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 여성에서 스트레스 인지 정도에 따른 영양소 및 식품 섭취 상태 - 2014~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Nutrient and Food Intakes of Korean Female Adults depending on Perceived Stress - Based on the 2014~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0 no.4, 2017년, pp.759 - 770  

배윤정 (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ress has been associated with poor eating behavior and diet quality. Yet,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 and food intake and perceived stress in Korean female adults has not been valid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 and food intake and perceiv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영양소 섭취 상태 분석 시 1일 열량 섭취량 및 열량 섭취의 차이를 피하기 위하여 영양소별 섭취량을 1,000 kcal당 섭취량으로 나타내었으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에너지 기여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집단별 영양섭취상태를 평가 하기 위하여 평균필요량이 설정된 영양소에 한하여 평균필 요량에 미달되게 섭취하는 대상자의 비율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국가 단위 대규모의 데이터(2014~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19~64세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주관적 스트레스 인지 정도에 따라 스트레스 비인 지군, 저인지군, 중인지군 및 고인지군으로 구분 후 일반사항, 사회경제적 요인, 생활습관, 영양소 및 식품군별 섭취량, 식사의 질 평가 및 영양섭취 불균형 정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와 관련된 좀더 세분화된 지표 조사 및 스트레스 판단 기준 등에 대하여 설정한 후, 식사 섭취와의 관계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추후 다양한 스트레스, 우울 지표와 식사섭취 상태와의 관련성 조사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 의의를 가지고 있다.
  • 한편, 스트레스에 따른 식사행동의 변화가 성별의 차이를 보여 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스트레스와 관련된 식행 동의 변화가 크며, 남성의 경우, 스트레스에 노출되었을 때 식품을 섭취하는 대신 음주나 흡연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Kouvonen 등 2005).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에 따른 식행동의 변화가 클 수 있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인지 정도에 따른 사회경제적 요인, 영양소 및 식품군별 섭취, 식사의 질을 평가하고, 더불어 영양섭취 불량 정도를 분석하여 성인기 여성에게 있어, 스트레스 인지 정도와 식사 섭취 관련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식습관 및 식품 선호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특히 스트레스는 식습관, 식품의 기호도 및 영양소 섭취의 변화와 관련성을 보인다고 보고되고 있는데, 일부 연구에 의하면 성인에서 인지된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패스트푸드 및 고지방 함유 식품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arrington 등 2014). 또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 Seo 등 (2012)의 연구에 의하면 식습관 총 점수는 긴장, 분노, 우울 영역에서의 스트레스 점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고 하였으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식습관 및 식품 선호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지수가 높아질수록 불규칙한 식사를 하거나 간식의 빈도가 높은 대상자의 비율이 증가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Chung 등 2007). 한편,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성인에게서 지방으로 부터의 섭취 비율 및 가당 음료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Barrington 등 2014), 과일 및 채소를 1일 5회 분량 이상 섭취하는 정도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난 연구결과도 있다(Richard 등 2015).
성인에서 인지된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어떤 식품을 섭취하는가? 스트레스에 직면하게 되었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금 까지 학습화된 다양한 스트레스 유발 요인 및 해소 요인들을 조절하면서 대처하게 되는데, 스트레스에 적절하지 못한 방법으로 대처할 경우,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변화가 나타날수 있다(Deasy 등 2015). 특히 스트레스는 식습관, 식품의 기호도 및 영양소 섭취의 변화와 관련성을 보인다고 보고되고 있는데, 일부 연구에 의하면 성인에서 인지된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패스트푸드 및 고지방 함유 식품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arrington 등 2014). 또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 Seo 등 (2012)의 연구에 의하면 식습관 총 점수는 긴장, 분노, 우울 영역에서의 스트레스 점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고 하였으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식습관 및 식품 선호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지수가 높아질수록 불규칙한 식사를 하거나 간식의 빈도가 높은 대상자의 비율이 증가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Chung 등 2007).
'스트레스는 식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라는 미국의 연구결과는 어떠한가? 한편, 스트레스는 식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는데,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 식사 섭취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거나(Adam & Epel 2007; Maniam & Morris 2012), 포화지방 또는 당의 섭취를 증가시키거나(Torres & Nowson 2007; Barrington 등 2014), 식사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De Vriendt 등 2012; Ferranti 등 2013). 미국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스트레스를 받을 때 평소보다 음식을 많이 먹는 사람들은 71%였으며, 반면 스트레스 하에서 식품 섭취량을 감소시키는 사람들의 비율은 35%로 나타났고, 평소 건강이나 체중조절을 위해서 피해왔던 고열량, 고지방 함유 식품을 스트레스 시 많이 섭취하게 된다고 보고하였다(Zellner 등 2006). 또한 미국 성인 65,235명을 대상으로 인지된 스트 레스의 정도에 따른 식사 행동을 분석한 결과, 인지된 스트레 스가 심할수록 지방으로부터의 섭취 비율이 높았으며, 고지방 함유 간식, 패스트푸드 및 가당음료의 섭취 빈도가 증가 하는 결과를 보였고(Barrington 등 2014), 저소득층 여성에서 스트레스의 정도가 클수록 감정적인 음식 섭취를 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Richardson 등 2015). 우리나라 일부 지역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도 식습관 점수와 스트레스 점수가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Kim & Kim 2009; Seo 등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dam TC, Epel ES. 2007. Stress, eating and the reward system. Physiol Behav 91:449-458 

  2. Bale TL. 2006. Stress sensitivity and the development of affective disorders. Horm Behav 50:529-533 

  3. Barrington WE, Beresford SA, McGregor BA, White E. 2014. Perceived stress and eating behaviors by sex, obesity status, and stress vulnerability: Findings from the vitamins and lifestyle (VITAL) study. J Acad Nutr Diet 114:1791-1799 

  4. Barrington WE, Ceballos RM, Bishop SK, McGregor BA, Beresford SA. 2012. Perceived stress, behavior, and body mass index among adults participating in a worksite obesity prevention program, Seattle, 2005-2007. Prev Chronic Dis 9:E152 

  5. Chung HK, Kim MH, Woo NRY. 2007. The effect of life stress on eating habit of university student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ean J Food Culture 22:176-184 

  6. Colman I, Jones PB, Kuh D, Weeks M, Naicker K, Richards M, Croudace TJ. 2014. Early development, stress and depression across the life course: Pathways to depression in a national British birth cohort. Psychol Med 44:2845-2854 

  7. De Vriendt T, Clays E, Huybrechts I, De Bourdeaudhuij I, Moreno LA, Patterson E, Molnar D, Mesana MI, Beghin L, Widhalm K, Manios Y, De Henauw S; HELENA Study Group. 2012. European adolescents' level of perceived stress is inversely related to their diet quality: The healthy lifestyle in Europe by nutrition in adolescence study. Br J Nutr 108:371-380 

  8. Deasy C, Coughlan B, Pironom J, Jourdan D, Mcnamara PM. 2015. Psychological distress and lifestyle of students: Implications for health promotion. Health Promot Int 30:77-87 

  9. Endoh K, Kuriki K, Kasezawa N, Tohyama K, Goda T. 2015. Interactions between psychological stress and drinking status in relation to diet among middle-aged men and women: A large-scale cross-sectional study in Japan. J Nutr Sci Vitaminol(Tokyo) 61:64-72 

  10. Ferranti EP, Dunbar SB, Higgins M, Dai J, Ziegler TR, Frediani JK, Reilly C, Brigham KL. 2013. Psycho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diet quality in a working adult population. Res Nurs Health 36:242-256 

  11. Giugliano D, Ceriello A, Esposito K. 2006. The effects of diet on inflammation: Emphasis on the metabolic syndrome. J Am Coll Cardiol 48:677-785 

  12. Horwitz AV. 2007. Distinguishing distress from disorder as psychological outcomes of stressful social arrangements. Health (London) 11:273-289 

  13. Isasi CR, Parrinello CM, Jung MM, Carnethon MR, Birnbaum-Weitzman O, Espinoza RA, Penedo FJ, Perreira KM, Schneiderman N, Sotres-Alvarez D, Van Horn L, Gallo LC 2015. Psychosocial stress is associated with obesity and diet quality in Hispanic/Latino adults. Ann Epidemiol 25:84-89 

  14. Kant AK. 1996. Indexes of overall diet quality: A review. J Am Diet Assoc 96:785-791 

  15. Keyes KM, Hatzenbuehler ML, Grant BF, Hasin DS. 2012. Stress and alcohol: epidemiologic evidence. Alcohol Res 34:391-400 

  16. Kim HK, Kim JH. 2009.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eating habits of adults in Ulsan. Korean J Nutr 42:536-546 

  17. Kim KH. 1999. A survey o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nutrient intake in adults. Korean J Dietary Culture 14:507-515 

  18. Kouvonen A, Kivimaki M, Cox SJ, Cox T. 2005. Relationship between work stress and body mass index among female and male employees. Psychosom Med 67:577-583 

  19. Lorant V, Deliege D, Eaton W, Robert A, Philippot P, Ansseau M. 2003.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depression: A metaanalysis. Am J Epidemiol 157:98-112 

  20. Maniam J, Morris MJ. 2012. The link between stress and feeding behaviour. Neuropharmacology 63:97-110 

  21. Manosso LM, Moretti M, Rodrigues AL. 2013. Nutritional strategies for dealing with depression. Food Funct 4:1776-1793 

  22. McMartin SE, Jacka FN, Colman I. 2013. The association between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mental health disorders: Evidence from five waves of a national survey of Canadians. Prev Med 56:225-230 

  23. Merrill RM, Taylor P, Aldana SG. 2008. Coronary Health Improvement Project (CHIP) is associated with improved nutrient intake and decreased depression. Nutrition 24:314-321 

  24. Mihrshahi S, Dobson AJ, Mishra GD. 2015.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prevalence and incidence of depressive symptoms in mid-age women: Results from the Australian longitudinal study on women's health. Eur J Clin Nutr 69:585-591 

  25. Milaneschi Y, Bandinelli S, Penninx BW, Corsi AM, Lauretani F, Vazzana R, Semba RD, Guralnik JM, Ferrucci L.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plasma carotenoids and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persons. World J Biol Psychiatry 13:588-598 

  26. Miller HE, Rigelhof F, Marquart L, Prakash A, Kanter M. 2000. Antioxidant content of whole grain breakfast cereals, fruits and vegetables. J Am Coll Nutr 19:312S-319S 

  2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pp.vi.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Korea Health Statistics 2015: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pp.111-1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The forth health plan: 2016-2020. Cheongju: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0. Mocanu V, Bontea A, Anton-Paduraru DT. 2016. Eating behavior in response to acute stress. Rev Med Chir Soc Med Nat Iasi 120:223-227 

  31. Ng DM, Jeffery RW. 2003.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health behaviors in a sample of working adults. Health Psychol 22:638-642 

  32. Papier K, Ahmed F, Lee P, Wiseman J. 2015. Stress and dietary behaviour among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in Australia: Sex differences. Nutrition 31:324-330 

  33. Park JE, Kim SJ, Choue RW. 2009. Study on stress, depression, binge eating, and food behavior of high school girls based on their BMI. Korean J Community Nutr 14:175-181 

  34. Parrott AC. 1999. Does cigarette smoking cause stress? Am Psychol 54:817-820 

  35. Payne ME, Steck SE, George RR, Steffens DC. 2012. Fruit, vegetable, and antioxidant intakes are lower in older adults with depression. J Acad Nutr Diet 112:2022-2027 

  36. Poorrezaeian M, Siassi F, Qorbani M, Karimi J, Koohdani F, Asayesh H, Sotoudeh G. 2015. Association of dietary diversity score with anxiety in women. Psychiatry Res 230: 622-627 

  37. Richard A, Rohrmann S, Vandeleur CL, Mohler-Kuo M, Eichholzer M. 2015. Associations between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Results from a population-based study. BMC Psychiatry 15:213 

  38. Richardson AS, Arsenault JE, Cates SC, Muth MK. 2015. Perceived stress, unhealthy eating behaviors, and severe obesity in low-income women. Nutr J 14:122 

  39. Rink SM, Mendola P, Mumford SL, Poudrier JK, Browne RW, Wactawski-Wende J, Perkins NJ, Schisterman EF. 2013. Self-report of fruit and vegetable intake that meets the 5 a day recommendation is associated with reduced levels of oxidative stress biomarkers and increased levels of antioxidant defense in premenopausal women. J Acad Nutr Diet 113:776-785 

  40. Rutters F, Pilz S, Koopman AD, Rauh SP, Te Velde SJ, Stehouwer CD, Elders PJ, Nijpels G, Dekker JM. 2014. The association between psychosocial stress and mortality is mediated by lifestyle and chronic diseases: The Hoorn Study. Soc Sci Med 118:166-172 

  41. Seib C, Whiteside E, Humphreys J, Lee K, Thomas P, Chopin L, Crisp G, O'Keeffe A, Kimlin M, Stacey A, Anderson D. 2014. A longitudinal study of the impact of chronic psychological stres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clinical biomarkers: protocol for the Australian Healthy Aging of Women Study. BMC Public Health 14:9 

  42. Seo YJ, Kim MH, Kim, MH, Choi MK. 2012. Status and relationships among lifestyle, food habits, and stress scores of adults in Chungnam. Korean J Community Nut 17:579-588 

  43. Torres SJ, Nowson CA. 2007. Relationship between stress, eating behavior, and obesity. Nutrition 23:887-894 

  44. WHO Expert Consultation. 2004. Appropriate body-mass index for Asian popul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tervention strategies. Lancet 363:157-163 

  45. Zellner DA, Loaiza S, Gonzalez Z, Pita J, Morales J, Pecora D, Wolf A. 2006. Food selection changes under stress. Physiol Behav 87:789-79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