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수학과 학문수학에서의 연속성 개념 정의의 분석
Analysis on Definitions of Continuity Conveyed by School Mathematics and Academic Mathematics 원문보기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7 no.3, 2017년, pp.375 - 389  

김진환 (영남대학교) ,  박교식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연속성 개념에 대한 학교수학에서의 정의와 학문수학에서의 정의 사이의 차별성과 상호연결성을 네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한 점에서의 연속 불연속'의 정의가 학교수학에서는 극한 과정에 의존하고 있고, 학문수학에서는 정의역의 위상에 의존하고 있다. 학교수학에서는 정의역이 하나의 구간이나 구간들의 합집합인 함수에 한하여 연속함수인가를 판정할 수 있으나, 학문수학에서는 어떠한 함수에 대해서도 연속함수인가를 판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학교수학에서의 연속성 개념 취급과 관련하여 다음 두 가지 의견을 제시한다. 첫째, 극한 과정을 기반으로 한 학교수학에서의 국소적 연속성 개념으로 볼 때, 2009 개정 교과서에서 함수의 정의역에 속하지 않는 특정한 점에서 불연속을 취급하는 것은 적절하다. 이때 불연속점으로 무한 불연속점, 제거 가능한 불연속점과 도약 불연속점의 유형이 나타난다. 둘째, 일반적인 연속함수의 정의로 "함수 y = f(x)에서 정의역에 불연속점이 없으면, f을 연속함수라 한다."를 제안한다. 이 정의는 정의역에 속하지 않은 점에서의 불연속성의 판정을 허용하면서, 학문수학에서의 정의와 일관되게 연결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and inter-connectivity between the definition of continuity in school mathematics and the definition of academic mathematics in four perspectives. These difference and inter-connectivity have not analyzed in previous papers. According to this s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역적 연속성 개념에서 연속함수를 정의하면? 다른 하나는 대역적 연속성 개념으로, 함수 자체가 연속함수인가에 관한 것이다. 연속함수의 정의에서는 함수의 3대 하위 요소인 정의역, 공역, 법칙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바, 공역의 임의의 열린 집합(openset)의 역상(inverse-image, pre-image)이 정의역의 열린 집합이 되는 함수를 연속함수로 정의하고 있다(Lipschutz, 2012; Munkres, 1975). 연속함수의 개념은 정의역의 모든 점에서 연속인 함수와 동치 개념으로, 대역적 연속성 개념과 국소적 연속성 개념의 관계가 학문적으로 정립되어 있다.
연속성 개념이 수학에서 매우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연속성 개념은 근접성(nearness)을 보존시키는 개념으로 미적분을 다루기 위한 기초적인 개념인 바, 학교수학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대학에서 취급하는 학문수학에서도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위상수학은 어떤 점에서의 작은 변화에 따른 함숫값의 변화를 다루는 대표적 학문수학이라 할 수 있고, 이때 위상(topology)은 근접성을 다루는 추상화된 측도이다.
실직선에서 다루는 극한과 연속의 개념에는 어떤 위상이 작용하는가? 위상수학은 어떤 점에서의 작은 변화에 따른 함숫값의 변화를 다루는 대표적 학문수학이라 할 수 있고, 이때 위상(topology)은 근접성을 다루는 추상화된 측도이다. 실직선에서 다루는 극한과 연속의 개념에는 절댓값으로 정의되는 거리에 의해 유도되는 통상 위상(usual topology)이 작용하고 있다. 실직선에서 이 통상 위상으로 근접성을 다룰 때 열린구간이 주요 역할을 담당하므로, 실직선에서 구간이 강조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계승혁 외 5인(2009). 고등학교 수학 II. 서울: 성지출판(주). 

  2. 교육과학기술부(2008).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수학). 

  3. 교육인적자원부(200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별책 8] 

  4.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5. 김원경 외 9인(2014). 고등학교 미적분 I, 서울: 비상교육. 

  6. 김창동 외 14인(2014). 고등학교 미적분 I, 서울: 교학사. 

  7. 류희찬 외 17인(2014). 고등학교 수학 I. 서울: 천재교육. 

  8. 박달원, 홍순상, 신민영(2012). 연속함수에 대한 고등학교 교과서의 정의와 고등학생들의 이해. 한국학교수학교육회논문집. 15(3). 453-465. 

  9. 신항균 외 11인(2014), 고등학교 미적분 I, 서울: 지학사. 

  10. 이경화, 신보미(2005). 상위 집단 학생들의 함수의 연속 개념 이해. 수학교육학연구, 15(5), 39-56. 

  11. 우무하 외 5인(2010). 고등학교 미적분과 통계 기본. 서울: 박영사. 

  12. 우정호 외 5인(2009). 고등학교 수학 II. 서울: 두산동아. 

  13. 우정호 외 24인(2014a). 고등학교 수학 II. 서울: 두산동아. 

  14. 우정호 외 24인(2014b). 고등학교 미적분 I. 서울: 두산동아. 

  15. 윤재한 외 23인(2009). 고등학교 수학 II. 서울: 더 텍스트. 

  16. 이강섭 외 14인(2014). 고등학교 미적분학 I, 서울: 미래엔. 

  17. 이진영(2010). 교수학적 변환의 관점에서 한 점에서 함수의 연속.불연속, 연속함수 정의의 검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준열 외 9인(2009). 고등학교 수학 II. 서울: 천재교육. 

  19. 이준열 외 9인(2014). 고등학교 미적분 I. 서울: 천재교육. 

  20. 정상권 외 7인(2014). 고등학교 미적분 I. 서울: 금성출판사. 

  21. 정연준, 김재홍(2013) 함수의 연속성 개념의 역사적 발달 과정 분석 - 직관적 지도의 보완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3(4), 567-584. 

  22. 최용준 외 9인(2009). 고등학교 수학 II. 서울: 천재교육. 

  23. 황선욱 외 10인(2014). 고등학교 미적분 I. 서울: 좋은책 신사고. 

  24. Bartle, R. G. & Sherbert, D. R. (2011). Introduction to real analysis(4th edition), John Wiley & Sons. 

  25. Harcharras, A. & Mitrea, D. (2007). Calculus connections: Mathematics for middle school teachers. Pearson Prentice Hall. 

  26. Lipschutz, S. (2012). Schaum's outlines General Topology. McGraw Hill. 

  27. Munkres, J. R. (1975). Topology- a first course. Prentice-Hall. 

  28. Foerster, P. A. (2010). Calculus : concepts and applications. Key Curriculum Press. 

  29. Raman, M. (2004). Epistemological messages conveyed by three high-school and college mathematics textbooks. J. of Mathematics Behavior, 23, 389-404. 

  30. Stewart. J. (2016a) Calculus Early Transcendentals (8E). Cengage Learning. 

  31. Stewart. J. (2016b). 미분적분학(8E) (대학교재편찬위원회 옮김). 서울: 경문사. 

  32. Tall, D. & Vinner, S. (1981). Concept image and concept definition in mathematics with particular referencs to limits and continui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2. 151-1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