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인권감수성, 정신장애인에 대한 옹호태도와 옹호개입
Human Rights Sensitivity, Advocacy Attitudes, and Advocacy Interventions for Mentally Disabled People in Psychiatric Nurses and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3 no.3, 2017년, pp.309 - 318  

정명실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임경춘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고자인 (국립정신건강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sensitivity, advocacy attitudes, and advocacy interventions for mentally disabled people in psychiatric nurses and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is a descriptive study. Using questionnaires, data were collected from 206 pa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인권감수성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옹호태도와 옹호개입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인권감수성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옹호태도와 옹호개입의 관계를 파악하여 정신간호 현장에서 발생하는 인권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정신간호사의 인권감수성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인권감수성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옹호태도와 옹호개입의 관계를 파악하여, 앞으로 인권 중심적 간호중재 개발과 시행에 의미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인권감수성은 낮은 편이었고 학위나 근무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 따라서 정신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인권감수성 문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와 앞으로 임상에서 근무하게 될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두 그룹의 인권감수성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옹호태도와 옹호개입의 관계를 파악하여, 정신간호 현장에서 발생하는 인권문제 해결방안의 모색과 함께 정신간호사의 인권감수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권감수성이란 무엇인가? 인권감수성은 인권문제 발생상황에서 어떤 행동을 선택하였 을 때 관련된 사람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 그리고 그 상황을 해결해야 할 책임이 자신에게 있다고 인식하는 심 리적 과정이다(Moon et al., 2002; Song & Park, 2015).
우리나라 정신건강복지법은 정신질환자에게 어떤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 기본인가? 우리나라 정신건강복지법은 모든 정신질환자에게 인간으로 서의 존엄과 가치, 최적의 치료와 보호, 자발적 입원, 자유로 운 환경과 의사소통 등의 권리를 철저히 보장할 것을 기본이 념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정신장애인은 인권의 주체로서 자신의 권리를 인식하거나, 인권이 침해된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Jung, 2006).
정신보건 전문 요원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옹호태도는 근무 경력과 어떤 관련성이 있었는가? 나이 가 어리고 근무나 결혼을 하지 않고, 학위가 낮을수록 옹호태 도 정도가 낮았다. 이는 정신간호사를 포함한 정신보건전문요 원의 근무경력이 길수록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Jung, 2006; Kim, 2015)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특히 인권감수성교육여부는 옹호태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교육받은 횟수가 많을 수록 옹호태도 점수는 높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2016). 1 of Art 24, Mental Health Law, Seoul: Government Printing Office. 

  2.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 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1149-1160. 

  3. Ha, Y. J., Chae, E. H., & Yang, A. J. (2013). Study on human rights awareness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among mental health worke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7(1), 83-94. http://dx.doi.org/10.12811/kshsm.2013.7.1.083 

  4. Hur, J. R., Na, D. S., & Lee, D. S. (2013).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invigorating human rights education in korea: some implications from foreign cases. Journal of Human Rights & Law-related Education, 6(1), 171-202. 

  5. Jeon, S. Y. (2004). A study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 social work educations, values and advoca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6. Ju, H. G., Lee, K. J., & Kim, H. S. (2013). Effect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program on the human rights consciousness and attitudes toward the mental illness b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2(3), 169-179. http://dx.doi.org/10.12934.jkpmhn.2013.22.3.169 

  7. Jung, S. Y. (2006). A study on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professionals in the mental hospital. Mental health & Social Work, 23(1), 59-87. 

  8. Jung, C. H. (2008). A study of mental health care institution workers' recognition and guarantee toward psychiatric patients' righ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9. Kim, H. H., Kim, J. Y., Lee, M. H., & Jeong, S. H. (2016). Effect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social distance on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in psychiatric hospital orderl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5(3), 249-261. http://dx.doi.org/10.12934/jkpmhn.2016.25.3.249 

  10. Kim, H. S., & Eom, M. R. (2005). Nursing students' attitude toward the mental illness and ego state according to psychiatric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4(3), 276-284. 

  11. Kim, M. A. (2015). Human rights sensitivity according to temperamant and character of mental hospital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Hanyang university of Korea, Seoul. 

  12. Ko, M. S. (2008). A study on social workers perspectives on the human rights status quo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Christian University, Seoul. 

  13. Lee, K. R. (2013).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ensitivity of human rights among th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Soongsil University, Seoul. 

  14. Moon, Y. R., Moon, M. H., Kwok, Y. J., Kim, M. G., Yoo, K. J., Seoul National University, et al. (2002). Developing indicators of psychological scale for human rights sensitivity in Korea. Seoul: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15.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2009). Human rights education text in mental disabilities. In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Ed.), Handbook of human rights education (pp. 425-433). Seoul: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es. 

  16. Neal, S. A. (1965). Values and interests in social change.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17. Noh, H. J. (2016). Moral education for cultivating human rights sensitivity. Journal of Ethic and moral education, 53, 125-144. 

  18. Padmavati, R. (2012).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for the mentally ill: Practices and ethics. International Review of Psychiatry, 24(5), 504-510. 

  19. Park, H. W. (2013). Human rights sensitivity of undergraduates in social welfare classes: Focused on adult learner in on-line university. The Journal of Korea Contents Society, 13(8), 191-200. 

  20. Schneider, R. L., & Lester, L. (2001). Social work advocacy: A new framework for action. Belmont, CA: Brooks/Cole. 

  21. Song, M. J., & Park, W. J. (2015). Effects of violence experience and human rights on burnout of psychiatric nurses in national mental hospitals. Korean Journal of Scientific Criminal Investigation, 9(2), 97-106.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8.191 

  22. Sugarman, P., & Dickens, G. (2007). Protecting patients in psychiatric care: The St Andrew's human rights project. Psychiatrist, 31(2), 52-55. 

  23. Yang, O. K., & Choi, M. M. (2006). Current issues and future tasks of empowerment approach in social work practice and educat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2(2), 39-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