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시여지잎(Annona muricata L.) 에탄올 추출물과 조다당 분획분의 면역활성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the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and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s from Annona muricata L.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9 no.4, 2017년, pp.453 - 458  

김이은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정희 (토담(주)) ,  성낙윤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안동현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식품연구소) ,  변의홍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시여지에탄올 추출물(ALE) 및 조다당 추출물(ALP)의 면역 활성에 관하여 비교하기 위하여, 선천 및 적응면역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큰포식세포에 ALE 및 ALP를 처리하여 세포 증식률, 산화질소 분비능, 사이토카인(종양괴사인자, IL-6, $IL-1{\beta}$) 분비능 및 기전 분석을 통한 신호전달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ALE 및 ALP를 큰포식세포에 처리하여 면역활성에 관하여 비교하였을 때, 큰포식세포 면역활성의 바이오-마커인 산화질소, 사이토카인의 분비능 및 iNOS의 세포내 발현이 ALP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기전분석결과, ALP의 처리는 MPAKs의 인산화 및 $NF-{\kappa}B$의 핵내 이동성을 증가시켜 면역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ALP의 높은 면역활성은 MPAKs의 인산화 및 $NF-{\kappa}B$의 활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A. muricata L. ethanol extracts, ALE) and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 (A. muricata L.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 ALP) from Annona muricata L. in macrophages. Immuno-modulatory activity was determined by assessing cell viab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 ALE 및 ALP의 처리가 매개하는 면역반응의 메커니즘에 관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ALE 및 ALP 처리된 세포 내 MAPKs (p38, ERK1/2, 및 JNK)와 NF-κB의 활성화에 관하여 관찰하였다(Fig. 4). 양성처리구인 지질다당류 처리구(200 ng/ mL)에서 p38, ERK1/2, JNK의 인산화가 증가되었으며, 핵 내 NFκB의 발현 또한 증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프리카에서 가시여지는 어떤 질병 치료에 이용되어 왔는가? 가시여지(Annona muricata)는 목련목 포포나무과(Magnoliales: Annonaceae)에 속하고, 멕시코, 쿠바, 중앙아메리카, 카리브제도에 주로 자생하며 껍질, 씨앗, 잎 및 등을 전통 약재로 음용해 왔다. 특히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방광염, 당뇨병, 두통, 고혈압, 불면증, 간 질환, 염증, 경련, 및 피부질환에 개선에 이용해온 것으로 보고되어진다(1). 가시여지는 생리활성물질인 플라보노이드, 테르페노이드, 탄닌, 스테아르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가시여지 추출물은 쥐의 췌장에서 분리한 B cells의 보호에 의한 항당뇨 효과(2), 간내 산화적 손상을 억제 및 방지 할 수 있는 항산화 활성 효과(3), 간암세포의 G1 세포 주기 정지 및 미토콘드리아 매개 경로를 통한 세포사멸 유도에 의한 항암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4).
가시여지는 어떤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가? 특히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방광염, 당뇨병, 두통, 고혈압, 불면증, 간 질환, 염증, 경련, 및 피부질환에 개선에 이용해온 것으로 보고되어진다(1). 가시여지는 생리활성물질인 플라보노이드, 테르페노이드, 탄닌, 스테아르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가시여지 추출물은 쥐의 췌장에서 분리한 B cells의 보호에 의한 항당뇨 효과(2), 간내 산화적 손상을 억제 및 방지 할 수 있는 항산화 활성 효과(3), 간암세포의 G1 세포 주기 정지 및 미토콘드리아 매개 경로를 통한 세포사멸 유도에 의한 항암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4). 그러나 기연구된 결과들은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분획물에 관한 연구들이며, 가시여지 조다당 추출물의 연구는 전무후무한 실정이다.
가시여지는 무엇인가? 가시여지(Annona muricata)는 목련목 포포나무과(Magnoliales: Annonaceae)에 속하고, 멕시코, 쿠바, 중앙아메리카, 카리브제도에 주로 자생하며 껍질, 씨앗, 잎 및 등을 전통 약재로 음용해 왔다. 특히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방광염, 당뇨병, 두통, 고혈압, 불면증, 간 질환, 염증, 경련, 및 피부질환에 개선에 이용해온 것으로 보고되어진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oghadamtousi SZ, Rouhollahi E, Hajrezaie M, Karimian H, Abdulla MA, Kadir HA. Annona muricata leaves accelerate wound healing in rats via involvement of Hsp70 and antioxidant defence. Int. J. Surg. 18: 110-117 (2015) 

  2. Florence NT, Benoit MZ, Jonas K, Alexandra T, Desire DD, Pierre K, Theophile D. 2013. Antidiabet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Annona muricata (Annonaceae), aqueous extract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Ethnopharmacol. 151: 784-790 (2013) 

  3. Adewole SO, Ojewole JA. Protective effects of Annona muricata Linn. (Annonaceae) leaf aqueous extract on serum lipid profiles and oxidative stress in hepatocytes of streptozotocin-treated diabetic rats. Afr. J. Tradit. Complem. 6: 30-41 (2008) 

  4. Moghadamtousi SZ, Rouhollahi E, Karimian H, Fadaeinasab M, Firoozinia M, Abdulla MA, Kadir HA. The chemopotential effect of Annona muricata leaves against azoxymethane-induced colonic aberrant crypt foci in rats and the apoptotic effect of acetogenin annomuricin E in HT-29 cells: a bioassay-guided approach. PLoS One 10: 10-14 (2015) 

  5. Schepetkin IA, Quinn MT. Botanical polysaccharides: macrophage immunomodulation and therapeutic potential. Int. Immunopharmacol. 6: 317-333 (2006) 

  6. Sim SM, Im GH, Kim JW, Lee UY, Kim HW, Lee MU, Lee TS. The immuno-modulatory and antitumor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Daedaleopsis tricolor. Kor. J. Mycol. 31: 161-167 (2003) 

  7. Sung NY, Park YY, Kim YE, Cho EJ, Kim MH, Ryu GH, Byun EH, Park YJ.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separated from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in macrophage cells. Korean J. Food Nutr. 29: 431-437 (2016) 

  8. Klimp AH, de Vries EG, Scherphof GL, Daemen T. A potential role of macrophage activation in the treatment of cancer. Crit. Rev. Oncol. Hemat. 44: 143-161 (2002) 

  9. Murray PJ, Wynn TA. Protective and pathogenic functions of macrophage subsets. Nat. Rev. Immunol. 11: 723-737 (2011) 

  10. Lee HJ, Lee CW, Choi MS, Son DJ, Hong JT. Effects of esthetic essential oils on LPS-induced nitric oxide generation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J. Soc. Cosmet. Sci. Korea 32: 111-116 (2006) 

  11. Gao X, Bjork L, Trajkovski V, Uggla M.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rosehip ethanol extracts in different test systems. J. Sci. Food Agr. 80: 2021-2027 (2000) 

  12. Flurkey WH. Identification of tyrosinase in mushrooms by isoelectric focusing. J. Food Sci. 56: 93-95 (1991) 

  13. Jung DW, Park SI.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the growth inhibition of oral bacteria in yoghurt. Korean J. Food Sci. An. 25: 500-506 (2005) 

  14. Kim MJ, Bae NY, Kim KBWR, Park JH, Park SH, Cho YJ, Ahn DH.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oil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and mouse models. Microbiol. Biotechnol. Lett. 43: 45-55 (2015) 

  15. Lee JH, Kim YS, Lim EM. Effects of Angelicae Pubescentis Radix water extract on immune property in RAW 264.7 macrophages. J. Korean Orient. Med. 32: 175-184 (2011) 

  16. Byun EH. Comparison study of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polysaccharide and ethanol extracted from Sargassum fulvell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1621-1628 (2015) 

  17. Brewer MS, Ikins WG, Harbers CAAZ. TBA values, sensor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s in ground fork during long-term frozen storage: effects of packaging. J. Food Sci. 57: 558-563 (1992) 

  18. Cobb MH, Goldsmith EJ. Dimerization in MAP-kinase signaling. Trends Biochem. Sci. 25: 7-9 (2000) 

  19. Caivano M. Role of MAP kinase cascades in inducing arginine transporters and nitric oxide synthase in RAW 264.7 macrophages. FEBS Lett. 429: 249-253 (1998) 

  20. Kwon DH, Kang HJ, Choi YH, Chung KT, Lee JH, Kang KH, Hyun SK, Kim BW, Hwang HJ.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water extract of Ulmus macrocarpa in macrophages. J. Life Sci. 26: 50-58 (2016) 

  21. Kim SY, Jo MJ, Hwangbo M, Back YD, Jeong TY, Cho IJ, Jee SY. Anti-inflammatory effect of Stevia rebaudiana as a results of NF- ${\kappa}B$ and MAPK inhibition.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 26: 54-64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