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skill, academic self-efficac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8, 2017년, pp.311 - 321  

오효숙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 정도를 파악하고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교 2학년 간호학생 194명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11월 2일부터 11월 30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성별, 성격성향, 간호학과 지원동기, 전공 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 성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자기주도학습능력은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 만족도, 성적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53.1%를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호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skill, academic self-efficacy which influenc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A total of 194 second year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nursing department in Gwangju.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self-admi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어느 정도 되는지 파악하고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간호교육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위한 새로운 교수법을 적용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 정도를 확인하고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능력 정도와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파악하고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을수록 나타나는 현상은? 자기주도적학습이란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의 주도권을 가지고 자신의 학습요구 진단, 학습목표 설정, 학습자원의 확보, 적합한 학습전략을 선택 및 실행하고 자신이 성취한 학습결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과정으로[2], 학습계획, 학습실행, 학습평가의 단계를 거친다[3].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을수록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이 높고[4], 간호사의 간호실무 수행능력이 높아진다고 하였다[5]. 그러므로 급변하는 의료환경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간호사들이 자율적으로 학습하고, 문제해결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간호교육현장에서 간호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의사소통능력이 전문직 간호의 핵심기술인 이유는? 의료현장에서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지속적인 관리와 교육을 제공하는데 있어 대상자와의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한데 이를 효과적으로 연결해주는 수단이 의사소통능력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대상자가 자신의 문제를 설명할 기회를 갖도록 대화를 이끌어 내는 간호사의 능력과 적절한 상호 정보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치료적 관계 형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7], 전문직 간호의 핵심기술이다. 자기주도학습이 고립적인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개인학습이 아니라 교사, 멘토, 동료, 교육기관 등 매우 다양한 협조자들의 도움하에 이루어지는 것이며 학습자 스스로 학습전체의 계획, 실행 및 평가 등의 책임을 지는 학습이다[8].
자기주도적학습이란? 자기주도적학습이란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의 주도권을 가지고 자신의 학습요구 진단, 학습목표 설정, 학습자원의 확보, 적합한 학습전략을 선택 및 실행하고 자신이 성취한 학습결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과정으로[2], 학습계획, 학습실행, 학습평가의 단계를 거친다[3].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을수록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이 높고[4], 간호사의 간호실무 수행능력이 높아진다고 하였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J. J. Yang, M. Y. Park, "The relationship of clinical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0, No. 2, pp. 271-277, 2004. 

  2. M. Knowles,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Toronto : The Adult Education company, 1975. 

  3. S. J Lee, Y. K. Chang, H. N. Lee, K. Y. Park,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Report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3. 

  4. Y. H. Kim, Y. M. Lee, "Relationship of learning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after practice evaluation of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using role pla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1, pp. 147-155, 2012. 

  5. J. H. Choi, J. H. Jeong, "The effect of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on nursing practice competenc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7, No. 1, pp. 16-26, 2011. 

  6. N. J. Huh, "An analytical study on the predict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on learners' variables," Ph.D.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2005. 

  7. A. Deppermann, "Research on doctor-patient-interaction in German speaking countries", Korea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Vol. 2, No. 1 pp. 40-50, 2007. 

  8. Caffarella, R. S., O'Donnell, J. M., "Self-directed adult learning: A critical paradigm revisited", Adult Education Quarterly, Vol. 37, pp. 199-234, 1987. 

  9. Y. J. Jo,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variables connected wit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adult learners in high educational institutions", Ph.D.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2010. 

  10. A. Bandura, "Self-efficacy :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 Freeman, 1977. 

  11. M. H. Shin,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problem-solving ability between students with high level of self-efficacy and students with low level of self-efficacy",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ol. 12, No. 4, pp. 30-37, 2009. 

  12. S. J. Kang, E. J. Kim, H. J. Shin, "Convergence study about problem-based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solving skills, academic self-efficacy, motivation towar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2, pp. 33-41, 2016. 

  13. K. O. Choi, Y. M. Park,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 20, No. 2, pp. 154-159, 2014. 

  14. M. J. Sim, H. S. Oh, "Influence of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2, No. 6, pp. 328-337, 2012. 

  15. J. H. Lee, S. Y. Jun, J. H. Jung, K. M. Wo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competency by type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3, No. 1, pp. 118-130, 2017. 

  16. K. A. Song, "A study on influence of self-esteem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Vol. 10, No. 3, pp. 177-202, 2006. 

  17. O. H. Kim, J. J. Sun, J. H, Kong, "The relationship among creativity, personal responsibility orient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7, No. 5, pp. 2809-2821, 2015. 

  18. Y. J. Kim, H. Yoo, M. Park, "Effect of motive for major selection on major satisfaction, campus-life satisf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10, pp. 261-271, 2016. 

  19. S. Y. Lee, Y. Y. Kim,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o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3, pp. 309-318, 2016. 

  20. H. S. Park, K. S. Jeong, "Influ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on colleg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9, No. 4, pp 549-557, 2013. 

  21. Y. R. Kim, "The validity of school learning motivation scale and school adaptation scale, and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two scale variables", Hongik Journal of Education Studies, Vol. 17, pp. 3-39, 2000. 

  22. G. H. Song, "The effect of employee'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nam University, 2013. 

  23. Fritz, S.. Brown, F. W., Lunder, S. P., & Banset, E. A., "Interpersonal skill for leadership", NJ : Printice Hall, 1999. 

  24. I. S. Choi, U. J. Cho, "Assess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oul : Changjisa, 2010. 

  25. K. M.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kill and resilience of infant teach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2015. 

  26. Schank, D. H.,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Vol. 26, pp. 207-231, 1991. 

  27. A. Y. Kim, I. Y. Park,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39, No. 1, pp. 95-123, 2001. 

  28. J. A. Lee, "Mediating effect of outcome expectations in the relationship of academic self-efficacy to major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pp. 2329-2344, 2012. 

  29. S. J. Han, "Th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attitude maturity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pp. 559-566, 2013. 

  30. K. O. Choi, Y. M. Park,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 20, No. 2, pp. 154-159, 2014. 

  31. G. J. Kim, J. W. Jeong, "Self-directed learning theory in adult education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Social Educational Research, Vol. 19, pp. 25-46, 1994. 

  32. Y. P. Hong,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its related variab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2. 

  33. H. Y. Kim,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personality type, and attribution styles on academic achievement in adult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 Development, Vol. 21, No. 1, pp. 211-232, 2000. 

  34. J. B. Kim, "The influe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motiv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1991. 

  35. C. S. Lee, "A study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 national agricultural college students", Unpublishe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8. 

  36. C. D. Chung, K. H. Kang, "Analysis on core abiliti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life skills - In focus of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Journal of Scientific Education, Vol. 33, No. 2, pp. 290-303, 2009. 

  37. K. H. Lee, J. Y. Kim,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cours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 17, No. 4, pp. 33-57, 2014. 

  38. M. Kim, "Study on self-efficacy, communication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6, pp. 609-617, 2016. 

  39. S. I. Park, Y. K. Kim, "An inquiry on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flow factors, flow level, achievement under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Vol. 14, No. 1, pp. 93-115, 2006. 

  40. A. K. Yang, H. J. Cho, "A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upon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Forum, Vol. 8, No. 3, pp. 61-82, 2010. 

  41. S. H. Lim,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on anatomy subject for biological nursing science educational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0, pp. 7098-7108,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