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시군관리 저수지를 고려한 지능형 통합 물관리정보시스템 원형 개발 및 구현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totype for Intelligent Integrated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nd Service including Reservoirs managed by City and County원문보기
This study developed the prototype of the system and implemented its main functions, which is the intelligent integrated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nd service (IaWAMISS). The developed system was designed to be able to collect, process and analyze the agricultural water inform...
This study developed the prototype of the system and implemented its main functions, which is the intelligent integrated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nd service (IaWAMISS). The developed system was designed to be able to collect, process and analyze the agricultural water information of spatially dispersed reservoirs in whole country and spatial geographic information distributed in various systems of other organizations. The system, IaWAMISS,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reproduced information services in each reservoir and space units, such as agricultural water demand and supply analysis and drought prediction, to the people, experts, and policy makers. This study defined the 6 step modules to develop the system, which are to design the components of intelligent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to derive the utilization contents of existing systems, to design the new development elements for IaWAMISS, to design the reservoir information system can be used by managers of city and county, to designate the monitoring reservoirs managed by city and county, and finally to prepare the sharing system between organizations with the existing information systems. In order to implement the prototype of the system, this study shows the results for three important functions of the system: spatial integration of reservoirs' information, data link integration between the existing systems, and intelligent analysis program development to assist decision support for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For the spatial integration with the reservoir water information of th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this study get IaWAMISS to receive the real-time reservoir storage information from the measurement facility installed in the municipal management reservoir. The data link integration connecting databases of the existing systems, was implemented by integrating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ith IaWAMISS, so that the rainfall forecast data could be derived and u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lligent analysis program, this study also showed the results of analysis and prediction of agricultural water demand and supply amount, estimation of Palmer drought index, analysis of flood risk area in typhoon course region, and analysis of the storage status of reservoirs related to each storm.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and efficiency of an useful system development through the prototyp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aWAMISS. By solving the preliminary 6 step modules presented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not only to efficiently manage water by spatial unit, but also to provide the service of information and to enhance the relevant policy and national understanding to the people.
This study developed the prototype of the system and implemented its main functions, which is the intelligent integrated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nd service (IaWAMISS). The developed system was designed to be able to collect, process and analyze the agricultural water information of spatially dispersed reservoirs in whole country and spatial geographic information distributed in various systems of other organizations. The system, IaWAMISS,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reproduced information services in each reservoir and space units, such as agricultural water demand and supply analysis and drought prediction, to the people, experts, and policy makers. This study defined the 6 step modules to develop the system, which are to design the components of intelligent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to derive the utilization contents of existing systems, to design the new development elements for IaWAMISS, to design the reservoir information system can be used by managers of city and county, to designate the monitoring reservoirs managed by city and county, and finally to prepare the sharing system between organizations with the existing information systems. In order to implement the prototype of the system, this study shows the results for three important functions of the system: spatial integration of reservoirs' information, data link integration between the existing systems, and intelligent analysis program development to assist decision support for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For the spatial integration with the reservoir water information of th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this study get IaWAMISS to receive the real-time reservoir storage information from the measurement facility installed in the municipal management reservoir. The data link integration connecting databases of the existing systems, was implemented by integrating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ith IaWAMISS, so that the rainfall forecast data could be derived and u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lligent analysis program, this study also showed the results of analysis and prediction of agricultural water demand and supply amount, estimation of Palmer drought index, analysis of flood risk area in typhoon course region, and analysis of the storage status of reservoirs related to each storm.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and efficiency of an useful system development through the prototyp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aWAMISS. By solving the preliminary 6 step modules presented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not only to efficiently manage water by spatial unit, but also to provide the service of information and to enhance the relevant policy and national understanding to the peopl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통합물관리시스템을 위하여 다양한 시스템들의 하드웨어의 연결과 통합 뿐만 아니라 자료를 공유하고 연결하는 응용프로그램으로 운용될 수 있는 시스템개발을 시도한다. 이를 위한 현재의 문제점들을 도출하고 시스템의 연결 방안과 기능들을 설계하고 실제로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시도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통합물관리시스템을 위하여 다양한 시스템들의 하드웨어의 연결과 통합 뿐만 아니라 자료를 공유하고 연결하는 응용프로그램으로 운용될 수 있는 시스템개발을 시도한다. 이를 위한 현재의 문제점들을 도출하고 시스템의 연결 방안과 기능들을 설계하고 실제로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시도하고자 한다.
한국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저수지와 시군에서 관리하는 저수지의 물관리 정보를 통합하고 기상자료, 토양자료, 수문자료 등 관련된 많은 데이터의 효율적인 연결과 물관리를 위한 합리적이고 지능적인 분석을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통합물관리정보시스템(Intelligent Integrated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nd Service, IaWAMISS)은 농촌용수의 수요와 공급에 관련된 시설자원과 실시간 변하는 수자원의 양을 계측하여 적절한 공급량을 결정하고 궁극적으로 농촌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능형 물관리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존 시스템들의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이로부터 IaWAMISS를 위한 설계와 구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하는 지능형 응용프로그램은 통합연계된 공간단위(행정구역, 용수구역 등)에서 한국농촌공사관리 저수지와 시군관리 저수지들의 저수량 자료들을 공간적으로 연계하는 것을 토대로 한다. 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기상정보로부터 예측된 강우량을 이용하여 저수지별 또는 공간단위별 용수수급을 분석하고, 나아가 가뭄지수의 분석 및 예측, 그리고 기상특보(태풍)에 따른 홍수위험지역의 저수지 현황분석을 위해 지능형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구현 결과의 일부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제안 방법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지능형 통합물관리정보시스템(IaWAMISS)의 개념과 기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첫째, 공간적 자료 통합을 위하여, 공간적으로 산재되어 있고 관리주체가 한국농어촌공사와 지자체로 이원화되어 있는 저수지들의 물 관련 정보들을 통합하여 분석하며, 둘째, 시스템간 자료의 연결을 위하여, 기상청, 농촌진흥청 등 여러 기관의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있는 문자와 공간정보들을 통합 수집하고 가공, 분석하고, 셋째, 농업용수 수요공급현황 분석과 가뭄예측 등의 재생산된 정보결과들을 국민, 전문가, 정책담당자들에게 시설별 및 공간단위별(행정구역, 용수구역 등)로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일련의 통합된 정보시스템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igure 1에서 제시한 시스템의 개념과 구성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Figure 2와 같이 구체화된 지능형 통합물관리정보시스템의 원형을 설계하였으며, 구성인자들의 개념과 각 기능의 위치를 나타내었다. 지능형 통합물관리정보시스템은 기존의 단일 시스템들과 다른 위치에서 관련 시스템들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지능형 응용프로그램이 실질적으로 구현되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지능형 통합물관리정보시스템은 기존의 단일 시스템들과 다른 위치에서 관련 시스템들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지능형 응용프로그램이 실질적으로 구현되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서 해결해야할 과제들을 6가지 모듈로 정의하고 각각의 내용들을 정리하였는데, Figure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① 지능형 통합물관리정보시스템 구성요소설계, ② 기존 시스템 활용 내용 도출, ③ 신규개발 요소 설계, ④ 지능형 시군저수지 정보시스템 설계, ⑤ 시군 위험저수지 지정 및 정보화 방안, ⑥ 기존시스템 연결 자료/정보공유 체계 및 제도마련 등이 그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Table 1의 6단계의 설명과 같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IaWAMISS의 주화면과 메뉴의 구성은 Figure 3과 같이 나타내었다. 기상청으로부터 제공받은 기상정보를 분석 예측하고, 이로부터 공간단위별로 가뭄과 홍수현황 등을 검색하고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지능형 분석 응용프로그램에서는 위험시설물판단, 수요량대비공급량판단, 가뭄전망 및 대책, 그리고 홍수전망 및 대책 등에 대한 분석결과와 시나리오에 대한 예측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igure 1에 나타낸 IaWAMISS의 세가지 주요 기능은 자료의 공간 통합(space integration), 시스템간 자료의 연결(data integration), 그리고 지능형 응용프로그램(smart application)을 구체적으로 구현하여 Table 2에 예시로 나타내었다.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료의 공간 통합에서는 한국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저수지와 시군 지자체가 관리하는 저수지의 위치자료와 저수지의 저수위를 RIMS, RAWRIS를 연계하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에서 추가로 구축하여 통합적으로 연계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igure 1에 나타낸 IaWAMISS의 세가지 주요 기능은 자료의 공간 통합(space integration), 시스템간 자료의 연결(data integration), 그리고 지능형 응용프로그램(smart application)을 구체적으로 구현하여 Table 2에 예시로 나타내었다.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료의 공간 통합에서는 한국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저수지와 시군 지자체가 관리하는 저수지의 위치자료와 저수지의 저수위를 RIMS, RAWRIS를 연계하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에서 추가로 구축하여 통합적으로 연계하도록 구성하였다. 시스템간 자료의 연결에서는 브이월드(map.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료의 공간 통합에서는 한국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저수지와 시군 지자체가 관리하는 저수지의 위치자료와 저수지의 저수위를 RIMS, RAWRIS를 연계하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에서 추가로 구축하여 통합적으로 연계하도록 구성하였다. 시스템간 자료의 연결에서는 브이월드(map.vworld.kr), RIMS(rims.ekr.or.kr), RAWRIS(rawris.ekr.or.kr), 그리고 기상청 기상정보시스템(kma.go.kr)들과 시군 지자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 추가로 구축한 기능을 연계하여 기본도, 농업수리시설, 유역경계, 농업용공급량 분석, 기상자료분석 등을 통합적으로 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자료의 통합과 시스템간 연결을 통하여 확보된 자료를 이용하여 용수공급량분석, 가뭄, 그리고 홍수에 대한 응용분석을 하여, 현장에서 계측된 자료에서부터 최종 결과의 도출을 하나의 체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kr)들과 시군 지자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 추가로 구축한 기능을 연계하여 기본도, 농업수리시설, 유역경계, 농업용공급량 분석, 기상자료분석 등을 통합적으로 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자료의 통합과 시스템간 연결을 통하여 확보된 자료를 이용하여 용수공급량분석, 가뭄, 그리고 홍수에 대한 응용분석을 하여, 현장에서 계측된 자료에서부터 최종 결과의 도출을 하나의 체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 시스템의 기능 중에서 Figure 1에서 제시한 IaWAMISS의 세가지 특징과 장점인 공간통합, 자료연계통합, 그리고 지능형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시스템의 구현 결과를 각각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한국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저수지들에 대해서는 RAWRIS에 저수위 계측자료가 관리되고 검색과 분석에 사용되고 있지만, 지자체가 관리하는 대부분의 저수지는 관행적으로 관리자의 육안에 의해 저수량을 파악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하는 시스템은 지역 단위의 공간적 통합물관리정보화를 위해서 한국농어촌공사관리 저수지의 계측자료를 기본적으로 이용한다. 그리고 시군관리저수지의 저수위 자료는 시군별로 주요 표본 저수지들에 계측시설을 설치하여 자동으로 저수량을 계측하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이와 같이 관행적인 계측자료들은 시스템에 어느 정도 활용할 수 있으나 자료의 주기성과 신뢰성이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개발 및 구현을 위하여 시험적으로 김제시가 관리하는 저수지 중에서 대표 저수지에 Figure 4와같이 계측시설을 설치하여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IaWAMISS는 기존의 타 시스템과 자료를 연동하여 시스템에 활용하는 자료연계통합을 주요 기능으로 한다. 여기서는 통합물관리정보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기상정보의 연계기술과 기상정보를 이용한 강우량 분석에 대한 시스템의 구현 결과를 다음과 나타내었다.
기상청 시스템과 연계하여 추출한 기상정보의 기초자료는 기상관측자료 (AWS), 기상예보 (동네예보, 중기예보(10일), 1개월 전망, 3개월 전망), 기상특보 (태풍, 호우) 등이 있으며, 여기에 행정구역 GIS 자료를 이용하여, 가공된 기상정보들을 행정구역 GIS 자료에 기상예보와 기상특보 자료를 매핑하여 나타내도록 하였다. Figure 7은 이와 같은 결과의 일부 예시들을 각각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하는 지능형 응용프로그램은 통합연계된 공간단위(행정구역, 용수구역 등)에서 한국농촌공사관리 저수지와 시군관리 저수지들의 저수량 자료들을 공간적으로 연계하는 것을 토대로 한다. 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기상정보로부터 예측된 강우량을 이용하여 저수지별 또는 공간단위별 용수수급을 분석하고, 나아가 가뭄지수의 분석 및 예측, 그리고 기상특보(태풍)에 따른 홍수위험지역의 저수지 현황분석을 위해 지능형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구현 결과의 일부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가뭄지수 계산과 예측을 위하여 저수량, 토양수분, 저수지 및 용수구역 GIS 자료, 기상 자료, 시군 행정구역, 농촌용수구역 GIS 자료 등을 입력자료로 구성하였으며, 이로부터 계산된 가뭄지수계산은 WADI(Water supply Drought Index),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PDSI(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등으로 하였으며, 기상청의 예보자료를 이용하여 행정구역 및 용수구역별 통합농업가뭄지수(IADA)를 예측하여 지도로 나타내었고, 강수 시나리오/저수율 시나리오별 RDI, SMI, PDSI, SPI, SWSI 지수 예측 결과도 나타내도록 하였다(Guttman, 1998, Kwon et al., 2007, Lee, 2013, Nam et al., 2013, Yoon et al., 1999, Yoon, 2005). 이와 같이 구현된 결과의 예시를 Figure 9에 김제시와 정읍시를 대상으로 나타내었다.
기상청의 레이다 영상으로부터 강수량이 많은 지역을 그리드로 표현하여 홍수위험지역을 분석하고, Figure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험지역에 있는 저수지들을 도출한 후, 해당 저수지들에 대하여 저수율현황, 가뭄 및 홍수현황 자료들을 검색하고 예방 대책을 효율적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입력자료로는 저수지 위치 GIS, 위험시설물, 수요량 대비 공급량, 가뭄 현황 및 전망, 홍수 현황 및 전망, 기상특보 등의 자료들을 분석을 위한 입력자료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으로 산재되어 있고 관리주체가 이원화되어 있는 저수지들의 물 관련 정보들과 여러 기관의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있는 문자와 공간정보들을 통합 수집하고 가공분석하여, 농업용수 수요공급현황 분석과 가뭄예측 등의 재생산된 정보결과들을 국민, 전문가, 정책담당자들에게 시설별 및 공간단위별(행정구역, 용수구역 등)로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는 일련의 통합된 시스템 원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구체적으로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농어촌공사와 시군에서 관리하는 저수지들의 농업용수 관련 정보를 공간적으로 통합연계하고, 기상청 기상정보와 같이 타 기관의 기존 시스템들과 자료 연계를 하며, 통합연계한 다양한 공간단위에서 시나리오를 고려한 가뭄예측 등 응용분석을 할 수 있는 지능형 통합 물관리정보시스템(Intelligent Integrated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nd Service, IaWAMISS)의 원형을 구체적으로 설계하고 주요기능들에 대한 실제 구현을 시도하였다.
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선결과제들에 대하여 체계적 분석을 실시하여 6단계의 모듈로 체계화하여 제시하였는데, 지능형 통합정보시스템 구성요소 설계, 기존 시스템 활용 내용 도출, 신규개발 요소 설계, 지능형 시군저수지 정보시스템 설계, 시군 위험저수지 지정 및 정보화 방안이며, 마지막으로 기존시스템 연결 자료/정보공유 체계 및 제도 마련 등이다
개발된 시스템의 원형을 구현하여, 공간통합, 자료연계통합, 지능형 분석프로그램개발에 대한 시스템의 결과들을 예시로 나타내었다. 공간통합은 한국농어촌공사와 시군관리 저수지 정보를 통합하는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 시범으로 설치한 계측시설을 통하여 실시간 저수위 정보를 수집하여 가공 분석할 수 있게 하였고, 자료연계통합은 기존 시스템들의 DB를 통합 연계하는 것으로서, 기상청의 기상정보를 IaWAMISS에 연계하여 강우량 예측자료를 도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으며, 지능형 분석프로그램의 구현을 위해서는 저수지별, 공간단위별로 농업용수 수요와 공급량 분석, 팔머 가뭄지수 등의 분석과 예측, 태풍지도를 연계한 홍수위험지역 분석과 관련 저수지의 현황 분석 등을 시도하였다.
기상청의 레이다 영상으로부터 강수량이 많은 지역을 그리드로 표현하여 홍수위험지역을 분석하고, Figure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험지역에 있는 저수지들을 도출한 후, 해당 저수지들에 대하여 저수율현황, 가뭄 및 홍수현황 자료들을 검색하고 예방 대책을 효율적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입력자료로는 저수지 위치 GIS, 위험시설물, 수요량 대비 공급량, 가뭄 현황 및 전망, 홍수 현황 및 전망, 기상특보 등의 자료들을 분석을 위한 입력자료로 구성하였다.
대상 데이터
, 1999, Yoon, 2005). 이와 같이 구현된 결과의 예시를 Figure 9에 김제시와 정읍시를 대상으로 나타내었다.
이론/모형
이렇게 입력된 저수위 자료는 저수지 위치를 나타내는 GIS 자료와 기상청의 기상정보와 연계하여 저수지의 저수율 예측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해당 저수지의 내용적 곡선이 아직 없으므로, 저수위 계측은 센서로 하였으나, 이로부터 계산된 저수율은 김제시의 관행적인 방법에 따라 추정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장기적으로 시군관리 저수지들의 수위내용적곡선의 조사를 통하여 시스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성능/효과
그러나 MAFRA(2014)에 분석에 의하면, 한국농어촌공사 내부의 시스템들을 하드웨어로 강한 통합을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해결되어야 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첫째, 시스템 분산문제로서 각 부처에서 사업(재원)별로 유사한 시스템을 분산하여 개발함으로써 운영관리와 활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대외적으로 한국농어촌공사를 대표하여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는 실정이며, 둘째, 자료(DB) 중복문제로서 동일한 자료(데이터)가 여러 시스템에 중복하여 등재되어 있고, 셋째, 계측기/DB 표준화 문제로서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 신뢰도가 부족하며, 넷째, 계측기(수위, 유량 등) 설치에 대한 중장기 계획과 표준화가 미흡하고, 다섯째, 응용프로그램에 해당되는 분석기능 미흡하여 실제 활용되어야 할 이수, 치수 분석과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을 통한 가뭄, 홍수 등 재난사전예방 및 대응에 활용도가 떨어지며, 여섯째, 유지관리를 위한 조직과 예산이 부족하여 시스템의 부서별 분산 유지관리로 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며 정보화 체계구축의 중장기 계획 및 컨트롤 타워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또한 동 보고서에 의하면, 외부 기관별로도 각자의 다양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외부 타부처 시스템간 물관리 정보의 공유를 위해서는 표준체계안 구축이 필요하고, 정보시스템간의 자료연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국가에서 생산되는 지리 정보의 활용이 가능토록 관련체계를 마련해야하고, 공개될 수 있는 Open-Api를 통한 자료제공이 강화되어야하며 기관 마다 정보의 수집단위를 통일 또는 표준화해야할 많은 과제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IaWAMISS의 원형 설계와 구현을 통하여 시스템 개발의 가능성과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선결과제들을 해결한다면,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저수지들의 정보들과 여러 기관들에 분산되어있는 시스템 정보들을 연계하여 공간단위별로 효율적으로 물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관련 정보들의 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관련 정책의 당위성과 국민적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후속연구
그러나 현재 시군관리 저수지들에 대한 물관리 관련 실태를 연구한 Kim et al.(2016)에 의하면, 시군관리저수지의 저수위(율) 측정은 실제적으로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눈으로 확인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농업용수의 비율이 적기 때문에 대부분 시군에서는 관내 농어촌공사 저수지의 저수율을 그 지역의 저수율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향후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자체내에 있는 시군관리 저수지 중에서 위험저수지 지정 또는 대표 저수지를 선정하여 수위측정센서 설치 또는 수위측정을 실제로 시행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시설관리 및 물관리와 관련한 일련의 업무를 한국농어촌공사와 지자체가 통합관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예산과 관리체계가 수반되어야 하는데, 저수지 개발과 관리의 전문성을 가진 한국농어촌공사가 전국적으로 분포된 저수지들에 대한 상시 저수율 파악 및 물관리 업무를 담당할 수 있도록 저수지 통합물관리정보시스템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또한 동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들에서 필요한 것을 받아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시군담당자가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결과는 대국민, 정책담당자 등이 다양하게 쉽게 볼 수 있도록 제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향후 새로운 응용프로그램이 추가되어 계속 업그레이드 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IaWAMISS의 원형 설계와 구현을 통하여 시스템 개발의 가능성과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선결과제들을 해결한다면,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저수지들의 정보들과 여러 기관들에 분산되어있는 시스템 정보들을 연계하여 공간단위별로 효율적으로 물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관련 정보들의 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관련 정책의 당위성과 국민적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용수 물관리 정보화는 이제 국민들에게 어떻게 제공되어야 하는가?
농촌용수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저수지는 한국농어촌공사와 시군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이원적 체계로 되어 있는데, 지금까지 농촌용수 물관리 정보화는 한국농어촌공사 관리 저수지에 대해서 이루어져 왔다. 이제는 시군 지자체가 관리하는 저수지의 정보화를 단계적으로 이루어 하나의 통합된 정보시스템에서 관리하도록 해야 하며, 나아가 지역단위의 농촌용수 정보가 정책결정자와 국민들에게 제공되도록 해야 한다. 이로부터 국가차원에서는 통합되고 국민들 입장에서는 단순하게 정리된 정보를 항상 접할 수 있는 간결한 농촌용수 통합물관리 정보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된다.
시군관리 소규모 저수지는 전국에 어느정도 분포하고 있는가?
시군관리 소규모 저수지는 전체 농업용 저수지 수자원의 약 12% 정도에 이르지만, 개수는 약 14,200개로 전국적인 분포와 소유역 주요 위치에 입지하고 있으므로 장기적으로 농업용 수자원 관리 및 용수추가 확보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농촌용수관리를 위해서는 한국농어촌공사 관리 저수지와 시군관리 저수지가 통합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며, 상시 저수율 파악 및 물관리 업무의 정보화를 위한 체계적 방안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농촌용수 물관리 정보시스템은 어떻게 실용화 되어 왔는가?
농촌용수 물관리 정보시스템은 지난 20년 동안 이수와 치수를 포함한 현장의 정보를 취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의사결정지원을 위하여 개발이 시도되고 실용화되어왔다. 1990년대에 시작된 한국농어촌공사의 농촌용수이용합리화계획에 의해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시설관리와 물관리 기반이 구축되었고, 이후 농업수리시설관리를 위한 농업기반시설관리시스템(http://rims.
참고문헌 (18)
Guttman, N. B., 1998, Comparing the Palmer Drought Index and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4(1) : 113
Kim, Dae-Sik, Kim, Jin-Taek, Kim, Jeong-Dae, Koo, Hee-Dong, Lim, Hye-Ji, 2016, System Analysis for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trategy of Agricultural Reservoir managed by City and Coun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2(2), 165-173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1997, study on the water requirement variation with the farming conditions in the paddy field,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2011, Information project of water management for rural water, RAWRIS
Kwon., H. J., Lim., H. J., and Kim., S. J., 2007, Drought Assessment of Agricultural District using Modified SWSI,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1) : 22-34.
Lee, E. Y., 2013, Spatial Characteristics of Drought in South Korea by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Konkuk University.
Nam, W. H., Choi., J. Y., Jang., M. W., and Hong E. M., 2013, Agricultural Drought Risk Assessment using Reservoir Drought Index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5(3) : 41-49.
MAFRA, 2014, A Study on Development of Smart Information System for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and Service, On-going project report of IPET.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1997, Development of calamity preventing and restoration affairs supporting system of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
Yoon., Y. N., 2005, Engineering hydrology, Cheonggmoongak.
Yoon., Y. N., Park., M. K., and Lee., D. R., 1999, An Application of Drought Frequency Formula for the Determination of Reservoir Capacity and the Evaluation of Water Supply Capability,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vention.
http://map.vworld.kr
http://rawris.ekr.or.kr
http://rims.ekr.or.kr
www.esri.com
www.toadworld.com
www.kma.go.kr
www.wamis.go.kr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