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여대생의 지각된 부와의 의사소통, 부의 정서표현, 성정체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father communicatio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gender identity on self-efficacy of nursing college femal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7, 2017년, pp.300 - 309  

강영숙 (부산여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여대생의 지각된 부와의 의사소통, 부의 정서표현, 성정체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B시의 간호학과 여학생으로 자료수집은 2016년 5월 23일부터 5월 27일까지 였고, 최종 270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자기효능감은 $3.21{\pm}0.38$점으로 나타났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경제상태(F=5.13, p=.006), 부와의 관계(F=4.74, p=.001), 성적(F=5.22, p=.006), 성만족(F=4.00, p=.004)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부와의 의사소통, 부의 정서표현, 성정체성,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개방적 의사소통(r=.30, p<.001), 긍정적 정서표현(r=.37, p<.001), 성정체성(r=.26, p<.001)과는 정적 상관관계, 폐쇄적 의사소통(r=-22, p<.001), 부정적 정서표현(r=-.26, p<.001)과는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의 긍정적 정서표현, 부정적 정서표현과 성정체성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18.2%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간호여대생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고, 자기효능감의 영향 요인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perceived father communicatio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gender identity on self-efficacy of fe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70 female nursing students in B city, from May 23, 2016 to May 27 and then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여대생이 지각한 부와의 의사소통, 부의 정서표현, 성정체성, 자기효능감의 정도를 파악하고, 부와의 의사소통, 부의 정서표현, 성정체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여대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여대생의 자기효능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지각된 부와의 의사소통, 부의 정서표현과 성정체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효능감과 상관관계가 있는 변수와 지각된 부와의 의사소통, 부의 정서표현과 성정체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여대생의 지각된 부와의 의사소통, 부의 정서표현, 성정체성, 자기효능감의 정도를 파악하고, 지각된 부와의 의사소통, 부의 정서표현, 성정체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여대생의 지각된 부와의 의사소통, 부의 정서표현, 성정체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대상자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의 긍정적 정서표현, 부정적 정서표현과 성정체성을 확인하였고, 간호여대생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중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여대생의 지각된 부의 의사소통, 부의 정서표현, 성정체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여대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여대생의 자기효능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지각된 부와의 의사소통, 부의 정서표현과 성정체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효능감과 상관관계가 있는 변수와 지각된 부와의 의사소통, 부의 정서표현과 성정체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정체성에 대해 부모의 의사소통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또한 근본적인 성에 대한 가치관은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기 때문에 대학생 자녀의 바람직한 성의식을 확립하는데 있어서 부모와 자녀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17]. 성정체성에 대한 부모의 의사소통이 자녀의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며, 개방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때 자녀의 성태도 및 성행동뿐만 아니라 다른 가치관 및 태도에서도 건전한 방향으로 유도시킬 수 있는 주요 요인이 된다[17]. 특히 부와의 의사소통은 딸의 성태도와 성행동에 잠재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부의 정서표현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사람은 언어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행동 즉, 몸짓, 얼굴표정 등을 통하여 자신의 정서를 표현하는데, 정서표현은 어린 시절부터 부모의 모델링을 통해 학습되고, 가정의 분위기를 형성하여 영향을 미치게 된다. 부의 정서표현은 자녀가 정서표현에 대한 신념과 가치를 학습하고 적절한 표현양식을 습득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자녀의 정서표현 특성과 그 내적과정에 영향을 준다고 한다[14]. 선행연구에서 부-자녀 간의 상호작용에서 부가 긍정적인 정서를 많이 표현하고 서로 존중하는 경험을 한 자녀는 높은 사회적 능력을 보인 결과와[15], 부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에서 부의 부정적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낸 결과가 있었으나[16] 부의 정서표현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의 정서표현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기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부의 정서표현은 자녀가 정서표현에 대한 신념과 가치를 학습하고 적절한 표현양식을 습득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자녀의 정서표현 특성과 그 내적과정에 영향을 준다고 한다[14]. 선행연구에서 부-자녀 간의 상호작용에서 부가 긍정적인 정서를 많이 표현하고 서로 존중하는 경험을 한 자녀는 높은 사회적 능력을 보인 결과와[15], 부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에서 부의 부정적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낸 결과가 있었으나[16] 부의 정서표현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사회적 역할과 사회적 관계가 준비되어 가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의 정서표현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 Y. Kim, J. E. Cha, "Self-efficacy and measurement", Proceeding of Winter Conference of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pp. 51-64, 1996. 

  2.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N. S. : Prentice-Hall, 1986. 

  3. H. J. Mo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child-learning practices in early childhood and the perceive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 37, no. 9, pp. 141-152, 1999. 

  4. I. S. Jang, S. J. Cha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19, no. 6, pp. 291-313, 2012. 

  5. Y. S. Eo, K. R. Lee, S. S. Choi, "Ego-identity, self-efficacy and the independence of his parents with college and adjustment in freshman of nursing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3, no. 6, pp. 3073-3084, 2011. 

  6. S. H. Jang, S. H. Lee, "Self-esteem,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riend's sexual attitude and sexual permissiveness i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17, no. 4, pp. 395-406, 2011. DOI: https://doi.org/10.4069/kjwhn.2011.17.4.395 

  7. J. Y. Chae, "The influences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 communication with fathers, and the self-concept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31, no. 1, pp. 39-48, 2013. DOI: https://doi.org/10.7466/JKHMA.2013.31.1.039 

  8. H. S. Shin, Y. O. Jang,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on adolescent's self-efficac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19, no. 5, pp. 189-202, 2001. 

  9. C. Y. Nam, S. M. Kim, "The effects of fathering practice o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vol. 13, no. 2, pp. 315-334, 2011. 

  10. J. H. Park, J Y. Hwang, C. E. Chung, Y. E. Lee, M. S. Yoo, "Difference between groups of perception of father and happiness according to father's control of childre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12, no. 4, pp. 1247-1260, 2011. DOI: https://doi.org/10.15703/kjc.12.4.201108.1247 

  11. M. A. Yoon, Y. J. Oh, "Study on parent-adolescent child communication types and self-efficacy",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 14, no. 1, pp. 115-129, 2004. 

  12. H. S. Kim, S. H. Hong, E. J. Yo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in adolescents", Studies on Korean Youth, vol. 16, no. 2, pp. 37-65, 2005. 

  13. I. J. Choi, "The effect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adolescent's self-differentiation, depression and anxiety",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6, no. 3, pp. 611-628, 2007. DOI: https://doi.org/10.15842/kjcp.2007.26.3.004 

  14. J. C. Dunsmore, A. G. Halberstadt, "How does family emotional expressiveness affect children's schemas?"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vol. 77, pp. 45-68, 1997. DOI: https://doi.org/10.1002/cd.23219977704 

  15. E. W. Lindsey, T. Smith, K. Benedict, "Father-child play and children's peer relations.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Indianapolis, IN, 1995. 

  16. H. Y. Song, J. A. Oh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verbal control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y",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 45, no. 4, pp. 87-96, 2007. 

  17. S. Y. Kim, "The relationship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types and sexual consciousness by adolescents", Journal of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vol. 28, pp. 63-82, 2010. 

  18. M. K. Hutchinson, T. M. Cooney, "Patterns of parent-teen sexual risk communication: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Family Relation, vol. 47, no. 2, pp. 185-194, 1998. DOI: https://doi.org/10.2307/585623 

  19. M. K. Hutchinson, "The influence of sexual risk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daughters on sexual behaviors", Family Relation, vol. 51, no. 3, pp238-547, 2002. DOI: https://doi.org/10.1111/j.1741-3729.2002.00238.x 

  20. B. S. Hong, "A study on british government's intervention and strategies for youth in prostitution", Korean Association of Criminology, vol. 19, no. 1, pp. 387-424, 2007. 

  21. M. K. Jeon, M. S. Kim,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elf differentiation, self esteem, life stress in nursing department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4, pp. 293-302, 2013. 

  22. H. Y. Min, Y. J. Lee, Y. M. Lee, "College student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22, no. 5, pp. 17-27, 2004. 

  23. J. H. Park, T. H. Kim, "A study on sexual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focus on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with parents and university students' sexual attitude and communicatio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 10, no. 1, pp. 75-101, 2005. 

  24. E. J. Yeun, H. J. Kwon, H. J. Kim, "Subjectiv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n application of Q-methodolog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2, no. 3, pp. 342-350, 2012. DOI: https://doi.org/10.4040/jkan.2012.42.3.342 

  25. E. M. Park, "Relationship of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between parents-adolescents communication types and students'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University, Seoul, 1998. 

  26. H. L. Barnes, D. H. Olso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circumplex model", Child Development, vol. 56, pp. 438-447, 1982. DOI: https://doi.org/10.2307/1129732 

  27. A. G. Harberstadt, J. Cassidy, C. A. Stifter, R. D. Parker, N. A. Fox, "Self-expressiveness within the family context: psychometric support for a new measure", Psychological Assessment, vol. 7, no. 1, pp. 93-103, 1995. DOI: https://doi.org/10.1037/1040-3590.7.1.93 

  28. D. J. Lee, E. J. Lee, "The influences of gender role identity, and gender role attitud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10, no. 4, pp. 2137-2151, 2009. DOI: https://doi.org/10.15703/kjc.10.4.200912.2137 

  29. K. W. Hong, M S. Kim, Y. S. Han, "The effect of gender identity, satisfaction with one's gender group and collective self-esteem on gender egalitarianism",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vol. 8, no. 1, pp. 19-33, 2003. 

  30. A. Y. Kim, "A study on the academic failure-tolerance and its correlat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11, no. 2, pp. 1-19. 1997. 

  31. K. A. Choi, "The effect of father-adolescents communication, fa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n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seo University. 

  32. Y. J. Park, "A study on college students' gender-role identity & its relationship to sex stereotype and self-conscious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kang University, Seoul, 2000. 

  33. H. Y. Kim, S. Y. Kim, H. W. Seo, E. H. So, "Time management behavior and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7, no. 3, pp. 293-300, 2011.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3.293 

  34. S. M. Kim, S. Y. Park, "The effects of attribution disposition, self-efficacy and clinical competency and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 of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6, no. 6, pp. 3409-3421, 2014. 

  35. S. H. Park, E. K. Byun, "Factors influencing the mental health in colleg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2, pp. 8284-8291,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2.8284 

  36. E. H. Hwang, C. M., Hong, S. J. Shin, "Predictors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6, no. 6, pp. 3409-3421, 2016.. 

  37. A. Y. Kim, I. Y. Park,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academic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39, no. 1, pp. 95-123, 2001. 

  38. Y. Lee, K. J. Park, Y. M. Rah,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riterion scores for the attachment Q-test in Korea",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 18, no. 2, pp. 131-148, 1997. 

  39. M. A. Kim, J. Kim, E. J. Kim, "Relationships among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 college freshme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6, no. 2, pp. 1103-1114,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