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이차원 SnSe2 전자소재의 Cl 도핑에 따른 고온 전도 물성 고찰
Study on the Change of Electrical Properties of two-dimensional SnSe2 Material via Cl doping under a High Temperature Condition 원문보기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 학회지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v.24 no.2, 2017년, pp.49 - 53  

문승필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김성웅 (성균관대학교 에너지과학과) ,  손희상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  김태완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이규형 (강원대학교 나노응용공학과) ,  이기문 (군산대학교 물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 불순물 도핑에 따른 $SnSe_2$ 이차원 전자소재의 고온(300~450 K) 전도 물성 변화를 고찰하였다. 고상합성법을 통하여, 도핑이 없는 $SnSe_2$ 소재와 Cl이 도핑된 $SnSe_{1.994}Cl_{0.006}$ 소재를 합성하였으며, X선 회절 실험을 통하여, 두 재료 모두 불순물 없는 단일상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비저항의 온도의존성 측정을 통하여, 전기 전도 mechanism이 Cl 도핑에 의해 hopping 전도에서 축퇴 전도로의 전이가 일어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홀효과 측정을 통해 그러한 전도 mechanism의 전이가, Cl의 효과적인 donor 역할에 따른 자유전자의 농도 증가에서 기인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온도에 따른 전자이동도의 변화 분석을 통하여, 도핑이 없는 $SnSe_2$의 고온 전기 전도는 grain boundary 산란이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도체 전도 특성을 보이는 반면, Cl 도핑에 따라 grain boundary 산란 효과가 저하되는 금속 전도 특성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tudy on the change of electrical properties of two-dimensional (2D) $SnSe_2$ materials with respect to Cl doping as $SnSe_{1.994}Cl_{0.006}$ under a high temperature condition. (300~450 K) By the simple solid-state reaction method, non-and Cl-doped 2D $SnSe_2$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하지만 실질적인 전자소자가 작동하는 환경은 상온(300 K)에서 전류 열화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고온(450 K) 영역이 될 것이며, 그러한 온도 환경 하에서의 전도 물성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불순물이 없는 non-doped 상태의 SnSe2 및 Cl 불순물이 도핑된 SnSe2 소재의 고온 전도 물성 분석을 통해, 실질적인 소자 구동 환경 하에서의 전기 전도 물성을 결정하는 핵심 인자를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MD 소재의 장점은? 3-6) 특히 Nano-sheet화에 따라서 벌크 상태와 상이한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특성들이 발현됨으로써, 기존 소재들이 갖고 있던 물성의 근원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신소재군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Graphene과 유사한 비대칭적인 약한 van der Waals 결합을 갖는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TMD) 등의 소재군 역시 근래에 들어 집중적으로 연구가 되어오고 있다.3-6) Graphene과 달리 유한한 band-gap을 갖는 TMD 소재의 경우, 다이오드, 트랜지스터와 같은 능동형 소자의 구현이 가능함과 동시에, 고이동도의 이차원 전하 전도가 용이하다는 면에서, 기존의 Si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전자소재로서 가능성을 보이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응용 광소자 및 논리회로로의 구현 가능성 역시 여러 연구진들을 통해 보고되어오고 있다.3-6)
이차원 전자소재들이 전도물성의 제어가 어려웠던 이유는? 실질적인 전자소재로의 응용을 위해서는, 기존의 Si 소재가 그러하였듯이, 단일 모조성(parent material) 안에서 부도체/반도체/전도체의 전기적 물성을 광범위한 범위로 제어할 수 있는 소재기술이 핵심적이나,7) 현재까지의 이차원 전자소재들은 구성 원소들의 근본적인 전하 국소화(carrier localization) 특성이 강한 연유로, 효과적인 전도물성의 제어가 어려웠다.8,9) 특히 화학적인 치환형(substitutional) 도핑에 따라 전자(electron) 혹은 홀(hole) 전하(carrier)를 상대적으로 저가의 공정을 통해 정량적으로 제어가 가능하였던 Si에 비해, Graphene 혹은 TMD 등의 이차원 전자소재의 경우, 치환형 도핑에 대한 합성 및 전도 물성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비하였으며, 그러한 치환형 도핑이 극대화될 수 있는 소재 설계 전략 역시 부재한 상황이다.
Graphene이 주목 받는 이유는? 단원자층의 Graphene의 성공적인 구현 이후,1,2) 새로운 이차원 소재(2D materials)들에 대한 연구가 각광을 받고 있다.3-6) 특히 Nano-sheet화에 따라서 벌크 상태와 상이한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특성들이 발현됨으로써, 기존 소재들이 갖고 있던 물성의 근원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신소재군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Graphene과 유사한 비대칭적인 약한 van der Waals 결합을 갖는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TMD) 등의 소재군 역시 근래에 들어 집중적으로 연구가 되어오고 있다.3-6) Graphene과 달리 유한한 band-gap을 갖는 TMD 소재의 경우, 다이오드, 트랜지스터와 같은 능동형 소자의 구현이 가능함과 동시에, 고이동도의 이차원 전하 전도가 용이하다는 면에서, 기존의 Si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전자소재로서 가능성을 보이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응용 광소자 및 논리회로로의 구현 가능성 역시 여러 연구진들을 통해 보고되어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 S. Novoselov, A. K. Geim, S. V. Morozov, D. Jiang, Y. Zhang, S. V. Dubonos, I. V. Grigorieva, and A. A. Firsov, "Electric field effect in atomically thin carbon films", Science, 306, 666 (2004). 

  2. Y. H. Ko, K. G. Choi, S. W. Kim, D. Y. Yu, J. H. Bang, and T. S. Kim, "Trends of researches and technologies of electronics packaging using graphene", J. Microelectron. Packag. Soc. 23(2), 1 (2016). 

  3. M. Xu, T. Liang, M. Shi, and H. Chen, "Graphene-like two-dimensional materials", Chem. Rev. 113, 3766 (2013). 

  4. M. Chhowalla, H. S. Shin, G. Eda, L. J, Li, K. P. Loh, and H. Zhang, "The chemistry of two-dimensional layered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 nanosheets", Nature Chem., 5, 263 (2013). 

  5. Q. H. Wang, K. K. Zadeh, A. Kis, J. N. Coleman, and M. Strano, "Electronics and optoelectronics of two-dimensional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Nature Nanotechnol., 7(11), 699 (2012). 

  6. B. Radisavljevic, A. Radenovic, J. Brivio, V. Giacometti, and A. Kis, "Single-layer $MoS_2$ transistors", Nature Nanotechnol., 6(3), 147 (2011). 

  7. R. S. Muller, T. I. Kamins, and M. Chan, "Device Electronics for Integrated Circuits", 3rd ed. Wiley (2003). 

  8. M. Chhowalla, D. Jena, and H. Zhang, "Two-dimensional semiconductors for transistors", Nat. Rev. Mater., 1, 16052 (2016). 

  9. D. Jariwala, V. K. Samgwam, L. J. Lauhon, T. J. Marks, and M. C. Hersam, "Emerging device applications for semiconducting two-dimensional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ACS Nano, 8(2), 1102 (2014). 

  10. S. I. Kim, S. W. Hwang, S. Y. Kim, W.-J. Lee, D. W. Jung, K.-S. Moon, H. J. Park, Y.-J. Cho, Y.-H. Cho, J.-H. Kim, D.-J. Yun, K. H. Lee, I.-T. Han, K. M. Lee, and Y. C. Sohn, "Metallic conduction induced by direct anion site doping in layered $SnSe_2$ ", Sci. Rep., 6, 19733 (2016). 

  11. B. Palosz, and E. Salje, "Lattice parameters and spontaneous strain in $AX_2$ polytypes: $CdI_2$ , $PbI_2$ , $SnS_2$ and $SnSe_2$ ", J. Appl. Cryst. 22, 622 (1989). 

  12. C. Kittel, "Introduction to Solid State Physics", 8th ed. Wiley (2005). 

  13. B. C. Shin, C. W. Hwang, S. K. Oh, S. C. Choi, and D. K. Paek,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the ( $Pb_{1-x}Sn_x$ )Te sintered by AC applied hot pressing", J. Microelectron. Packag. Soc. 7(4), 1 (2000). 

  14. S. O. Kasap, "Principles of Electronic Materials and Devices", 2nd ed. McGraw Hill (2002). 

  15. L. Liu, R. Liang, J. Wang, and J. Xu, "Ultra-high aspect ratio poly-Si FinFET using an improved spacer formation technique", Superlattices Microstruct., 104, 149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