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3 no.3, 2017년, pp.319 - 328  

전가을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권인수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study was carried out with 282 fifth or six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wo cities,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rative ques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강습관형성의 중요한 시기인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건강지식과 함께 계획된 행위이론[19]에서 제시한 행위 관련 요인들이 학령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 이들 요인의 영향력의 상대적 크기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령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를 촉진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며, 이를 위한 구체척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행위변화의 관련요인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이론들 중에서 Ajzen[19]의 계획된 행위이론은 인간의 다양한 개인적, 사회적 행위에 대하여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며, 식생활, 흡연, 절주, 운동 등 건강 관련 행위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0]. 이에 본 연구는 건강지식과 함께 계획된 행위이론[19]에서 제시한 행위 관련 요인들이 학령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 이들 요인의 영향력의 상대적 크기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령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를 촉진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최근까지 수행된 많은 연구에서 다양한 요인들이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본 연구 결과 건강행동에 대한 스스로의 통제로서의 개인의 행동실행의 어려움이나 쉬움에 대한 지각인 지각된 행동통제와 건강지식이 또 다른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고, 이 연구 결과를 통해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추후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를 증진시키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는 행동에 필요한 자신감과 자원을 통해 통제감을 지각할 수 있도록 하고, 건강지식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중재 프로그램은 건강상태가 나쁜 것으로 지각하는 아동에게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무엇인가? 건강증진행위는 인지적 요소, 이전의 관련 행위, 개인의 생리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요인, 행위의도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15], 건강증진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 관련 지식, 태도, 가치관 및 건강신념 등의 요인에 대한 고려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17]. 또한 영향요인은 간호중재 프로그램에서 중재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중재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의 영향요인을 파악할 뿐만 아니라, 이들 요인들의 영향력의 정도를 비교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WHO는 건강증진행위 어떻게 정의하는가? Byeon과 Jang[6]은 건강증진의 개념분석을 통해 건강증진은 안녕지향성을 갖고 능력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개인이 처한 상황에 따라 주관적으로 정의되며, 각기 다른 목표를 가진다고 하였다. WHO[7]는 건강증진행위를 ‘건강개선과 유지가 필요한 모든 개인과 사회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키며, 건강잠재력을 최대화시키고 개선하는 건강관리활동’이라고 정의하였고, Pender, Murdaugh와 Parsons[4]는 ‘건강한 생활양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활동으로써 안녕수준을 높이고 자아실현과 만족감을 유지· 증진하기 위한 방향으로 취해지는 통합된 행위’라고 하였다. 건강증진은 많은 구성영역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아동의 건강증진행위를 측정하기 위해 최근 흔히 사용되고 있는 척도를 통해서 그 구성요인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학령기에 건강교육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인 이유는? Lee, Chung과 Yoo[2]는 식습관, 수면시간, 구강관리, 운동, 텔레비전 시청이나 컴퓨터와 휴대용 전화기 사용시간 등에서 부적절한 건강행위를 하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Choi, Sohn과 Ahn[3]은 대규모의 초등학교 4~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대상자의 1/3이 하나 이상의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고, 음주, 흡연 등 건강위험행위를 하는 대상자의 비율이 높아 초등학생이 올바른 건강행위를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발달 시기적으로 볼 때 학령기는 자신의 건강상태를 지각하고 건강행위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도록 배우고 행동하는 시기이며[1], 습관이 아직 안정되지 않았기 때문에[4] 건강에 대한 올바른 개념, 태도, 가치관을 형성하고 올바른 생활습관을 실생활에서 행동화 하도록 하는데 용이한 시기이다[1]. 또한 이 시기에 습득된 습관과 행위는 성인기에 습득한 경우보다 생활방식의 일부로 쉽게 통합되어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arlow DR, Redding BA. Textbook of pediatric nursing. 6th ed. Philadelphia: W. B. Saunders Company; 1988. p. 621-625. 

  2. Lee SG, Chung GH, Yoo JP. Identification and prediction of latent classe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childre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5;35(2):477-510. https://doi.org/10.15709/hswr.2015.35.2.477 

  3. Choi SH, Sohn M, Ahn YM. Association among family environment, health problems and health-risk behaviors in Korean school-aged children.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011;18 (5):609-618. 

  4. Pender NJ, Murdaugh CL, Parsons MA.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2006. p. 367. 

  5. Lee GS, Mun HL, Kim HL, Jang HS, Lee KM. Health education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3rd ed. Paju, Gyeonggi-do: Soomoonsa; 2006. p. 381. 

  6. Byeon YS, Jang HJ. Health promotion: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2;22(3):362-372. https://doi.org/10.4040/jnas.1992.22.3.362 

  7. World Health Organization. Health promotion in globalized world. WHA59.21. Health Promotion Journal of Australia. 2005;16(3):168-170. 

  8. Walker SN, Sechrist KR, Pender NJ.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1987;36(2):76-81. 

  9. Wie GB. A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late school-aged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3;7(1):45-58. https://doi.org/10.12811/kshsm.2013.7.1.045 

  10. Jang JY, Bang KS. Health locus of control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among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Parent Child Health Journal. 2011;14(1):18-27. 

  11. Kim SH, Lee JH. Test of a hypothetical model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school-ag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8;14(1):22-34. 

  12. Kim HS, Kim YI. Factors related to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late school-age children.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0;23(1):1-10. https://doi.org/10.12811/kshsm.2013.7.1.045 

  13. Jang YS.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schoolaged children on community child center.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12;15(2):51-59. 

  14. Kim SJ, Yang SO, Jeong GH, Lee SH. Lev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practi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7;13(4):407-415. 

  15. Woo JB, An EJ, Kim JH. A study on types and multi-dimensional structures of health promoting activitie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013;24(2):183-200. 

  16. Nah JY, Kim YI, Kim HS. The effects of systematic health education on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omo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1;24(2):173-180. 

  17. Lee YR, Jegal J, Moon WH, Lee SY. Health education. 1st ed. Paju, Gyeonggi-do: Soomoonsa; 2012. p. 214-217. 

  18. Kim MY, Kwon IS, Kim SH, Kim JS, Kim TI, Sim MK, et al. Introduc tion to pediatric nursing. 1st ed. Paju, Gyeonggi-do: Soomoonsa; 2014. p. 61-62, 180, 286. 

  19.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991;50:179-21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20. Glanz K.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2nd ed. Yoo TK, Yoo HR, translator. Paju, Gyeonggi-do: Koonja Publisher; 2009. p. 71-101. 

  21. Lee SH, Jeon MY. Undergraduate students' sexual behavior and influencing factors: an analysi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06;18(4):553-563. 

  22. Prokhoov AV, Emmoms KM. Pallonen UE, Tsoh JY. Respiratory response to cigarette smoking among adolescent smokers; a pilot study. Preventive Medicine. 1996;25:633-640. https://doi.org/10.1006/pmed.1996.0099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2013 Comprehensive survey on children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2011 [cited 2014 November 04].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06294&page1 

  24. Palank CL. Determinants of health-promotive behavior.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1991;26(4):815-832. 

  25. Bae PW, Suh SR. Predictive factors on breast self-examination intention and behavior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5):2349-2359. https://doi.org/10.5762/KAIS.2013.14.5.2349 

  26. Hata EIC, Doi YRK. Behavior science and health. 1st ed. Lee EC, translator. Seoul: Yasmedia; 2007. p. 44. 

  27. MaCheuMoTo CAK. Introduction of health behavior theory. 1st ed. Lee EC, translator. Seoul: Yasmedia; 2007. p. 69-82. 

  28. Yi G, Hyun HJ. A study on knowledge of oral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belief, and the number of dental car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2009;20(4):531-539. 

  29. O'Donnell MP. Definition of health promotion 2.0: embracing passion, enhancing motivation, recognizing dynamic balance, and creating opportunities.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09;24(1):890-1171. 

  30. Bang SH, Yoo AR, Cho SY, Choi IS, Kim SW, Jeong Y, et al.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status and related factors among some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2;16(2):186-1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