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영재의 집단창의성 발현에서 나타나는 산출 및 과정 손실 분석
An analysis on the products and process losses of group creativity among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1 no.3, 2017년, pp.505 - 530  

성지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종희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학영재의 집단창의성 발현 과정과 산출을 분석하여 어떤 특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집단창의성 발현을 방해하는 과정 손실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수학영재학급 수업에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단계를 적용하였고, 수 체계의 성질과 모듈로 산술을 주제로 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학생들이 보인 반응과 산출의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하는 사례연구를 진행하였고, 집단창의성 발현 과정과 산출, 과정 손실의 원인에 대한 선행연구 내용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집단의 과정에서 창의적 시너지가 나타날 수 있는 상보적, 발생, 긴장 상태와 기여의 결합이 나타나는 방식인 수집, 연결, 선택, 변형, 집단의 창의적 산출의 특성인 집단 유창성, 집단 융통성, 집단 독창성, 집단 정교성이 관련된 것끼리 이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집단 수준의 창의적 시너지가 나타날 수 있는 상보적, 발생, 긴장 상태에서 과정 손실의 인지적 원인과 사회 동기적 원인이 나타나는 경우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수학영재학급 수업 설계 시에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have potential and creative productivity, they might not manifest group level creative synergy. To manifest group creativity among them, the manifestation process should be facilitated and the process losses should be minim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l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벨상 수상자의 절반 이상이 경험한 것은? 많은 연구들이 다양한 전문성을 가진 사람들의 협업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노벨상 수상자의 절반 이상이 이전 수상자와 협업을 하였거나 그들에게서 배운 경험이 있다고 한다(Subotnik, Olszewski-Kubilius, & Worrell, 2011). 수학 분야에서도 서로 다른 분야를 연구하는 수학자들의 수학 내적 연결을 통해 새로운 이론이 탄생하기도 하고, 새로운 분야가 확립되기도 한다(이경화, 2015).
Nijstad와 Paulus은 집단을 어떻게 표현했는가? Nijstad와 Paulus(2003)는 집단이 창의적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하며, 개인의 지식, 기술, 능력이 결합되면 집단은 각 개인보다 더 큰 창의적 잠재력을 갖는다고 설명했다(p. 327).
집단창의성에 대한 영재교육진흥법 제 1조의 영재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영재교육진흥법 제 1조에서는 영재교육의 목적을 “재능이 뛰어난 사람을 조기에 발굴하여 능력과 소질에 맞는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개인의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하고 개인의 자아실현을 도모하며 국가와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설명한다(교육부,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교육부 (2016). 영재교육진흥법 (2016.2.3., 일부개정). 교육부. 

  2. 김기연 (2008). 수학영재의 창의적 생산력 신장을 위한 학습 지도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 김영채 (2007). 집단창의의 가능성과 한계. 사고개발, 3(1), 1-26. 

  4. 김은혜, 박만구 (2011). 수학 영재교육 대상 학생과 일반 학생의 개방형 문제해결 전략 및 행동 특성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1), 19-38. 

  5. 김판수 (2014). 문제설정에서의 수학적 창의성 평가 요소에 대한 소고. 영재교육연구, 24(6), pp.1053-1071. 

  6. 김현진 (2014). 개인창의성과 집단창의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통합능력과 지식공유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7. 박만구 (2015).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1), 81-105. 

  8. 성예원, 송상헌 (2013). 모둠별 게임 변형을 통한 초등수학영재들의 수학적 정교화 과정 분석. 학교수학, 15(3), 619-632. 

  9. 성지현 (2017).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집단창의성 발현 과정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0. 성지현, 이종희 (2017).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집단창의성 발현 과정에 작용하는 요소와 교수.학습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교과교육학연구, 21(1), 59-70. 

  11. 유경훈 (2015). 초중고 학생들의 개인창의성과 집단창의성 및 환경변인의 집단별 영향력 비교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14(1), 201-222. 

  12. 이경화 (2015). 수학적 창의성. 서울: 경문사. 

  13. 이대현 (2014). 다양한 해결법이 있는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성 측정 방안 탐색. 학교수학, 16(1), 1-17. 

  14. Camacho, L. M., & Paulus, P. B. (1995). The role of social anxiousness in group brainstorm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 1071-1080. 

  15. Csikszentmihalyi, M. (1999). Implications of a systems perspective for the study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313-335).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Diehl, M., & Stroebe, W. (1987). Productivity loss in brainstorming groups: Toward the solution of a ridd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 497-509. 

  17. Diehl, M., & Stroebe, W. (1991). Productivity loss in idea-generating groups: Tracking down the blocking e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 392-403. 

  18. Esther, L. (2011). Exploring collective mathematical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45(3), 215-234. 

  19. Hinsz, V. B., Tinndale, R. S., & Vollrath, D. A. (1997). The emerging conceptualization of groups as information processors. Psychological Bulletin, 121(1), 43-64. 

  20. Hunter, S. T., Bedell, K. E., & Mumford, M. D. (2007). Climate for creativity: A quantitative review.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9(1), 69-90. 

  21. Leikin, R. (2010). Teaching the mathematically gifted. Gifted Education International, 27, 161-175. 

  22. Mann, E. L. (2006). Creativity: The essence of mathematic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30(2), 236-260. 

  23. Martin, L. C., & Towers, J. (2015). Growing mathematical understanding through collective image making, collective image having, and collective property notic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8, 3-18. 

  24. Moran, S., & John-Steiner, V. (2004). How collaboration in creative work impacts identity and motivation. In D. Miell, & K. Littleton (Eds.), Collaborative Creativity, Contemporary Perspectives. (pp. 11-25). London: Free Assocation Books. 

  25. Nijstad, B. A., Diehl, M., & Stroebe, W. (2003). Cognitive stimulation and inference in idea-generating groups. In P. B. Paulus, & B. A. Nijstad (Eds.), Group Creativity. Innovation Through Collaboration. (pp. 137-159). N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6. Nijstad, B. A., & Paulus, P. B. (2003). Group creativity. Common themes and future directions. In P. B. Paulus, & B. A. Nijstad (Eds.), Group Creativity. Innovation Through Collaboration. (pp. 326-339). N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7. Paulus, P. B., & Brown, V. R. (2003). Enhancing ideational creativity in groups. Lessons from research on brainstorming. In P. B. Paulus, & B. A. Nijstad (Eds.), Group Creativity. Innovation Through Collaboration. (pp. 110-136). N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8. Paulus, P. B., & Dzindolet, M. T. (2008). Social influe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Social Influence, 3(4), 228-247. 

  29. Shepperd, J. A. (1993). Productivity loss in performance groups: A motivation 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13, 67-81. 

  30. Siau, K. L. (1995). Group creativity and technolog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9(3), 201-216. 

  31. Silver, E. A. (1997). Fostering creativity through instruction rich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problem posing. ZDM, 19(3), 75-80. 

  32. Steiner, I. D. (1972). Group Process and Productivity. NY, New York: Academic Press. 

  33. Subotnik, R. F., Olszewski-Kubilius, P., & Worrell, F. C. (2011). Rethinking Giftedness and Gifted Education: A Proposed Direction Forward Based on Psychological Science. Psychological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12(1), 3-54. 

  34. Zhou, C., & Kolmos, A. (2013). Interplay between individual creativity and group creativity in problem and project-based learning (PBL) environment in engineering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29(4), 866-87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