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7, 2017년, pp.22 - 30
유형준 (명지대학교 디지털콘텐츠디자인학과)
CGI not only performed a crucial role to make cinema and animation evolved into digital cinema and digital animation but also CGI, an important visual format, settled realism-centric spectacle image culture in public commercial cinema and animation. The fact that CGI visual format could be structura...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핍진성(verisimilitude)은 무엇인가? | 핍진성(verisimilitude)은 텍스트(또는 이미지)가 행위, 인물, 언어 및 그 밖의 요소들을 신뢰할 만하고 개연성이 있다고 독자(또는 관객)에게 납득시키는 것이다. (중략)핍진성은 현실(사실)과의 관계가 아니라, 대부분 사람들이 현실이라고 믿는 것이다[1]. 사진 이미지의 문화적 중요성과 기술적 특징들을 고려해 볼 때 전통적인 영화(cinematography)에서는 핍진성이 대체로 당연시되지만, 컴퓨터 이미지에서는 핍진성이 제작자나 관객 모두에게 관심의 대상이 된다[2]. | |
디지털시네마는 애니메이션의 어떠한 것을 수용하는가? | 디지털제작 기술을 전격 수용한 영화와 애니메이션은 디지털시네마와 디지털애니메이션으로 진화하였고 CGI 시각형식과 기술을 공통분모로 서로의 영역을 넘나들면서 새로운 형태의 영상문화를 창출하고 있다. 디지털시네마는 애니메이션 특유의 추상적이고 환영적인 영상미학을 수용하고 디지털애니메이션은 영화적 인물중심의 내러티브와 리얼리즘을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양상으로 인해 서로의 영상미학적인 특성들이 섞여 유사한 모습으로 변해가게 되었고, 서로의 시각형식간 장벽이 없어져 전통적인 관점에서의 영화와 애니메이션으로 설명되기 어려운 새로운 가상화(visualization)된 시각문화가 형성 되고 있다[그림 1]. | |
전통적 관점에서 설명되기 어려운 가상화(visualization)된 시각문화의 예시엔 무엇이 있는가? | 대표적인 예가 영화 <정글북, 2016>이다. 이 영화는 겉으로 보기엔 울창한 열대 밀림에서 잘 훈련받은 동물들이 연기한 실사 영화처럼 보인다. |
오진희, "디지털 실사영화와 3D애니메이션의 핍진성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12권, 제5호, p.325, 2011.
Martin Lister, Jon Dovey, Seth Giddings, Iain Grant, and Kieran Kelly, New Media: a critical introduction Second Edition, Routledge, p.136, 2003.
이재현, 디지털 영화와 사실주의 미학, 언론정보연구, p.54, 2006.
김남훈, 정한경, 김남훈,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CG 언캐니 곡선과 추상화 정도 분석,"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1권, 제4호, p.259, 2011.
이재현,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세계, 커뮤니케이션북스, p.265, 2004.
Martin Lister, Jon Dovey, Seth Giddings, Iain Grant, and Kieran Kelly, New Media: a critical introduction Second Edition, Routledge, p.138, 2003.
Martin Lister, Jon Dovey, Seth Giddings, Iain Grant, and Kieran Kelly, New Media: a critical introduction Second Edition, Routledge, p.137, 2003.
이재현, 디지털 영화와 사실주의 미학, 언론정보연구, p.55, 2006.
마르틴 졸리, 김동윤 역, 영상 이미지 읽기, 문예출판사, p.48, 1999.
랜달 P. 해리슨, 하종원역, 만화와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실천, p.55, 1989.
랜달 P. 해리슨, 하종원역, 만화와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실천, p.54, 1989.
https://www.youtube.com/watch?vsCoJvu8PF7Q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