 용배수로 등 농업용수를 필요로 하지 않는 면적 157 ha를 제외한 484 ha를 대상으로 용수 공급 체계를 구성하였다. 또한 농생명용지에서 작부체계를 바탕으로 작물을 재배하고 농지 조성의 계획을 고려하여 용수 공급을 단계별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용수 수요량은 한발기준 10년 빈도 필요수량, 다목적 용수량, 재염화방지용수량으로 구분지었고 수자원장기종합계획 (MOLIT, 2011)과 농업생산기반 정비사업계획 설계기준 관개편 (MAFRA, 1998)의 기준에 따라 산정하였다.
  • 본 연구는 새만금 농생명용지 6-2공구를 대상으로 용수공급, 영농기반조성, 도입시설에 대한 동태적 마스터플랜을 제시하였다. 간척의 특성과 점진적 개발과정을 고려한 마스터플랜 구상 방법은 향후 다른 간척사업의 계획 및 진행에 활용 가능하며,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계획 수립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농생명용지를 대상으로 장기간 진행되는 간척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업진행경과와 주변 환경, 사업여건 등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새만금 농생명용지의 동태적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단계별 조성 전략이 가장 요구되는 6-2공구 (641 ha)를 대상으로 용수공급, 영농기반조성, 그리고 도입시설의 점진적 개발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으로 진행되는 간척지 사업의 특성을 바탕으로 점진적 개발과정을 고려하여 새만금 복합곡물단지의 동태적 마스터플랜을 6-2공구 대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스터플랜은 용수공급, 영농기반조성, 도입시설에 대해 총 3단계로 나누어 개발플랜을 제시하였다.
  • 새만금 농생명용지는 마스터플랜의 보완 및 수정에 따라 개발 방향 및 계획이 변경되었다. 새만금 간척용지의 초기 토지이용계획은 100 % 농업 생산 지역으로 개발할 계획이었으며, 농업식량생산기지를 조성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후 2007년에 변경된 토지이용계획에서는 농업과 산업단지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복합 용지로 개발 구상이 변경되어 농업용지 71.
  •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농생명용지를 대상으로 장기간 진행되는 간척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업진행경과와 주변 환경, 사업여건 등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새만금 농생명용지의 동태적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단계별 조성 전략이 가장 요구되는 6-2공구 (641 ha)를 대상으로 용수공급, 영농기반조성, 그리고 도입시설의 점진적 개발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단계에서 제염에 따른 생산량 수율을 고려하면, 2유역 약 293 ton, 3유역 약 400 ton, 5유역 약 278 ton의 곡물이 생산되며, 제염기간이 1단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제염효과에 따른 향후 생산량 수율 향상은 없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2단계에서는 2유역과 5유역의 경우 300 ton 용량 (지름 11.
  • 1 m)의 사일로 1 개 설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했다. 2단계에서는 생산된 곡물은 6차산업화를 위해 농산업클러스터 단지로 이동한다는 가정 하에 곡물 운송의 최단이동거리를 고려하여 적정 위치를 정하였으며, 설치 시 2, 5유역이 약 140 m2, 3유역에 약 160 m2의 면적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2단계에서 6유역에서 생산된 조사료 3,026 롤에 대한 적재 필요면적은 2,270 m2, 2단지 중 2유역에서는 6,085 롤에 대한 4,564 m2, 3유역은 7,157 롤에 대한 5,368 m2, 5유역은 5,768 롤에 대한 4,326 m2, 3단지 중 1유역에 692 롤에 대한 519 m2, 4유역에서는 1,647 롤에 대한 1,235 m2의 면적이 조사료 적재에 필요한 것으로 추정된다(Table 8).
  • 3단계에서 제염에 따른 생산량 수율을 고려하면, 1유역 약 78 ton, 4유역 약 186 ton의 곡물이 생산되고, 제염기간이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제염효과에 따른 향후 생산량 수율 향상은 없다고 가정하였다. 하지만 1유역의 생산량이 다른 유역에 비해 낮은 점과 사일로 설치의 기본 단가의 이유로 100 ton 용량과 200 ton 용량 사일로 2 개를 설치하는 대신 300 ton 용량 (지름 11.
  • 6-2공구의 식량생산단지에서 곡물재배는 1단계 1단지 (6유역)에 맥주보리과 호밀, 2단계에서는 1단지와 동시에 2단지(2, 3, 5유역)에 맥주보리와 호밀, 3단계에서는 모든 단지에서 맥주보리와 호밀을 재배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맥주보리의 경우 2014년 기준 10 a당 376 kg (RDA, 2015), 호밀은 2014년 기준 10 a당 326 kg (Korea Statistics, 2015)으로 설정하였다.
  • 8 m)의 사일로를 4유역에 1 개 설치하는 것이 경제적이라고 판단된다. 곡물 수확 후 저장 시 1유역과 4유역 사이의 접근성과 유역 내의 내부접근성을 고려하고, 생산된 곡물은 농산업클러스터단지로 이동한다는 가정 하에 곡물 운송의 최단이동거리를 고려하여 적정 위치를 정하였으며, 사일로 설치에 약 140 m2 의 면적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일로의 경우 경제적인 사항을 고려하여 유역별로 1 개소를 설치한다고 가정하였다.
  • 곡물 수확 후 저장 시 1유역과 4유역 사이의 접근성과 유역 내의 내부접근성을 고려하고, 생산된 곡물은 농산업클러스터단지로 이동한다는 가정 하에 곡물 운송의 최단이동거리를 고려하여 적정 위치를 정하였으며, 사일로 설치에 약 140 m2 의 면적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일로의 경우 경제적인 사항을 고려하여 유역별로 1 개소를 설치한다고 가정하였다. 하지만 재배하는 곡물의 종류가 다양할 때 곡물을 혼합하여 저장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곡물 종류별로 사일로를 추가 설치하거나 시설 공유 연계 방안 등을 모색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 조사료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Kim et al. (2014)의 자료를 바탕으로, 사료용 옥수수의 경우 572 kg 롤이 47 개/ha, 총체벼의 경우 400 kg 롤이 110 개/ha, IRG의 경우 546 kg 롤이 30 개/ha, 월동귀리는 600 kg 롤이 32 개/ha가 생산된다고 가정하였다. 조사료 적재시설 도입 계획을 위한 단위면적당 생산량과 수율을 고려한 총 조사료 생산량은 Table 3과 같다.
  • 조사료 적재에 필요한 면적을 추정하기 위해 조사료 롤 평균 크기를 지름 1.2 m×높이 1.25 m로 가정했고, 유역별 필요 면적은 조사료 롤을 3층 5열 적재한다는 가정 하에 추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만금 농생명용지를 단계별 개발 방안을 수립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농업의 기계화, 규모화를 지향하고 기술력의 집적을 통한 효율적 농업 소득향상, 농업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삼기 때문에 농기계 이용의 효율성, 강우제염의 정도, 배수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단계별 개발 방안을 수립하였다. 새만금 농생명용지는 간척지의 특성상 내부 개발 완료와 동시에 경작이 용이하지 않으며 대규모 구획으로 경지정리가 이루어지므로 순차적 개발과 임대방식 등을 통한 점진적 운영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용지의 해수면 위로 노출된 기간, 지반고, 현제 토양의 염분특성 등을 고려하여 새만금 농생명용지 6-2공구의 단계별 개발 방안을 제안하였다.
간척이란? 간척은 농지가 부족한 국가들이 방조제와 수문 등을 이용하여 토지를 확장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이다 (Lie et al., 2008; Lee et al.
새만금 농생명용지 개발의 한계 극복방안은? 이에 따라 새만금 농생명용지 개발은 간척지가 갖는 내생적 문제점과 대단위 농생명용지라는 특수성 등을 고려하여 동태적 마스터플랜 수립이 요구되며, 시간의 흐름을 고려한 점진적 개발 단계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대규모 간척지인 새만금의 사업추진을 위해서는 시대와 시간의 변화를 고려한 점진적인 마스터플랜 수립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i, D. B., 2008. The contemporary legal subject of Saemangeum project. Environmental Law Review 30(1): 39-54 (in Korean). 

  2. Chun, J. S., 2003. Political economy of Saemangeum Tideland reclamation project through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14(2): 207-234 (in Korean). 

  3. Kim, M. H., D. Huh, and C. S. Lee, 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atistical survey method for forag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4. Koo, J. W., J. K. Choi, and J. G. Son, 1998. Soil properties of reclaimed Tidel Lands and Tidelands of Western Sea Coast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1(2): 120-127 (in Korean). 

  5. Korea Statistics, 2015. Available at: http://www.kostat.go.kr/ 

  6. Krishnamoorthy, K., P. Jambulingam, R. Natarajan, A. N. Shriram, P. K. Das, and S. C. Sehgal, 2005. Altered environment and risk of malaria outbreak in South Andaman, Andaman & Nicobar Islands, India affected by tsunami disaster. Malaria Journal 4(1): 1-9. doi:10.1186/1475-2875-4-32. 

  7. Lee, S. Y., T. G. Kim, K. Suh, Y. J. Bae, H. J. Kim, and J. J. Lee, 2016. Analysis of repair times of marine reinforced-concrete structures considering shape effects and domain discontinuity. Transactions of the ASABE 59(3): 975-982. doi:10.13031/trans.59.11342. 

  8. Lie, H. J., C. H. Cho, S. Lee, E. S. Kim, B. J. Koo, and J. H. Noh, 2008. Changes in marine environment by a large coastal development of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in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30(4): 475-484. 

  9.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1998. Design criteria for agricultural production based maintenance projects (Irrigation). 

  10.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6. 2016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tatistic Annual Report. 

  1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1. Water Vision 2020. 

  12. Pyo, H. D., and H. B. Chang, 1995. A Comparative analysis of fisheries loss compensation systems between Korea and Japan. Ocean Policy Research 10(2): 373-417 (in Korean). 

  1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5.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income analysis. 

  14. Seo, D. U., and O. Y. Son, 2014. Study on construction of Agri-industrial cluster in Saemangeum.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ociety 884-888 (in Korean). 

  15. Seo, D. U., Y. W. Kim, J. G. Lee, M. W. Kim, and H. H. Jin, 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Korean-Type reclaimed land business farming and fisheries model.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16. Seo, D. U., 2011. Prevention plan of the promoting decontamination and re-chlorination in reclaimed land. Rura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Journal 112: 73-87 (in Korean). 

  17. Son, J. G., J. K. Choi, and J. Y. Cho, 2009. 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the proposed horticultural complexes of Saemangeum Reclaimed Tidel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1(4): 67-73 (in Korean). 

  18. Son, J. K., J. D. Song, S. H. Lee, J. H. Ryu, and J. Y. Cho, 2015. Water management for preventing resalinization after early desalinization of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s.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46(2): 74-80 (in Korean). 

  19. Woo, B. J., M. K. Jung, M. G. Lee, and H. J. Kim, 2011. A Study on establishing rice replacing forage crops Using-System.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