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 보호자의 부양부담감 및 우울감과 정신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
The Relevance of Caregiver Burden, Depressive symptoms and Mental Related Quality of Life in a Stroke Patient's Caregive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7, 2017년, pp.208 - 218  

김민정 (청주의료원) ,  김영란 (원광보건대학교 방사선과) ,  정재훈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작업치료과) ,  이태용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청주시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7개의 종합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입원환자의 보호자 226명을 대상으로 부양부담감 및 우울감과 정신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고자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자료 수집은 2015년 8월 5일부터 10월 5일까지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 행위 특성 및 간병관련 특성, 부양부담감, 우울감에 따른 정신건강관련 삶의 질의 평균점수 비교는 t-test 및 ANOVA로 검정하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단계별 투입에 따른 설명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정신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수로는 환자와의 관계, '보호'에 대한 부담감, '개인적 희생'에 대한 부담감, 우울감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결론: 정신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건강관련행위특성, 간병관련 특성에 대한 제도적 보완과 더불어 부양부담감과 우울감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caregiver burden, depressive symptoms, and mental-related quality of life of 226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who had been hospitalized in 7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Cheongju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5, 2014 to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김은영 등[9]의 연구에서는 대상자가 33명으로 표본수가 작았고, 한정희와 박연환 [10]의 연구에서는 남성 대상자만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두 연구에서 간병과 직접 관련된 다양한 변수의 투입과 설명력에 대한 조사가 미미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 1점보다 높다는 것[29]을 고려할 때 미국에서 우울감 군과 비우울감 군의 분류 기준점인 16점을 한국인에서 적용한다는 것은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맹제와 김계희[30]의 연구에서 지역사회 역학연구의 일차 선별을 위해 21점을 사용하도록 권하였는데 이는 예민도를 95%이상으로 하고 가음성율을 5%이내로 하면서 우울감 일차 선별 대상을 25%로 하기 위해 제안한 기준이다. 본 연구에서도 조맹제와 김계희가 제안한 21점을 절단점으로 사용하였으며 21점 이상인 대상자를 우울감 군으로 정의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이 영향을 미치는 삶의 질 개념을 포함한 정신 건강관련 삶의 질(HRQo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을 측정하고자 한다[19]. HRQoL의 단축형인 SF-8을 이용하여 뇌졸중 환자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선행 연구[9][10]가 있으나 그 수가 2편으로 미미한 실정이다.
  • 뇌졸중은 우리나라에서 호발하는 만성질환 중 하나이며, 발병 시 환자와 가족은 물론, 지역사회와 국가에도 많은 정신적, 경제적 부담을 주는 질환이다.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 행위 특성, 간병관련 행위 특성에 따른 부양부담감, 우울감과 정신 건강관련 삶의 질의 상관관계 및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선행연구에서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들을 사용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를 의미하는 Cronbach's α 값이 0.
  • 본 연구는 뇌졸중환자 보호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관련행위 특성, 간병관련 특성에 따른 부양부담감 및 우울감과 정신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뇌졸중 환자의 가족 보호자를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청주시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7개의 종합 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입원환자의 보호자 226 명을 대상으로 부양부담감 및 우울감과 정신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고자 조사하였다.
  • 조사는 연구자와 보조자 1명이 각 병원을 직접 방문하여 의료기관 대표자에게 본 연구의 취지 및 조사내용에 대해 설명하고 협조를 얻었다. 그 후 조사대상자들에게 조사내용에 대해 설명하고 연구 참여 동의를 얻은 후, 미리 작성한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를 배포하여 회수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돌봄이 많은 학자들에게 관심영역으로 대두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돌봄(caregiving)은 급증하는 노인환자와 만성환자들을 낮은 의료지식 수준으로, 환경 및 심리적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가족이 돌보는 과정에서 야기되는 여러 문제에 대한 질병예방 또는 건강증진적 접근으로 많은 학자 들의 관심 영역으로 대두되고 있다. 의료의 발달과 함께 급성질환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완치가 불가능하고 계속 조절하면서 살아가야만 하는 만성질환은 계속 증가추세로 이는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뇌졸중환자의 환자가족이 겪는 부정적인 경험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더구나 우리나라는 의료수가의 상승으로 인한 조기퇴원으로 입원기간이 짧아져서 퇴원 이후 환자를 가족이 돌봐야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와 같이 환자가족은 환자를 돌보는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신체적 건강 문제와 불면증, 피로, 부담감, 분노, 우울감,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적 건강문제를 경험하게 된다[5][6]. 이런 부정적인 경험은 만성질환 자를 돌보는 가족의 기능에 부정적 영향을 주어 가족들의 부양부담감을 높이고[7][8], 삶의 질은 낮아지게 된다 [9][10][11].
삶의 질이란 무엇인가? Esther[16]에 따르면, 만성질환자를 돌보는 가족은 삶의 질이 감소됨으로써 부담감이나 긴장감이 야기되며, 질병과정에서 겪게 되는 변화와 새로운 역할 수행에 따른 변수들이 보호자의 부담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고 하였다. 삶의 질이란 한 인간의 삶의 정도와 가치를 말하며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경제적 및 영적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이다. 최근 연구에서 건강은 삶의 질에 가장 큰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17], 건강할수록 삶의 질이 높아진다는 선행연구들[18]을 통해 삶의 질은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Statistics Korea. Http://sgis.kostat.go.kr/publicsmodel/, 2012. 

  2. Kim S. K., Experience of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the patients with stroke, Korean journal of nursing query, pp. 67-88, vol. 3, no. 1, 1994. 

  3. Statistics Korea. Http://sgis. kostat.go.kr/publicsmodel/, 2002. 

  4. Kim J. H. Kang H. S., Kim. W. O., Wang. M. J., Chang. C. M.,,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 at Home,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 9, no. 1, pp. 49-55, 2006. 

  5. Kim I. K., Yang S. H., A Study on the Burden and Coping Behaviors of Stroke Patients' Family Membe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0, no. 1, pp. 28-41, 2004. 

  6. Anderson C. S., Linto J, Stewart-Wynne EG. A population-based assessment of the impact and burden of caregiving for long-term stroke survivors. Stroke vol. 26, no. 5, pp. 843-849, 1995. DOI: https://doi.org/10.1161/01.STR.26.5.843 

  7. Yoon H. S., Cha H.B., Cho Y.S., Factors Affecting Family Caregivers' Burden and Depression to Elderly with Stroke,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0, no. 2, pp. 137-153, 2000. 

  8. Robert J. H., Rosemarie B. K., Allen WH, Partrick S., Accidents in Older caregivers of Persons Surviving Stroke and Their Relation to Caregiver Stress. Rehabil Psychol, vol. 51, no. 2, pp. 15-156, 2006. 

  9. Kim E. Y., Shin E. Y., Kim Y. M., Caregiver Burde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Stroke Caregivers, J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vol. 18, no. 1, pp. 5-13, 2004. DOI: https://doi.org/10.4040/jkan.2004.34.1.5 

  10. Han J. H., Park Y. H., Caregiver's Burden and Quality of Life of Male Spouses with Stroke Wiv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 24, no. 6, pp. 615-626, 2012. DOI: https://doi.org/10.7475/kjan.2012.24.6.615 

  11. Han K. S., Kim S. Y., Lee S. J., Park E. S., Park Y. J., Kim J. H., Lee K. M., Kang H. C., Yeun. J. W., Family Functioning and Quality of Life of the Family Care-giver in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6, no. 6, pp. 983-991, 2006. DOI: https://doi.org/10.4040/jkan.2006.36.6.983 

  12. Jung Y. B., Park J. H., Burden and Depression among Family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vol. 8, no. 1, pp. 105-116, 2004. 

  13. Elisabeth T. P, Luc P. W, Lindwein M. S, Robbert S, Betty MJ. Risk factors for burn-out in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and possibilities for intervention. Clin Rehabil vol. 15, no. 6, pp. 669-677, 2001. DOI: https://doi.org/10.1191/0269215501cr446oa 

  14. Lee K. O., Yang H. Y., Family Caregiver Burden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Levels of CVA Patient's Self-Care, The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11, no. 2, pp. 192-205, 2002. 

  15. Min Y. S., Yong J. S., Relationships Among Burde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for the Family Caregiver of Hemodialysis Patients, The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12, no. 3, pp. 358-366, 2003. 

  16. Esther S. Family burden and quality of life. Qual Life Res vol. 12, no. 1, pp. 33-41, 2003. 

  17. Sawatzky R, Pamela AR, Johnson JL, Kopec JA, Zumbo BD. Self-reported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s: a latent variable mediation model. Health Qual Life Outcomes 8, pp. 17-27, 2010. DOI: https://doi.org/10.1186/1477-7525-8-17 

  18. Choi Y. J., A Study on Factors that Affect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by Age,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 2008. 

  19. Ware J. E., Kosinski M, Dewey J. E., Gandek B. How to Score and Interpret Single-Item Health Status Measure : A Manual for Users of the SF-8 Health Survey. Qaulity Metric Incorpotated, Lincoln(RI), 2001. 

  20. Cho S. I. KLoSA, basic analysis report. Seoul: Korea Labor Institue, 2009. 

  21. Statistics Korea. Http://sgis.kostat.go.kr/publicsmodel/, 2006. 

  22. Van Swieten JC, Koudstaal PJ, Visser MC, Schouten H. J., van Gijn J., Interoobserver agreement for the assessment of handicap in stroke patients. Stroke 19, pp. 604-607, 1988. DOI: https://doi.org/10.1161/01.STR.19.5.604 

  23. Vernooij-Dassen MJ, Persoon JM, Felling AJ. Predictors of sense of competence in primary caregivers of demented persons. Soc Sci Med vol. 43, no. 1, pp. 41-49, 1996. DOI: https://doi.org/10.1016/0277-9536(95)00332-0 

  24. Choi S. M., Kim H. S., Kwon S. U., Kim J. S., Factors affecting the burden on caregivers of stroke survivors in South Korea. Arch Phys Med Rehabil 86, pp. 1054-1058, 2005. 

  25. Kyum K. C., Sang C. C., Beyong C. Y., Integrated Adaptation of CES - D in Korea,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 6, no. 1, pp. 59-76, 2001. 

  26. Craig T. J., Van Natta P. A., Prevalence and persistences of depression symptoms in patients and community populations. Am J Psychiatry, 133. pp. 1426-1429, 1979. 

  27. Myers J. K., Weissman M. M., Use of a self-report symptom scale to detect depression in a community sample. Am J Psychiatry 137, pp. 1081-1084, 1980. DOI: https://doi.org/10.1176/ajp.137.9.1081 

  28. Eaton W. W., Kessler L. G., Rates of symptoms of depression in a national sample. Am J Epidemiol 114, pp. 528-539, 1981. DOI: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113218 

  29. Moon S. J., Lee M, J. Yoon K. S., Lee S. C., Lee H. Y., Kim M. K.,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CES-D) : Its Use in Ko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 30, no. 4, pp. 752-767, 1991. 

  30. Cho M. J.,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diagnostic instruments and epidemiological studies for major psychiatric disorder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1. 

  31. Lee E. H., Problem with the use of questionnaires published 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Korean J Adult nurs, vol. 24, no. 5, pp. 439-440, 2012. DOI: https://doi.org/10.7475/kjan.2012.24.5.439 

  32. David L. R., William EH, Virgina GW, Olivio JC, George H., Race and gender differences in perceived caregivers availability for community-dwelling middle-aged and older adult, Gerontologist, vol. 47, no. 6, pp. 721-729, 2007. DOI: https://doi.org/10.1093/geront/47.6.721 

  33. Kao H. F., McHugh M. L., The role of caregiver gender and caregiver burden in nursing home placements for elderly Taiwanese survivors of stroke, Res Nurs Health, vol. 27, no. 2, pp. 121-134, 2004. DOI: https://doi.org/10.1002/nur.20007 

  34. Vincent C, Desrosiers J, Landreville P, Demers L. Burden of caregivers of people with stroke: Evolution and predictors, Cerebrovas Dis, vol. 27, no. 5, pp. 456-464, 2009. DOI: https://doi.org/10.1159/000210092 

  35. Shin S. I., Study on quality of life and burden of caregiving for primary caregiver of stroke patients, Dongguk University, 2014. 

  36. Park Y. R., A study on burden in family caregivers and perceived family support in patients with stroke, Kyung Hee University, 2000. 

  37. Eo J. M., A study on the burden and life quality of cancer patients' family members, Hanyang University, 2004. 

  38. Heo Y.H., Burden in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diseas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3. 

  39. Morimoty T, Schreiner AS, Asano H. Caregiver burden and hea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Japanese stroke caregiver. Age Ageing vol. 32, no. 2, pp. 218-223, 2003. DOI: https://doi.org/10.1093/ageing/32.2.218 

  40. Nir Z, Greenberger C, Bachner YG. Profile, burden, and quality of life of Israeli stroke survivor caregivers: a longitudinal study. J Neurosci Nurs vol. 41, no. 2, pp. 92-105, 2009. DOI: https://doi.org/10.1097/JNN.0b013e318193456b 

  41. Park S. H., A Research on Husband's Experience who Care for Old Spouses with Stroke, Seoul Christian University, 2010. 

  42. Kim N. H., Tae Y. S., Choi Y. S., Bae J. H., Influencing Factors on stress in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Beong Admitted in Rehabilitation Cent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vol. 17, no. 2, pp. 188-201, 2016. DOI: https://doi.org/10.5762/KAIS.2016.17.2.1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