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교사의 심리·사회적 근로환경과 우울 위험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between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Teacher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8 no.4, 2017년, pp.463 - 471  

최은숙 (경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권민정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이해준 (국민건강보험공단) ,  조교영 (경북대학교 통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teachers. Methods: Data on 235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341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as obtained from the 2014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The effect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와 중 ․ 고등학교 교사로 구분하여 교사의 우울 위험 수준을 파악하고, 우울 위험과 관련된 심리 사회적 근로환경요인의 독립적 영향을 각각 확인한 상관관계 연구이다.
  • 또한, 다양한 차원의 심리 ․ 사회적 요구를 고려한 중재 개발을 위해서는 각 요인들의 독립적 영향에 대한 확인이 요구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포괄적인 심리사회적 업무환경을 반영할 수 있는 근로환경조사 자료를 통해, 교사들을 초등교육을 담당하는 초등교사와 중등교육을 담당하는 중 ․ 고등학교 교사로 구분하여 심리·사회적 근로환경요인과 우울 위험의 수준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이란? 우울은 개인의 일상적 기능 상실을 유발하는 심리적 장애이며, 사회적인 부담이 큰 공중보건 문제의 하나이다. 국내의 경우 성인인구의 13%에서 우울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는데[1], 우울은 그 자체로 역기능적일 뿐만 아니라 여러 부정적 결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높은 수준의 직무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은? 또한, 교사들의 경우 다른 직종에 비해 공익성이 강조되며 동시에 가치 지향적이라는 점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고, 이는 문화적 이행을 겪는 현대사회에서 더욱 심화되는 추세이다. 높은 수준의 직무 스트레스는 교사의 업무 수행, 전반적인 직무 만족, 그리고 불안과 우울을 비롯한 신체적 ․ 정신적 건강 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7,8]. 또한 교육에 종사하는 직업은 다른 사회 서비스직에 비해 더 쉽게 소진되고, 신체적 ․ 심리적 증상을 경험하는 사례가 더 많은 것으로 보고된다[9].
우리나라 교사들의 정신건강이나 근로환경 수준이 열악하다고 보는 근거는? 9%로 감소한 보건 및 사회복지업 종사자들과 비교해 볼 때 반대되는 경향을 나타낸다[4]. 더욱이, 교수-학습 국제조사(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TALIS)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교사들은 직업 선택을 후회한다는 응답이 20.1%로 OECD 국가 평균의 9.5%에 비해 더 높았으며, 자신의 학교를 일하기 좋은 곳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65.6%로 OECD 평균인 84.0%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5]. 따라서, 우리나라 교사들의 정신건강이나 근로환경 수준은 비교적 열악하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cited 2017 June 8].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02_N062&conn_pathI2 

  2. Henderson M, Glozier N, Elliott KH. Long term sickness absence: Is caused by common conditions and needs managing. British Medical Journal. 2005;330(7495):802-803. https://doi.org/10.1136/bmj.330.7495.802 

  3. Karpansalo M, Kauhanen J, Lakka TA, Manninen P, Kaplan GA, Salonen JT. Depression and early retirement: Prospective population based study in middle aged men.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2005;59(1):70-74. https://doi.org/10.1136/jech.2003.010702 

  4. Choi ES, Ju YS, Yim J, Cho SJ, Jeon KS, Ha YM, et al. Time series analysis for the 1st to 4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Research Report. Ulsan: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2015 October. Report No.: 2015-1058. 

  5. OECD. TALIS 2013 results: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on teaching and learning [Internet]. Paris: OECD Publishing. 2014 [cited 2017 November 3]. Avaliable from: http://www.keepeek.com/Digital-Asset-Management/oecd/education/talis-2013-results_9789264196261-en#page4 

  6. Fullan M.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2001. 297 p. 

  7. Jepson E, Forrest S. Individual contributory factors in teacher stress: The role of achievement striving and occupational commitment.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06;76(1):183-197. https://doi.org/10.1348/000709905X37299 

  8. Bauer J, Stamm A, Virnich K, Wissing K, Muller U, Wirsching M, et al. Correlation between burnout syndrome and psychological and psychosomatic symptoms among teachers.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2006;79(3):199-204. https://doi.org/10.1007/s00420-005-0050-y 

  9. De Heus P, Diekstra RF. Do teachers burn out more easily? A comparison of teachers with other social professions on work stress and burnout symptoms.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270 p. 

  10. Stansfeld SA, Fuhrer R, Shipley MJ, Marmot MG. Work characteristics predict psychiatric disorder: Prospective results from the Whitehall II study.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1999;56(5):302-307. 

  11. Paterniti S, Niedhammer I, Lang T, Consoli SM.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personality traits and depressive symptoms: Longitudinal results from the GAZEL Study.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002;181(2):111-117. https://doi.org/10.1192/bjp.181.2.111 

  12. Cox T. Stress research & stress management: Translating research into practice. Sudbury: HSE Books; 1993. 120 p. 

  13. Schutte S, Chastang JF, Malard L, Parent-Thirion A, Vermeylen G, Niedhammer I. Psychosocial working condi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employees in 34 European countries.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2014;87(8):897-907. https://doi.org/10.1007/s00420-014-0930-0 

  14. Choi ES, Jeon GS. The Impacts of psychosocial work conditions on self-rated health among Korean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6;25(4):300-310. https://doi.org/10.5807/kjohn.2016.25.4.300 

  15. Choi ES, Jeon GS. The Impacts of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s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registered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7;26(1):30-39. https://doi.org/10.5807/kjohn.2017.26.1.30 

  16. Eurofound. Fifth European working condition survey.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2. 160 p. 

  17. Krieger T, Zimmermann J, Huffziger S, Ubl B, Diener C, Kuehner C, et al. Measuring depression with a well-being index: further evidence for the validity of the WHO Well-Being Index (WHO-5) as a measure of the severity of depress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4;156:240-244. https://doi.org/10.1016/j.jad.2013.12.015 

  18. Kim HR, Lee SY, Lee YR, Kim HH, Lee WY. Teacher's job stress and health survey. Research Report. Seoul: Korean Teachers Educational Worker's Union; 2016 December. 

  19. Borrelli I, Benevene P, Fiorilli C, D'Amelio F, Pozzi G. Working conditions and mental health in teachers: A preliminary study. Occupational Medicine. 2014;64(7):530-532. https://doi.org/10.1093/occmed/kqu108 

  20. Nakada A, Iwasaki S, Kanchika M, Nakao T, Deguchi Y, Konishi A, et 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perceived individual level occupational stress among japanese schoolteachers. Industrial Health. 2016;54(5):396-402. https://doi.org/10.2486/indhealth.2015-0195 

  21. Zhang Q, Zhu W. Exploring emotion in teaching: Emotional labor, burnout, and satisfaction in Chinese higher education. Communication Education. 2008;2009;57(1):105-122. https://doi.org/10.1080/03634520701586310 

  22. Aftab M, Khatoon T. Demographic differences and occupational stres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European Scientific Journal. March Edition. 2012;8(5):159-175. 

  23. June KJ, Choi E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penhagen psyco-social questionnaire scal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1):1-12. https://doi.org/10.5807/kjohn.2013.22.1.1 

  24. June KJ, Choi ES, Park M-J. Effect of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self-efficacy on mental health of office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3):228-239. https://doi.org/10.5807/kjohn.2013.22.3.228 

  25. Cicognani E, Pietrantoni L, Palestini L, Prati G. Emergency workers' quality of life: The protective role of sense of community, efficacy beliefs and coping strateg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2009;94(3):449-463. https://doi.org/10.1007/s11205-009-9441-x 

  26. Ahghar G. The role of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in occupational stress among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Tehran.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and Environmental Health. 2008;21(4):319-329. https://doi.org/10.2478/v10001-008-0018-8 

  27. Skaalvik EM, Skaalvik S. Teacher job satisfaction and motivation to leave the teaching profession: Relations with school context, feeling of belonging, and emotional exhaus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011;27(6):1029-1038. https://doi.org/10.1016/j.tate.2011.04.001 

  28. Van Dick R, Wagner U. Stress and strain in teaching: A structural equation approach.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01;71(2):243-259. https://doi.org/10.1348/000709901158505 

  29. Rugulies R, Aust B, Pejtersen JH. Do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factors measured with scales from the copenhagen psychosocial questionnaire predict register-based sickness absence of 3 weeks or more in Denmark?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0;38(3):42-50. https://doi.org/10.1177/1403494809346873 

  30. Chung MK, Joo YH, Chung BU. A study of policy strategies and directions for reducing the burden of teachers in administrative affair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13;30(3):377-4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