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교사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7, 2017년, pp.618 - 626  

이성옥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  이선미 (귀산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설계는 서술적 연구이다. 초등학교 교사 2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t-test, 분산분석, $Scheff{\acute{e}}$ test, 상관분석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5점 Likert 척도로 측정된 심리적 소진, 직무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의 평균치는 각각 2.44, 3.07, 3.68이었다. 4점 Likert 척도로 측정된 우울과 직무만족도의 평균치는 각각 1.47, 2.95이었다. 교직경력과 학급 규모는 우울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심리적 소진(r=.465, p<.001)과 직무스트레스(r=.220, p<.001)는 우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직무만족도(r=-.249, p<.001)와 자아탄력성(r=-.643,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 회귀분석을 한 결과, 초등교사의 우울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탄력성(${\beta}=-.639$)이었고, 직무만족도(${\beta}=.141$), 심리적 소진(${\beta}=.094$), 직무스트레스(${\beta}=.067$) 순이었으며 4가지 연구변인의 설명력은 42.7%였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우울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자아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학교 구성원들뿐만 아니라 교육지원기관이 함께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earch design was a descriptive study. Methods: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283 elementary school teachers.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NOVA, a $Scheff{\acut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자아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자아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자아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향후 인재양성 및 인성교육 등을 책임지고 있는 교사들의 정신건강 증진전략 및 교육자료 또는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우울과 심리적 소진,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 자아탄력성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거주형태에 따라 기숙사 생활과 그 외의 생활을 하는 대학생으로 구분하여 두 집단의 스트레스 증상 중 습관적 행동형태, 인식력 장애, 우울, 불안, 정서적 분노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대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을 위한 보건교육자료 개발 및 건강증진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의 자아탄력성이란 무엇인가? 교사의 자아탄력성은 교사 자신의 심리적 소진경험을 완화시키는 역할과 함께 스트레스와 부정적인 상황에서도 유연하고 융통성 있게 대처하고 성공적으로 적응해가는 능력을 뜻하며 학생들에게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적응력과 해결해야 할 문제들을 회피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8, 9].
교사들이 학생들과의 정서적 교류를 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오늘날 교사들은 성장과정의 학생들에게 큰 영향력을 끼치며, 전통적 스승관으로 인한 높은 사회·도덕적 잣대와 책임감 속에서 생활하여야 한다. 학생들은 교사를 통하여 교수-학습내용, 문제 해결 방식 및 의사소통 능력 등을 배우기 때문에 교사들의 일상적인 삶 자체가 학생들에게 배움의 대상으로 단순히 지식만을 전달하는 일 방향 매개체가 아닌 양 방향적 의사소통을 자극해야 하는 책임자로서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정서적 교류도 해야 한다[1]. 학교조직 내에서도 교사들은 학급운영 및 학생생활 지도에 대한 부담감, 학교 경영체계의 관료적인 성격, 교육환경 전반의 열악함, 승진기회 부족 등의 다양한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중등교사와는 달리 전 과목을 담당하는 초등교사의 입장에서는 학습지도와 생활지도, 과도한 학교행정업무, 학교관리자 및 동료 교사들과의 인간관계 문제, 일부 학부모들의 지나친 요구와 개입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심리적, 신체적 압박감을 경험하게 된다[2].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업무상의 요구사항이 교사 자신의 능력이나 환경기반 등의 요구와 일치하지 않을 때 생기는 신체적, 정서적 유해 반응으로 교사의 심리적, 정서적 건강 등에 영향을 끼칠 뿐 만 아니라 직무만족도 또는 교직수행과정에 있어서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된다. 직무스트레스는 전반적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미치며, 교사의 열의와 사기를 떨어뜨려 정도가 심각해지면 심리적 소진의 양상을 보이게 되어 이는 결국 교육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게 되어 정신적·신체적 건강을 손상시키는 등 교직생활을 위협하게 된다. 이때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항을 미친다고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 Hargreaves, Teaching in a box : Emotional geographies if teaching. In C. Surgue & C. Day(Eds), Developing teacher and teaching practice: International research perspectives. pp.3-25, Routledge Falmer Press, 2002. DOI: https://doi.org/10.4324/9780203166185_chapter_1 

  2. K. H. Lee, H.Y. Jung, "Relations of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and teachers' job stresse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ol. 21, no. 1, pp. 121-133, 2009. 

  3. M. K. Song, N. M. Yang,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burnout scal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16, no. 3, pp. 195-214, 2015. DOI: https://doi.org/10.15703/kjc.16.3.201506.195 

  4. J. Y. Lee, "The Effect of perfectionism on burnout i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oderating Effect of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 20, no. 1, pp. 45-59, 2011. 

  5. R. L. Schwab, S. E. Jackson, R. S. Schuler, "Educator burnout: Source and Consequences", Educational Research Quarterly, vol. 10, no. 3, pp. 14-30, 1986. 

  6. H. J. Shin, H. K. Noh, Y. J. Jang, Y. M. Park, S. M. Lee,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burnout and depression", Journal of Employment Counselling, vol. 50, no. 3, pp. 124-137, 2013. DOI: http://dx.doi.org/10.1002/j.2161-1920.2013.00031.x 

  7. C. Kyriacou, "Teacher stres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Educational Review, vol. 53, pp. 27-35, 2001. DOI: http://dx.doi.org/10.1080/00131910120033628 

  8. H. J. Park, B. W.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styles, resilient and burnout of counselor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vol. 22, no. 1, pp. 33-52, 2010. 

  9. C. Maslach, W. B. Schaufeli, M. P Leiter,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 52, no. 1, pp. 397-422, 2001. DOI: http://dx.doi.org/10.1146/annurev.psych.52.1.397 

  10. S. H. Yoon, J. Y. Bae, S. W. Lee, K. E. An, S. E. Kim,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depression, drinking and smoking among Korean men", Health and Social Science. vol. 19, pp. 31-50, 2006. 

  11. H. K. Chang, K. H. Kang, "Middle school teachers' schooling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ol. 18, no. 1, pp. 1-10, 2006. 

  12. Y. Park, J. H. Yang, "The effect of collaborative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on the depressive tendencies, well- being, and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depressi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8, no. 5, pp. 265-300, 2013. 

  13. H. W. Jeong, "Influence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school organizational factors, and sociopsychological factors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vol. 37, no. 2, pp. 75-96, 2006. 

  14. A. T. Beck,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Univ. of Pennsylvania Press, 1967. 

  15. Y. H. Lee, J. Y. Song,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10, no. 1, pp. 98-113, 1995. 

  16. C. Maslach, S. E. Jackson,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vol. 2, no. 2, pp. 99-113, 1981. DOI: https://doi.org/10.1002/job.4030020205 

  17. J. A. Kang,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burnout on students' school life adjust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2010. 

  18. D. F. Parker, T. A. DeCotiis,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 32, pp. 160-177, 1983. DOI: https://doi.org/10.1016/0030-5073(83)90145-9 

  19. R. A. Seok,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eachers'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burnou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14. 

  20. B. J. Min, "Influence of job embeddedness and job stress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urnout mediated by job attitude",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2014. 

  21. E. C. Klohnen,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70, no. 5, pp. 1067-1079, 1996.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70.5.1067 

  22. K. Y. Lee, "Adult attach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mediated effect of teacher's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cheon, 2015. 

  23. Y. N. Yi, "A Study on Depression Coping Behavior and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According to Levels of Depression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999. 

  24. C. K. Park, J. R. Le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depression of Korean adult male an female", Health and Social Science, vol. 29, pp. 99-128, 2011. 

  25. N. S. Kim, J. W. Lee, "The effect of children teachers' depression and strategies for coping with stress on self-esteem",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vol. 47, no. 2, pp. 133-151, 2016. DOI: https://doi.org/10.15854/jes.2016.06.47.2.133 

  26. B. R. Kim, Y. S. Park,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s' stress management in relation to work environment with job engagement and burnout respectively",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 20, no. 3, pp. 199-208, 2012. 

  27. I. S. Lee, J. H. Oh, "The stress, depression, quality of life and relating factors in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2, no. 6, pp. 3193-3205, 2010. 

  28. K. H. Hong, H. K. Jeong, "Effect of preschool teacher's job stress and depression on burnout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hildcare & Education, vol. 9, no. 1, pp. 263-280, 2013. 

  29. H. K. Lee, C. Y. Nam, "The effect of job stress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n job satisfaction of office worke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1, no. 4, pp. 490-498, 2015.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5.21.4.490 

  30. K. M. Koh, S. K. Lee, "A structural model analysis on the relation among the social support for child care teachers within and outside workplace,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vol. 20, no. 3, pp. 225-250,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