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보육교사의 역할인식, 지식, 실천 자신감 및 교육요구도
Child Daycare Teachers' Role Perception,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Educational Needs Regarding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in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7, 2017년, pp.253 - 264  

백성희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김진선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본 연구는 보육시설 아동의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보육교사의 역할인식, 지식, 실천 자신감 및 교육요구도를 알아보고, 이들 변수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보육교사 180명이었다. 연구대상자의 78.9%는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교육 경험이 없었으며,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지식 정답률은 52.3%, 실천 자신감은 낮았다. 그러나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역할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높았다. 감염예방을 위한 손씻기 및 위생관리법, 감염성 질환차단방법, 감염성 질환별 관리 및 간호법, 감염성 질환별 증상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다. 대상자들의 역할인식은 그들의 지식과 교육요구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보육교사 대상 감염성 질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적용 및 평가가 요구된다. 특히 보육교사들의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역할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ole perception, knowledge, self-confidence of practice, and educational needs of child daycare teachers'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and to identify their relationship. A correlation study was conducted. Participants were 180 child daycare teachers. Al...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국내외 선행연구들은 보육교사들의 감염성 질환에 대한 예방 및 관리 역량 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16][17],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대상자들의 교육요구도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보육교사 대상 감염병 예방 및 관리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일 지역 보육교사들의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역할인식, 지식, 실천 자신감 및 교육요구도 정도를 조사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보육시설 아동의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보육교사의 역할인식, 지식, 실천 자신감 및 교육요구도를 조사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보육시설 아동의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보육교사의 역할인식, 지식, 실천 자신감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유아기는 어떤 시기인가? 영유아기는 평생 건강의 기초가 되는 시기이며, 다른 발달단계보다 면역력이 약해 질병에 대한 취약성이 높은 시기이다[5][6]. 이 시기 보육시설의 이용과 같은 집단생활은 사람간의 접촉 증가, 영유아의 구강기적 습관, 손씻기를 포함한 감염성 질환 예방 수칙에 대한 이해도 부족 등과 관련하여 감염성 질환의 발생을 증가시킨다[5-7].
감염성 질환관리에 있어서 보육교사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는? 선행연구들은 아동의 예방접종과 손위생 및 환경위생이 집단생활에서의 감염성 질환 발생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예방법임을 제시하고 있다[5-7][11]. 특히 영유아의 건강과 보육을 담당하고 있는 보육교사의 감염성 질환관리 및 예방 역량이 아동의 감염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아동의 감염성 질환관리 및 예방에 있어 보육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7][11][12]. 이처럼 보육아동의 감염성 질환관리에 있어 보육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에도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감염성 질환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부족하며[13][14], 보육교사들의 감염 전파 위험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감염병 관리 및 예방 행위를 적절히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7].
소아청소년과 의사나 아동간호사들을 보육시설아동의 건강전문가로서 감염성 질환 예방 및 관리를 할 수 있게 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한 이유는? 또한 외국의 선행연구들은 소아청소년과 의사나 아동 간호사들이 건강전문가로서 보육시설의 감염성 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5][6][17][25]. 그러나 현재 보건복지부에서는 2012년부터 어린이집과 의료기관 간의 1:1 연계협약을 통해 주기적 방문 진찰, 질환 조기발견, 질병 예방교육, 예방접종 및 정기 건강검진 등을 통해 어린이집 영유아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고자 어린이집 건강주치의제를 도입해 시행하고 있지만 법적, 제도적 장치, 안전 및 경제적인 장치의 부재로 현장에서 보육시설 아동의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포함 영유아의 건강관리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제도로 평가되고 있다[26]. 따라서 소아청소년과 의사나 아동간호사들이 보육시설아동의 건강전문가로서 감염성 질환의 예방 및 관리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현실적인 제도적 장치가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지수, "보육시설 방문교육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영유아 감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감염예방 행위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제13권, 제4호, pp.466-477, 2007. 

  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6, 보건복지부, 2016. 

  3. 이혜원, "보육서비스 품질 제고를 위한 정책의 실효성 및 개선방안," 재정포럼, 제221호, pp.25-43, 2014. 

  4. 양윤정, 권인수, "보육교사의 감염예방 지식, 자기효능감 및 감정노동이 감염예방 실천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회, 제16권, 제1호, pp.79-97, 2016. 

  5. 안종균, 최성열, 김동수, "영유아의 보육시설 이용과 감염성 질환 실태연구," 대한소아감염학회, 제19권, 제1호, pp.19-27, 2012. 

  6. T. R. Shope, "Infectious diseases in early education and child care programs," Pediatrics in Review, Vol.35, No.5, pp.182-193, 2014. 

  7. 윤영미, 임미영, "보육교사의 영유아 감염성 질환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아교육연구, 제32권, 제1호, pp.253-273, 2012. 

  8. M. M. M. Nesti and M. Goldbau, "Infectious diseases and daycare and preschool," Journal of Pediatrics, Vol.83, No.4, pp.299-312, 2007. 

  9. 김일옥, 박현정, "보육교사의 영아 건강관리 실태 및 교육 요구 조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7권, 제5호, pp.99-120, 2012. 

  10. 박선남, 이영란, 정영주, "보육교사의 전염성 질환에 대한 지식 및 전염성 질환 아동 관리 실태," 한국보건간호학회, 제24권, 제1호, pp.115-125, 2010. 

  11. C. M. Mink and S. Yeh, "Infections in child-care facilities and schools," Pediatrics in Review, Vol.30, No.7, pp.259-268, 2009. 

  12. L. Rosen, D. Zucker, and D. Brody, "The effect of a handwashing intervention on preschool educator beliefs, attitudes, knowledge and self-efficacy," Health Education Research, Vol.24, No.4, pp.686-698, 2009. 

  13. 김지수, "영유아 건강관리를 위한 보육교사의 건강정보 이용 및 요구," 한국콘텐츠학회 2010 춘계 종합학술대회, pp.601-603, 2010. 

  14. 이미화, 강은진, 김은설, 김동훈, 김아름, 최지은, 보수교육과정매뉴얼, 보건복지부 보육사업기획과, 2015. 

  15. 김동희, 박정하, "부모와 유치원교사의 어린이 감염예방 및 교육요구도 조사," 보건의료산업회지, 제10권, 제4호, pp.213-223, 2016. 

  16. 최은주, 황선영, "보육교사를 위한 감염관리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안의 개발 및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42권, 제6호, pp.771-782, 2012. 

  17. A. A. Crowley and J. M. Kulikowich, "Impact of training on child care health consultant knowledge and practice," Pediatric Nursing, Vol.35, No.2, pp.93-100, 2009. 

  18. 이은주, 유아의 건강관리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역할수행,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9. https://gwangju.childcare.go.kr/ccef/main.jsp 

  20. 김지수, 영유아 건강관리에 관한 보육교사의 요구조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1. 이소정, 영아교사의 건강, 안전에 대한 지식정도 및 교육요구와 관리실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2. https://cpms.childcare.go.kr/html/ebook/i_happy.html 

  23. A. N. Hashikawa, M. W. Stevens, and Y. J. Juhn, "Self-report of child care directors regarding return-to-care," Pediatrics, Vol.130, No.6, pp.1046-1052, 2012. http://dx.doi.org/10.1542/peds.2012-1184 

  24. A. N. Hashikawa, D. C. Brousseau, and D. C. Singer, "Emergency department and urgent care for children excluded from child care," Pediatrics, Vol.134, No.1, 2014. http://dx.doi.org/10.1542/peds.2013-3226 

  25. D. B. Evers, "The pediatric nurse's role as health consultant to a child care center," Pediatric Nursing, Vol.22, No.3, pp.231-237, 2002. 

  26. 윤형자, 2차 평가인증 과정에 참여한 민간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인식연구, 한양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7. 박은혜, 조성연, "영유아의 질병관리에 대한 보육교사의 지식 정도,"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제13권, 제3호, pp.235-250, 2009. 

  28. S. A. Skull, E. L. Ford-Jones, and N. A. Kulin, "Child care center staff contribute to physician visits and pressure for antibiotic prescription," Archives of Pediatrics and Adolescent Medicine, Vol.154, No.2, pp.180-183, 2000. 

  29. 하영혜, 방경숙, "영아전담보육시설 보육교사의 교육요구," 부모자녀건강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9-27, 2015. 

  30. 김신정, 이정은, 양순옥,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보육시설에서의 아동 건강관리 문제점과 개선요구," 아동간호학회지, 제17권, 제1호, pp.10-21,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