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C57BL/6 쥐에서 발효 무궁화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Fermented Hibiscus syriacus Extract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C57BL/6 Mice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7 no.7 = no.207, 2017년, pp.790 - 795  

이하늘 (신라대학교 바이오과학과 제약공학전공) ,  하배진 (신라대학교 바이오과학과 제약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쥐에서의 발효 무궁화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를 위해 수행되었다. 항산화 실험은 in vivo와 in vitro 둘 다 진행하였다. In vitro 실험은 산화질소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발효 무궁화 추출물에서의 산화질소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은 비발효 무궁화 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In vivo 실험은 정상식이군(NOR), 고지방식이군(CON), 고지방식이+발효 무궁화 추출물군(FH)과 고지방식이+비발효 무궁화 추출물군(NFH)로 나눴고, 4군은 4주 동안 복강투여하였다. 그리고 간 균질액의 SOD, CAT, MDA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FH군의 SOD와 CAT 수준은 CON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FH군의 MDA 수준은 CON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발효 무궁화 추출물은 비만 쥐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와 항산화 효소 활성 증가 효과를 가지며, 유용한 천연 항산화제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fermented Hibiscus syriacus extract on obese mice. The antioxida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both in vivo and in vitro. The in vitro experiment was measured through the use of nitric oxide (NO)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래서 생체 부작용이 없고 강력한 항산화력을 갖춘 천연 항산화 물질에 대한 연구가 날로 증가 하고 있다[14, 2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만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산화스트레스 및 항산화 효소활성 개선을 위한 생체 부작용이 없고 강력한 항산화력을 갖춘 천연 항산화 물질을 개발하고자 천연물질인 무궁화를 유산균 발효하여 발효한 무궁화의 항산화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궁화는 주로 어디에 분포하는가? 무궁화는 아욱과 무궁화 속에 속하는 낙엽성 소교목 또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인도, 중국, 시베리아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7, 28]. 무궁화의 잎은 난형, 꽃은 홑꽃, 화관은 종모양이고, 중심부는 붉은색을 나타내며, 꽃잎 끝부분은 엷은 자색 또는 흰색이다[27, 29].
천연 항산화 물질에 대한 연구가 날로 증가 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많은 학자들은 오래 전부터 합성 항산화제인 butylated hydroxyl toluene (BHT), butylated hydroxy anisol (BHA) 등을 개발해왔다[18, 23]. 하지만 이러한 합성 항산화제는 항산화력이 매우 우수하지만 생체 효소 기능 장애, 실험동물에서 간, 폐, 신장 등에 심각한 독성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14, 15, 18, 23]. 그래서 생체 부작용이 없고 강력한 항산화력을 갖춘 천연 항산화 물질에 대한 연구가 날로 증가 하고 있다[14, 23].
유산균의 기능에는 무엇이 있는가? 유산균은 인간이 미생물 중에서 이용 가능한 가장 유익한 미생물의 한 종류로 우리 몸에 유익균의 성장을 촉진하는 생균활성제제이다. 이러한 유산균의 기능은 항산화 효능, 위장 기능 개선, 면역증진, 영양소의 흡수를 높이는 등 다양한 생리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2, 21, 25]. 자연계에 존재하는 배당체 화합물들은 화합물 자체의 활성보다 화합물에 존재하는 당을 분해하여야만 더 많은 약효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어 당류를 분해하고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인 유산균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가 각광받고 있다[8, 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ebi, H. 1984. Catalase in vitro, in : Packer. L , ed methods in enzymology. N. Y. Academic. 105, 121-126. 

  2. Bae, G. J. and Ha, B. J. 2015. Antioxidative effect of fermented Rhynchosia nulubilis in obese rats. J. Fd Hyg. Safety 30, 383-389. 

  3. Beak, Y. H. and Lee, S. H. 2010.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and Allium Tuberosum intake on blood lipids, MDA and antioxidant enzyme in rats. J. Life Sci. 20, 245-252. 

  4. Beauchamp, C. and Fridovich, I. 1971. Superoxide dismutase: improved assays and an assay applicable to acrylamide gels. Anal. Biochem. 44, 276-287. 

  5. Ha, B. J. 1985. Studies on the antilipidperoxidation effect of brazilin and hematoxylin. Ph. D.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Seoul, Korea. 

  6. Ha, J. H., Seo, Y. C., Choi, W. Y., Kim, J. S., Kim, H. H., Ahn, J. H and Lee, H. Y. 2010.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bark of Berberis koreana Palibin by lactic acid fermentation. Kor. J. Med. Crop Sci. 18, 421-428. 

  7. Jang, A. R. 2012. Study on cosmetic physiological and skin cell activity of Hibiscus syriacus extracts. M.S. dissertation, Hannam University, Daejeon, Korea. 

  8. Jeon, J. M., Choi, S. K., Kim, Y. J., Jang, S. J., Cheon, J. W. and Lee, H. S. 2011.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 of ginseng berry extract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7, 75-81. 

  9. Jung, Y. J. and Choi, M. J. 2015. Effects of chunggukjang and greentea-chunggukjang on lipid profile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of liver tissue in growing rats fed cholesterol.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5, 278-286. 

  10. Kang, H. J., Kim, H. S., Jeon, I. H., Mok, J. Y., Han, K. S. and Jang, S. I. 2013. Effects of antioxidant and blood flow improvement of grape leaf extract and resveratrol from Vitis romaneti. J. Kor. Soc Food Sci Nutr. 42, 1736-1743. 

  11. Kim, J. D., Lee, B. I., Jeon, Y. H., Bak, J. P., Jin, H. R. and Lim, B. O. 2010.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reen tea mixture and dietary fiber on liver of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Kor. J. Med. Crop Sci. 18, 224-230. 

  12. Kim, J. H., Lee, W. J., Cho, Y. W. and Kim, K. Y. 2009. Storage-life and palatability extension of Betula platyphylla Sap using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J. Kor. Soc. Food Sci. Nutr. 38, 787-794. 

  13. Kim, J. Y., Shin, M. S. and Heo, Y. R. 2014. Effects of stabilized rice bran on obesity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C57BL/6 mice. J. Kor. Soc. Food Sci. Nutr. 43, 1148-1157. 

  14. Kim, M. A. 2014. Influences of feral haw (Crataegus pinnatifida BUNGE) 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lipid metabolism functional improvement in dyslipidemic rats. M.S. dissertation, Busan University, Busan, Korea. 

  15. Kim, S. M., Kim, D. Y., Park, H. R., Seo, J. H., Yeom, B. M., Jin, Y. J. and Pyo, Y. H. 2014. Screening the antioxida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y of extracts derived from five varieties of edible spring flowers. Kor. J. Food Sci. Technol. 46, 13-18. 

  16. Kim, S. W., Jeong, S. T. and Baek, Y. H. 2013. Effects of cheonggukjang diet and aerobic exercise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enzyme in rats. J. Life Sci. 23, 657-663. 

  17. Kobayashi, M., Fujita, M. and Mitsuhashi, H. 1984. Components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occurrence of pregnenolone, coniferylferulate, ferulate and hydroxylprthalides. Chem. Pharm. Bull. 32, 3770-3773. 

  18. Lee, E. J and Bae, J. H. 2011. Study on the alleviation of an alcohol induced hangover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by mulberry fruit. Kor. J. Food Nutr. 24, 204-209. 

  19. Lee, E. J. 2014. Effect of a pumpkin, corn silk, and adzuki bean on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obesity in diet-induced obese rat. M.S. dissertation, Kyungnam university, Kyungnam, Korea. 

  20. Lee, H. J., Lee, S. W., Park, C. G., Ahn, Y. S., Kim, J. S., Bang, M. S., Oh, C. H. and Kim, C. T. 2015. Effects of white Habiscus syriacus L. flower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bone resorption inhibition. Kor. J. Med. Crop Sci. 23, 190-197. 

  21. Lee, J. J., Son, H. Y., Choi, Y. M., Cho, J. H., Min, J. K. and Oh, H. K. 2016.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parassis crispa mixture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Kor. J. Food Preserv. 23, 361-368. 

  22. Lee, S. J. 2016. Bioactive substances searching and bioactiviteis evalution of fermented Sargassum siliquanstrum. M.S. dissertation, Silla University, Busan, Korea. 

  23. Lim, K. T. and Shim, J. H. 1997. Antioxida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RVS) on mouse whole brain cells. Kor. J. Food Sci. Technol. 29, 1248-1254. 

  24. Marcocci, L., Packer, L., Dory-Lefaix, M. T., Sakaki, A. and Gerdes-Albert, M. 1994. Antioxidation action of Ginkgo biloba extract egb 76. Methods Enz. 234, 462-475. 

  25. Park, S. J., Kim, D. H., Paek, N. S. and Kim, S. S. 2006.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ation product of ginseng by lactic acid bacteria (FGL). J. Ginseng Res. 30, 88-94. 

  26. Sung, K. S., Chun, C., Kwon, Y. H., Kim, K. H. and Chang, C. C. 2000. Effects of red ginseng component on the antioxidative enzymes activities and lipid peroxidation in the liver of mice. J. Ginseng Res. 24, 29-34. 

  27. Yoo, I. D., Lee, I. K., Ryoo, I. J., Choung, D. H., Han, K. H. and Yun, B. S. 1997.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Hibiscus syriacus (I). Kor. J. Pharmacoan. 28, 112-116. 

  28. Yoo, K. O., Lim, H. T. and Kim, J. H. 1996. Studies on the flavonoids of the Hibiscus syriacus L. complex. Kor. J. Plant. Res. 9, 224-229. 

  29. Yoon, S. W. 2016. Effect of absolute from Hibiscus syriacus L. flower on skin regeneration and wound healing in keratinocyte. M.S. dissertation, Hoseo University, Chungnam,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