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소엽(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조다당류 추출물의 면역활성 효과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 separated from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9 no.5, 2017년, pp.559 - 566  

변의홍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소엽 조다당 추출물(PCP)의 면역활성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선천면역계의 대표적인 면역세포인 수지상세포 및 후천면역계의 대표적인 면역세포인 비장세포에 PCP를 처리하여 면역세포의 면역활성능에 관하여 측정하였다. 수지상세포에 PCP를 1, 5 및 $10{\mu}g/mL$의 농도를 처리한 결과, 세포생존율이 $103.4{\pm}3.8$, $108.8{\pm}2.1$, $117.8{\pm}3.3%$ (n =3)로 나타나 세포독성을 유발하지 않았으며, 주요 면역활성 인자인 산화질소의 분비능을 관찰한 결과, 각각 $2.7{\pm}0.2$, $4.5{\pm}0.2$, $7.3{\pm}0.3{\mu}M$ (n =3)로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농도(1, 5 및 $10{\mu}g/mL$)별 PCP 처리구에서 사이토카인의 분비능을 관찰한 결과, TNF-${\alpha}$ ($372.3{\pm}0.32$, $604.8{\pm}0.54$$954.2{\pm}1.32pg/mL$), IL-6 ($508.4{\pm}0.39$, $761.5{\pm}1.34$$1038.5{\pm}1.67pg/mL$), IL-$1{\beta}$ ($314.5{\pm}1.04$, $524.8{\pm}1.89$$664.8{\pm}0.89pg/mL$), IL-12 ($321.4{\pm}0.94$, $832.5{\pm}0.85$$901.{\pm}0.94pg/mL$)가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후천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면역 T 세포가 다량으로 분포하는 비장 조직으로부터 비장세포를 분리하여 PCP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 증식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면역활성을 유도하는 Th1 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의 함량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PCP의 처리는 선천면역뿐만 아니라 후천면역에 관여하는 다양한 면역세포의 활성화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자소엽조다당 추출물의 면역활성 유도 효과에 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향후 자소엽 조다당 추출물을 분리 및 정제과정을 통하여 구조분석 및 정제된 조다당 추출물의 정확한 면역활성과 면역활성기전에 관한 면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PCP) in mouse bone marrow-derived dendritic cells (BMDC) and splenocytes. The immunomodulatory activity was determined by cell viability, nitric oxide (N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자소엽에서 분리된 다당류의 면역활성능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마우스 골수세포로부터 분화된 수지상세포 및 비장세포에 자소엽 다당류를 처리하여 세포생존율, 면역조절 물질인 산화질소, proinflammatory 사이토카인의 분비능, 세포표면 활성인자(CD80/86, MHC class I/II)들의 발현 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연물에서 분리된 다당류는 어떤 생리활성 효과를 가지고 있는가? 최근 자연물에서 분리한 다당류 및 단백질 등과 같은 고분자 물질의 생체 내 면역 활성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이들은 합성 의약품과 견주어 볼 때 비교적 낮은 독성을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1). 이러한 자연물에서 분리된 다당류는 큰포식세포 및 수지상세포, 림프구, 자연 살해세포 등을 활성화시켜 면역조절활성을 증진시킨다고 널리 보고되어져 왔다(2).
자소엽이란 무엇인가? 자소엽(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은 꿀풀과 (Labiatae)에 속하는 일년생 식물로서 전체가 자색을 띄고 있으며 , 꽃은 8-9월에 피며, 잎은 엽병이 길고 잎 끝이 쐐기모양이며 끝이 날카로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전통적으로는 감기, 산욕열, 황달, 각종 신경성 열병 등에 사용되며 지혈약으로도 사용되어 왔으며(5), 최근 자소엽에 함유되어있는 테페노이드(terpenoids), 페놀화합물(phenolic compound) 등이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작용, 항균작용, 산화방지작용 등의 약리작용이 뛰어나다고 보고되고 있다(6-13).
인체내 면역 활성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인체의 면역계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면역세포들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그 체계가 유지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외부 병원성 항원이 생체내로 침입하였을 때 1차적으로 반응하는 선천 면역세포로는 단핵구(monocyte), 호중구(neutrophile) 및 포식세포 (phagocyte) 등이 있다(3). 이들 중 수지상세포 및 대식세포는 대표적인 선천면역세포로서 외부 항원을 포식하고, 면역조절인자인 산화질소(nitric oxide; NO)와 proinflammatory 사이토카인(cytokine) 을 분비하여 선천면역의 활성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외부 항원을 인식하여 2차적으로 반응하는 면역 T세포에 전달하여 적응면역시스템의 활성에도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 포식세포들은 면역조절물질인 사이토카인들을 분비함으로 면역 반응을 매개한다. 즉, 포식세포로부터 분비된 다양한 사이토카인류들은 자기 자신을 활성화시켜 포식작용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자연살해세포 등의 선천면역을 매개하는 세포뿐 아니라, 후천성 면역을 담당하는 T림프구를 활성화하거나 분화를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2). 후천성 면역반응은 주로 T 세포 및 B 세포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선천성 면역반응 후에 포식세포에 의하여 제시 되는 특이 항원을 인식하면서 면역반응이 개시되며, 면역반응의 강도가 선천면역에 비하여 매우 큰 특징을 가지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Hong HD, Cho CW, Rhee YK, Choi HD, Lee HS. Status of technology development using immune-modulating polysaccharide. Food Sci. Ind. 45: 1-11 (2012) 

  2. Jiang MH, Zhu L, Jiang JG. Immunoregulatory actions of polysaccharides from Chinese herbal medicine. Expert Opin. Ther. Tar. 14: 1367-1402 (2010) 

  3. Cha JH, Lim EM. Effects of Gardeniae fructus on cytokines in mouse macrophage. J. Korean Obstet. Gynecol. 27: 1-16 (2014) 

  4. Erwig LP, Rees AJ. Macrophage activation and programing and its role for macrophage function in glomerular inflammation. Kidney Blood Press. R. 22: 21-25 (1999) 

  5. But PPH, Kimura T, Guo JX, Sung CK, Han BH. International Collation of Traditional and Folk Medicine. World Scientific, Singapore. pp. 202-203 (1997) 

  6. Ueda H, Yamazaki C, Yamazaki M. Inhibitory effect of perilla leaf extract and luteolin on mouse skin tumor promotion. Biol. Pharm. Bull. 26: 560-563 (2003) 

  7. Oh HA, Park C, Ahn HJ, Park YS, Kim HM. Effect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and rosmarinic acid on allergic inflammatory reactions. Exp. Biol. Med. 236: 99-106 (2011) 

  8. Makino T, Furuta Y, Wakushima H, Fujii H, Saito K, Kano Y. Anti-allergic effect of Perilla frutescens and its active constituents. Phytother. Res. 17: 240-243 (2003) 

  9. Choi UK, Lee OH, Lim SI, Kim YC. Optimiz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leaf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using the evolutionary operation factorial design technique. Int. J. Mol. Sci. 11: 3922-3932 (2010) 

  10. Meng L, Lozano YF, Gaydou EM, Li B. Antioxidant activities of polyphenols extracted from Perilla frutescens varieties. Molecules 14: 133-140 (2008) 

  11. Kim DH, Kim YC, Choi UK. Optimiz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leaf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using evolutionary operation factorial design technique. Int. J. Mol. Sci. 12: 2395-2407 (2011) 

  12. Fujita T, Funayoshi A, Nakayama M. A phenylpropanoid glucoside from Perilla frutescens. Phytochemistry 37: 543-546 (1994) 

  13. Banno N, Akihisa T, Tokuda H, Yasukawa K, Higashihara H, Ukita M, Watanabe K, Kimura Y, Hasegawa J, Nishino H, Nishino H. Triterpene acids from the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and their anti-inflammatory and antitumor-promoting effects. Biosci. Biotechnol. Biochem. 68: 85-90 (2004) 

  14. Zhao Q, Shepherd EG, Manson ME, Nelin LD, Sorokin A, Liu Y. The role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hosphatase-1 in the response of alveolar macrophages to lipopolysaccharide: Attenu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biosynthesis via feedback control. J. Biol. Chem. 280: 8101-8108 (2005) 

  15. Schepetkin IA, Quinn MT. Botanical polysaccharides: Macrophage immunomodulation and therapeutic potential. Int. Immunopharmacol. 6: 317-333 (2006) 

  16. Sim SM, Im GH, Kim JW, Lee UY, Kim HW, Lee MU, Lee TS. The immuno-modulatory and antitumor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Daedaleopsis tricolor. Kor. J. Mycol. 31: 161-167 (2003) 

  17. Lee HJ, Lee CW, Choi MS, Son DJ, Hong JT. Effects of esthetic essential oils on LPS-induced nitric oxide generation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J. Soc. Cosmet. Sci. Korea 32: 111-116 (2006) 

  18. Klimp AH, de Vries EG, Scherphof GL, Daemen T. A potential role of macrophage activation in the treatment of cancer. Crit. Rev. Oncol. Hematol. 44: 143-161 (2002) 

  19. Palmer RM, Ashton DS, Moncada S. Vascular endothelial cells synthesize nitric oxide from L-arginine. Nature 333: 664-666 (1988) 

  20. Chiou WF, Chou CJ, Chen CF. Camptothecin suppresses nitric oxide biosynthesis in RAW 264.7 macrophages. Life Sci. 69: 625-625 (2001) 

  21. Seo WG, Pae HO, Oh GS, Kim NY, Kwon TO, Shin MK, Chia KY, Chung HT. The aqueous extract of Rhodiola sachalinensis root enhances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gene in RAW 264.7 macrophages. J. Ethnopharmacol. 76: 119-123 (2001) 

  22. Hibbs JB, Taintor RR, Vavrin I, Rachlin EM. Nitric oxide: A cytotoxic activated macrophage effector molecule. Biochem. Biophys. Res. Commun. 157: 87-82 (1998) 

  23. Lee K, Sohn Y, Lee MJ, Cho HS, Jang MH, Han NY, Shin KW, Kim SH, Cho IH, Bu Y, Jung HS. Effects of Angelica acutiloba on mast cell-mediated allergic reactions in vitro and in vivo. Immunopharm. Immunot. 34: 571-577 (2012) 

  24. Calixto JB, Campos MM, Otuki MF, Santos AR. Anti-inflammatory compounds of plant origin. Part II. modul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chemokines and adhesion molecules. Planta Med. 70: 93-103 (2004) 

  25. Lee JH, Kim YS, Lim EM. Effects of Angelicae Pubescentis Radix water extract on immune property in RAW 264.7 macrophages. J. Korean Oriental Med. 32: 175-184 (2011) 

  26. Byun EH. Comparison study of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polysaccharide and ethanol extracted from Sargassum fulvell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1621-1628 (2015) 

  27. Kim HS, Kang JS.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bread by medicinal herb composites with immunostimulating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09-116 (2008) 

  28. Lee TS, Shim SM, Im KH, Kim JW, Lee UY, Shim MJ, Lee MW. Studies on immuno-modulatory and antitumor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Paecilomyces sinclairii. Kor. J. Mycol. 31: 155-160 (2003) 

  29. Lee JK, Lee MK, Yun YP, Kim Y, Kim JS, Kim YS, Kim K, Han SS, Lee CK. Acemannan purified from Aloe vera induces phenotypic and functional maturation of immature dendritic cells. Int. Immunopharmacol. 1: 1275-1284 (2001) 

  30. Kikuchi T, Ohno N, Ohno T. Maturation of dendritic cells induced by Candida beta-D-glucan. Int. Immunopharmacol. 2: 1503-1508 (2002) 

  31. Piani A, Hossle JP, Birchler T, Siegrist CA, Heumann D, Davies G, Loeliger S, Seger R, Lauener RP. Expression of MHC class II molecules contributes to lipopolysaccharide responsiveness. Eur. J. Immunol. 30: 3140-3146 (2000) 

  32. Hegde NR, Chevalier MS, Johnson DC. Viral inhibition of MHC class II antigen presentation. Trends Immunol. 24: 278-285 (2003) 

  33. Mo ZQ, Wang JL, Yang M, Ni LY, Wang HQ, Lao GF, Li YW, Li AX, Luo XC, Dan XM.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analysis of grouper (Epinephelus coioides) co-stimulatory molecules CD83 and CD80/86 postCryptocaryon irritans infection. Fish Shellfish Immun. 67: 467-474 (2017) 

  34. Ryu HS, Kim J, Kim HS. Enhancing effect of Sorghum bicolor L. Moench (Sorghum, su-su) extracts on mouse spleen and macrophage cell activation. Korean J. Food Nutr. 19: 176-182 (2006) 

  35. Shan BE, Yoshida Y, Kuroda E, Yamashita U.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seaweed extract on human lymphocytes in vitro. Int. J. Immunopharmacol. 21: 59-70 (1999) 

  36. Medzhitov R. Toll-like receptors and innate immunity. Nat. Rev. Immunol. 1: 135-145 (2001) 

  37. Chen FY, Ye YP, Sun HX, Li HX, Shi H. Stemucronatoside L, a pregnane glycoside from the roots of Stephanotis mucronata, inhibits Th1/Th2 immune responses in vitro. Chem. Biodivers. 6: 916-923b (2009) 

  38. Lee SH, Ahn WY. Chemical constituents of saccharides and tritperpenoids in the the korean native mistletoes. J. Korean Wood Sci. Technol. 24: 28-36 (199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