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슈퍼바이저의 지식 및 기술 역량 연구 -IPA분석을 통한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 비교-
Knowledge and Skill Competence of Superviso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7, 2017년, pp.664 - 678  

최원희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안정선 (한국성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슈퍼바이저 스스로가 인식하는 슈퍼바이저의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 유형에 따라 비교 분석하고 이에 따라 슈퍼바이저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행전략을 제안하는 것이다. 367부의 설문에 대한 t검증 결과, 슈퍼바이저에게 요구되는 14개 지식역량(t=30.545, p<.001)과 15개 기술역량(t=27.335, p<.001)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IPA(중요도-실행도)분석 결과, 4개 영역(지속유지, 집중개선, 점차개선, 과잉)의 분포에 있어서 기관유형별로 차이가 나타남에 따라 이에 대한 실행전략을 제시하고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supervisor competence according to the social welfare center,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types.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o propose implementation strategy to improve supervisor's competency. There were ...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슈퍼바이저의 역량에 대해 슈퍼바이저 스스로가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행도를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 유형에 따라 비교, 분석해 보고 분석결과에 따른 슈퍼바이저 역량 강화를 위한 실행전략을 제안하는 것이다. 그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사회복지영역에서 책무성이행을 위한 조직관리 기제로 활용하고 있는 슈퍼비전의 유용성을 전제로, 슈퍼비전의 핵심 성공요소인 슈퍼바이저 역량의 관리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사회복지영역에서 슈퍼비전의 유용성에 대한 논의들은 지난 수십 년간 이미 검증되어 왔다.
  • 본 연구는 슈퍼바이저에게 요구되는 14개의 지식역량과 15개의 기술역량에 대하여 슈퍼바이저가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파악하고, 기관유형별로 비교 분석하여 실행전략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슈퍼바이저의 지식과 기술역량에 대해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별로 비교,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3종복지관이라고 명명되는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은 각각 전국에 459개소·222개소·270개소 3 로, 사회복지 영역에서 대표적인 서비스전달의 중추 역할을 담당해 오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복지조직의 특성과 환경변화에 따른 슈퍼비전에 대한 욕구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최근 사회복지현장의 슈퍼비전에 대한 욕구는 더욱 증가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기본적으로 사회복지조직의 특성과 환경변화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사회복 지조직은 정부와 지자체, 후원처 등 주요 자금원들의 요구를 수렴함과 동시에 클라이언트에게 최선의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들에 즉각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직원의 직무관리와 역량강화 방안으로 슈퍼비전을 활용하고 있다. 또한 시장원리에 입각한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급 확대와 생존 경쟁 심화, 희망복지전달체계 및 통합사례관리 확대 등 사회복지 전달체계 개편으로 인한 역할 분담 및 직무정체성 논란, 다양한 전문직과의 다학제적 접근의 강조, 다양한 복지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새로운 정책의 범람 등 사회복지 조직이 직면한 환경변화와 조직 관리 측면에 있어서도 슈퍼비전 욕구는 강화되고 있다.
슈퍼비전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사회복지영역에서 슈퍼비전의 유용성에 대한 논의들은 지난 수십 년간 이미 검증되어 왔다. 슈퍼비전은 사회복지사가 조직에서 일할 때에 직무에 대한 만족과 동기, 사기를 높이고 소진 예방 및 스트레스 완화에 영향을 주며[1-3] 사회 복지사로서의 전문성, 자기효능감, 책무성, 직무성과, 조직몰입, 윤리적 책임행동, 학습조직화 등에도 영향을 미친다[4-10]. 슈퍼비전은 사회복지조직에서 사회복지 실천의 효과성과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필수적인 내부 품질관리체계[11]로 기능하고 있다.
사회복지슈퍼비전이란? 사회복지슈퍼비전이란 중간관리자와 슈퍼바이지의 관계성 속에서 특정 세팅의 고유 특성과 상황을 고려하 면서 이루어지는 행위로, 클라이언트에게 최선의 서비 스를 수행하기 위해 행정, 교육, 지지적 기능 및 역할들을 전문직 윤리강령에 입각하여 다양한 내용과 방법으로 구조화되어 수행하는 의무적, 정규적, 일관성 있는 상호작용과정이다[6]. 이러한 슈퍼비전의 실행에 있어서 슈퍼바이저는 슈퍼비전을 구성하는 핵심요소로서 슈퍼바이지를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수준과 질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존재로 거론 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배숙경, 슈퍼비전 기능이 노인복지실천가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2. M. J. Austin, Supervisory Management for Human Services,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 Hall, Inc, 1981. 

  3. A. Kadushin, "Supervisor - Supervisee Survey," Social Work, Vol.19, pp.288-298, 1974. 

  4. 김경희,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책무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서울: 신앙과 지성사, pp.11-193, 2002. 

  5. 문지은, 사회복지관의 수퍼비젼이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6. 박현주, 사회복지조직의 수퍼비전 기능이 사회복지사의 책무성에 미치는 영향 : 슈퍼비전 관계를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7. 성희자, "슈퍼비전이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2호, pp.73-91, 2007. 

  8. 최소연, "슈퍼비전과 학습조직화가 사회복지사의 전문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조직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30호, pp.101-125, 2012. 

  9. 황미경,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슈퍼비전과 직무관련 변인의 구조적 관계-슈퍼비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0. J. W. Jeffreys, The Impact of Supervision on Social Worker Perception of Self-Efficacy,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Y at Albany, 2001. 

  11. 안정선, "사회복지기관 사회복지사의 역량분석 및 교육방향성," 임상사회사업연구, 제6권, 제2호, pp.67-84, 2009. 

  12. 김융일, 양옥경, 사회복지수퍼비전론, 서울: 양서원, 2002. 

  13. V. Robinson, The Dynamics of Supervision under Functional Controls,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49. 

  14. 조휘일, "사회복지 수퍼비젼 실천의 방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워크숍 자료집, pp.3-22, 2004. 

  15. S. M. Kilminster and B. C. Folly, "Effective Supervision in Clinical Practice Setting," Medical Education, Vol.34, pp.827-840, 2000. 

  16. NASW, Ethical Standards for Social Workers, NASW, 1999. 

  17. 안정선, 윤철수,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수행역량분석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2호, pp.151-174, 2007. 

  18. 원영희, 안정선, 배진형, "사회복지사의 역량모델링에 근거한 학부 교과과정 발전 방향 모색," 한국사회복지교육, 제13호, pp.149-180, 2010. 

  19. 김화선, "노인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18호, pp.23-44, 2012. 

  20. 최지선,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미래역할과 역량, 필수교과목-델파이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28호, pp.19-44, 2014. 

  21. 장수미, 김미옥, 전종설,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핵심역량은 무엇인가?,"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54호, pp.1-35, 2015. 

  22. 안정선, 윤정혜, "사회복지관 수퍼바이저의 역량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2호, pp.353-366, 2011. 

  23. 이홍민, 김종인, 핵심역량 핵심인재 : 인적 자원 핵심역량 모델의 개발과 역량 평가, 서울: 한국능률협회, 2003. 

  24. D. C. McClelland,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Vol.28, No.1, pp.1-14, 1973. 

  25. 최원희, 사회복지 슈퍼비전의 중요성공요인(CSFs)에 대한 델파이 및 AHP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6. P. R. Sparrow, "Too Good to Be True," People Management, Vol.2, No.24, pp.22-27, 1996. 

  27. 박천오, 김상묵, "정부산하단체 임원의 공통 직무수행역량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5권, 제1호, pp.1-25, 2004. 

  28. T. Herdin and D. Stanley, Job Roles in Human Services(Vol.2) Social Worker, Task Anslysis in Human Services Special Project, 1982. 

  29. J. Damron-Rodtiguez, F. P. Lawrence, D. Barnett, and W. Simmons, Developing Geriatric Social Work Competencies for Field Educatio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Vol.48, pp.139-160, 2006. 

  30. Dalton, Bruce, Wright, and Lois, "Using Community Input for the Curriculum Review Process,"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Vol.35, No.2, pp.275-288, 1999. 

  31. Council on Social Work Education, CSWE, Educational Policy and Accreditation Standards approved by the CSWE Commission on Accreditation, 2015. 

  32. 양영자, "독일의 사회복지학 교과목 지침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세미나 자료집, 2014. 

  33. 한상미, 전진호, 김기덕, "실천현장에서 요구하는 신입사회복지사의 자질에 관한 연구: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5호, pp.1-30, 2008. 

  34. 김경실, 효과적인 수퍼비젼, 인간이해, 제20호, pp.1-15, 1999. 

  35. 강철희, 최소연, "사회복지수퍼비젼의 방향 및 변인고찰 : 연구와 실천방향을 위한 논의,"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3호, pp.29-66, 2005. 

  36. 안정선, 사회복지 슈퍼비전 표준 체계 개발, 서울: 한국학술정보, 2007. 

  37. 최원희, "슈퍼바이저의 지식.기술역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에 의한 슈퍼바이저 교육내용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23호, pp.39-67, 2013. 

  38. W. C. Borman, M. A. Hanson, S. H. Oppler, E. D. Pulakos, and L. A. White, "Role of Early Supervisory Experience in Supervisor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8, No.3, pp.443-449, 1993. 

  39. H. Allan Dye and L. D. Borders, "Counseling Supervisors: Standards for Preparation and Practice," Journal of Counselling & Development, Vol.69, pp.27-29, 1990. 

  40. R. A. Skidmore, Social Work Administration : Dynamic Management and Human Relationship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Inc, 1983. 

  41. A. W. Travers, Supervision: Techniques and New Dimensions, Prentice-Hall, Inc, 1988. 

  42. Haynes, R. G. Corey and P. Moulton, Clinical Supervision in the Helping Professions: A Practical Guide, Brooks/Cole-Thomson Learning, 2003. 

  43. J. L. Lowry, "Successful Supervision : Supervisor and supervisee characteristics," In J. Barnett(Chair), The Secrets of Successful Supervision, Symposium conduc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2001. 

  44. M. Smith, "Supervision of Fear in Social Work-A Re-evaluation of Reassurace," Journal of Social Work Practice, Vol.14, No.1, pp.17-26, 2000. 

  45. 김성천, 유서구, "사회복지기관, 시설관리자의 보수교육 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5호, pp.31-49, 2009. 

  46. 권자영, 문영주,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과 슈퍼바이저 스타일 인식이 슈퍼비전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2권, 제3호, pp.178-207, 2014. 

  47. 장세미, 장성숙, "상담수퍼바이저 교육과 훈련요소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483-502, 2016. 

  48. 정은주, "가족중심실천에 관한 중요성인식과 현재실천의 차이 연구: IPA기법 활용-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16권, 제2호, pp.67-93, 2011. 

  49. 원태연, SPSS 고객만족조사분석, 서울: 홍릉과학, 2010. 

  50. 조수민, 조형기, "IPA기법을 활용한 우체국 구성원들의 역량인식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0권, 제2호, pp.55-76, 2013. 

  51. L. Shulman, Interactional Supervision(2nd ed.), The NASW Press, 1993. 

  52. M. Tsui and W. S. Ho, "In Search of Comprehensive Model of Social Work Supervision," The Clinical Supervisor, Vol.16, No.2, pp.181-205, 1997. 

  53. 엄경남,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슈퍼비전 모형 개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54. J. Wonnacott, Mastering Social Work Supervision, Jessica Kingsley Publishers, London and Philadelphia,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