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 하구역 활성화를 위한 자원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 낙동강 하구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nalysis for Vitalization of River Estuary - Focused on the Nakdong Estuary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6 no.6, 2018년, pp.49 - 59  

안병철 (원광대학교 산림조경학과) ,  권진욱 (영남대학교 산림자원및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 자원들의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을 위해 통계분석 SPSS 24.0 Pearson chi-square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3가지로 요약하였다. 첫째, 낙동강 하구 자원의 중요도 분석에서 생태자원이 27.1%로 가장 높았으며, 경관자원 18.5%, 수변레저자원 6.5%, 복합문화자원 5.4%, 역사문화자원 3.3% 순으로 분석되었다. 설문대상 그룹별 중요도의 유의확률은 성별과 연령별, 조사장소별 조사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여성은 남성보다 생태자원의 선호가 2배 높았으며, 미술관 등 복합 문화자원에서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수변레저 자원에서는 남성이 2배 높은 값을 보였다. 연령별 분석에서 수변레저 자원 선호는 20~30대에서 타 연령대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복합문화자원은 30대에서 타 연령대보다 약 3배 이상 높은 값을 보였다. 직업에 따른 선호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5). 둘째, 만족도 분석에서는 경관 자원의 만족도 평균은 6.01, 생태자원은 5.65이며, 문화자원이 5.15로 분석되었다. 성별에 따른 경관자원과 생태자원, 연령에 따른 경관자원, 지역에 따른 생태자원, 직업에 따른 경관자원과 생태자원의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별에 따른 경관자원과 생태자원의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문화자원에서는 유의확률(p=0.012)을 보였다. 연령에 따른 경관자원의 만족도 조사에서 40~50대에서 경관자원의 만족이 높은 반면, 20대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부산 경남 거주자와 그 외의 거주자들의 경관자원과 문화자원의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생태자원의 만족도 분석에서는 두 집단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직업에 따른 경관자원과 생태자원의 만족도 조사에서 대학생, 공무원, 일반인, 전문가 집단의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화자원의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낙동강 하구 자원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경관, 생태, 문화 자원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각각의 집단의 경관자원 만족도 평균은 각각 6.19, 6.08, 5.67로 분석되었으며, 생태자원의 만족도는 5.95, 5.57, 5.41로 분석되었다. 중요도와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수준으로 분석되었으나, 문화자원에 대한 만족도 상관관계는 유의한 차이(p=0.025)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하구 자원의 가치 향상과 활성화를 위해 15개 세부 항목을 분석한 결과, 생태관광 활성화(49.5%)와 갈대습지 복원(47.5%)이 우선적이었다. 생태자원의 가치 향상에 대한 인식이 돋보였으며, 하구 주변의 인프라 개선과 자전거길, 산책로, 수변레저 등이 강 하구 활성화의 요건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resources in the mouth of Nakdong River. A Pearson's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in SPSS 24.0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result of the study was summarized by three points. First, the results of importance analysi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낙동강 하구역 자원을 생태자원, 경관자원, 역사문화자원 등으로 구분하고, 하구 활용의 가치를 공유할 수 있는 지역주민을 포함한 지자체 공무원, 해당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낙동강 하구역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 가치의 인식 정도, 앞으로의 관리 방향과비전 제시에 필요한 요소를 찾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역을 구성하는 물리적 환경을 대상으로 공통적으로 인지하는 주요 자원들에 대한 선택 속성을 분석하여 방문객들의 기대와 만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지속가능한 하구역 발전 방안의 기초 데이터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낙동강 하구를 경험한 일반 방문객, 동 분야의 전문가 그룹 등을 대상으로 하구역이 지니고 있는 자원들의 중요도와 체험 후 또는 현재의 만족 정도, 주요 인자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 그동안 낙동강 하구 자연환경과 생태계를 대상으로 한 환경적, 사회경제적 가치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낙동강 하구역의 자원 가치들을 활용한 지역발전 또는 활성화 방안은 학술적 연구보다는 주로 해당 지자체의 보고서가 주를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낙동강 하구역의 잠재적 가치 활용과 미래 지향적인 활성화 계획을 위한 기초 데이터로써 낙동강 하구 자원들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낙동강 하구역 자원을 생태자원, 경관자원, 역사문화자원 등으로 구분하고, 하구 활용의 가치를 공유할 수 있는 지역주민을 포함한 지자체 공무원, 해당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 자원의 가치증진과 지역 활성화를 위한 설문조사 데이터 값을 통해 낙동강 하구역 자원들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향후 낙동강 하구역 환경 및 지역계획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 낙동강 하구 자원들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은 공간으로서의 하구역 구조와 기능뿐만 아니라, 하구역 수변문화를 융합할 수 있는 기초 자료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의 자원관리와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해 이용자들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기초데이터를 제공하여 낙동강 하구역의 가치 창출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설문조사 항목은 중요도와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항목으로 구성하였으며, 중요도 항목은 낙동강 하구역의 수면과 수변 영역에 대한 구조와 기능을 고려, 하구역 가치 활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는 자원과 앞으로 하구역 활성화를 위해 중요시 되어야 할 요소 등 그 동안의 낙동강 하구역에 대한 기존의문헌과 전문가 의견을 중심으로 크게 두 부분으로 설정하였다. 전자의 하구역의 자원에 대한 중요도는 만족도와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도출하기 위한 것이며, 후자는 앞으로 낙동강 하구역 활성화를 위해 어떠한 항목이 필요한지의 설문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방향 제시에 참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구역이란? 하구역이란 해수와 담수가 접하는 기수역으로 강과 바다가 만나는 수역, 주변의 갯벌, 육상생태계 등의 전형적인 전이생태계로서 오래전부터 인간 활동의 중심공간으로 가능하여 왔다고 할 수 있다(Cha et al., 2010).
하구의 기능은 무엇인가? , 2010). 또한, 하구는 생물서식처, 산란장 및 은신처, 자연재해 방지공간, 오염물 정화지역의 공간으로 생산물의 교환을 통해 지역경제에 기여하고, 심미적 가치, 교육 및 과학연구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Gong, 2009).
낙동강 하구역는 무엇이 발달하였는가? 낙동강 하구역은 자연환경적 측면에서 육상, 하천, 해양생태계가 공존하여 생물 다양성 등 보존 가치가 높으면서도 도시생태계의 영향이 높은 곳이기도 하다. 낙동강 상류로부터 흘러들어온 다량의 유사와 무기영양소가 퇴적되어 기름지고 양분이 풍부한 삼각주상 충적지가 넓게 발달하여 왔다. 풍부한 생물 자원들은 철새의 먹이가 되어 낙동강 하구가 과거 국내 최대의 철새도래지가 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Busan Metropolitan City,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n, B. C.(2016) A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nalysis for improvement efficiency use of waterfront: A focus on the waterfront analysis for domestic and foreign dragon boat festival.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4): 86-99. 

  2. Busan Development Institute(2005) Value Evaluation and Management Program in Nakdong Estuary. pp. 1-5. 

  3. B.D.I.(Busan Development Institute)(2007) Sustainable Management Plan of Nakdong Estuary. 

  4. Busan Metropolitan City(2016) Ecological System Monitoring in Nakdong Estuary 2015-2016. pp. 3-19. 

  5. Cha, M. J., S. H. Kim and G. C. Yi(2010) Wise use through establishing conservation area in Nakdong river estuary.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2(1): 83-94. 

  6. Choo, S. W.(2015) The framework of decision making for choice of camping site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camping motiv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0): 225-234. 

  7. Gong, R. G.(2009) A study on the participant scope of public in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Journal of the Maritime Raw Study 21(2): 223-250. 

  8. Jeong, S. H., B. K. Kim., B. O. Kim and S. R. Lee(2013) Shoreline-change rates of the barrier islands in Nakdong river estuary using aerial photography and SPOT-5 image. Ocean and Polar Research 35(1): 1-14. 

  9. Kim, H., H. S. Chang and J. S. Hwang(2014) A study of tourism motivation and destination choice attributes in tourism behavior: Focusing on Ansan city.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8(1): 219-232. 

  10. Kim, S. H.(2005)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deltaic barrier island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fter the construction of river barrag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0(4): 416-427. 

  11. Kim, T. D., J. H. Koo, S. J. Lee and A. R. Choi(2016) Selection attributes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or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 Baekdudaega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2): 19-30. 

  12. Lee, G. K. and W. J. Yang(2011) Tourism development of the estuary of the Nagdong river from viewpoint of waterfront. Journal of North-east Asian Cultures 28: 269-283. 

  13. ME(Ministry Environment)(2009) Nakdong Estuary Master Plan for Wetlands Conservation & Wise Use. pp. 1-9. 

  14. Oh, C. Y., S. Y. Park, C. U. Choi and J. S. Woo(2010) Change detection at the Nakdong estuary delta using satellite image and GI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8(1): 21-29. 

  15. Park, K. G.(2013) Effect on selected attribute on functional bakery product to perceptual value and utility satisfaction. Journal of Hotel & Resort 12(3): 311-328. 

  16. Seo, E. Y., C. S. Lee and J. M. Won(2012)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f waterfront areas in three major world cities: Focusing on London, Paris, Seoul’s Waterfront Projects.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47(6): 109-122. 

  17. Yang, J. H. and K. R. Cho(2011)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mbayment area at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7(6): 649-665 

  18. http://wbk.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