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study Turkic clothing traditions as a way to shed light on cultural development via the interactions among different tribes along the Silk Road, the close correlations between the surroundings of the Turks and their costumes, and the root of Turkic culture through 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돌궐의 포는 목선의 형태에 따라 어떻게 분류하는가? 돌궐의 포는 바지와 화가 거의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무릎 선을 지나 발목까지 내려오는긴 길이이다. 돌궐은 다양한 형태의 포를 보이고 있는데, 목선의 형태를 중심으로 직령의 옷깃이 서로 합쳐져 V-네크라인으로 된 직령합임포, 둥근 깃인 단령포, 젖혀진 깃인 번령포로 분류할 수 있다. 돌궐 상의의 유형 중 번령포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를 통해 번령 포가 돌궐 의복에 있어 대표적인 형태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돌궐은 어떤 민족인가? 첫째, 흉노의 후예라는 설이 유력한 돌궐은 알타이산맥 서남부 지역을 발상지로하여 A.D. 6 세기부터 8세기까지 한랭건조기후를 특징으로 하는 초원대를 누비며 동쪽으로는 중국 둥베이(東北: 만주)까지, 서쪽으로는 투르키스탄(중앙 아시아)까지 세력을 확장한 북방계 유목기마민족이다. 즉, 돌궐족은 중앙아시아 지역을 비롯한 실크로드 주변 지역 민족들을 통합하여 지배하 였고, 돌궐(突厥)제국이라는 세계 대제국과 함께 투르크족이라는 민족 연합체를 성립하였며, 지배 종족 및 실크로드를 통해 연결된 다양한 민족들과 서로의 문화를 소통 및 공유, 교류하며 발전하였다.
돌궐 저고리의 길이를 정확히 알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돌궐 저고리의 길이는 대체로 치마 안으로 집어 넣어 외의로서 착용하거나, 포 안쪽으로 입는 내의로서 착용하였기 때문에 정확히 알 수는 없다. 그러나 허리선까지 올라오는 치마 안으로 집어넣어져 있음을 통해 그 길이는 대체로 허리선보다는 아래인 둔부선을 지나는 길이로 짐작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강윤봉. (2010). 왕오천축국전 : 혜초의 대여행기. 서울: 두레아이들. 

  2. 고마츠 히사오. (2005). 중앙유라시아의 역사 (이평래 역). 서울: 소나무. 

  3. 국립제주박물관. (2008). 실크로드의 역사와 문화. 서울: 서경문화사. 

  4. 국립중앙박물관. (편). (2010). 소그드의 역사와 문화 : 국립중앙박물관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서울 : 국립중앙박물관. 

  5. 국제한국학회. (2000). 실크로드와 한국문화. 고양: 소나무. 

  6. 권현주. (2012). 투르크제국의 복식문화. 중앙아시아연구, 17(1), 153-172. 

  7. 김미진, 조우현. (2006). 고구려 복식을 활용한 캐릭터 문화상품 개발, 한국의상디자인학회 추계 학술대회, 2006(12), 145-148. 

  8. 김소현. (2003). 호복. 서울: 민속원. 

  9. 김소희, 채금석. (2015). 고구려와 선비족 의복 형태 비교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7(2), 63-78. 

  10. 김용문. (2010). 아프라시압 벽화에 나타난 복식연구. 한국복식학회지, 60(7), 117-130. 

  11. 김용문. (2013). 흉노(匈奴)의 복식문화에 관한 연구. 복식, 63(3), 1-16. 

  12. 김용문. (2015). 당대(唐代) 호인용(胡人俑)의 복식연구. 한복문화, 18(1), 65-79. 

  13. 김용문, G. 에렉젠. (2008). 몽골석인상의 복식연구. 한복문화, 11(3), 193-205. 

  14. 김종래. (2002). 유목민이야기. 서울: 꿈엔들. 

  15. 김효정. (2001). 돌궐족의 기원신화에 나타난 이리 (Kurt) 모티브 小考. 한국중동학회논총, 22(2), 241-258. 

  16. 데 바이에르. (1994). 몽골석인상의 연구 (박원길 역). 서울: 혜안. 

  17. 동북아역사재단. (2010). 譯註 中國 正史 外國傳-8, 周書.隋書 外國傳 譯註-. 서울: 동북아역사재단. 

  18. 동북아역사재단. (2010). 譯註 中國 正史 外國傳-9, 北史 外國傳 譯註-. 서울: 동북아역사재단. 

  19. 스기야마 마사아키. (2013). 유목민의 눈으로 본 세계사 (이경덕 역). 서울: 가디언. (원저 1952 출판) 

  20. 이광호. (1998). 이슬람과 한국의 민간신앙. 울산: 울산대학교 출판부. 

  21. 이희수. (2005). 터키사.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2. 이희철. (2002). 터키. 서울: 리수. 

  23. 정수일. (2001). 고대문명교류사. 파주: 사계절. 

  24. 정수일. (2013). 실크로드 사전. 파주: 창비. 

  25. 정완서. (2012). 디아스포라 미술의 어제와 오늘 : 서도호와 소그드인. Visual, 9, 84-98. 

  26. 정재훈. (2009). 돌궐(突厥) 초기사(初期史)의 재구성(再構成). 중앙아시아연구, 14, 1-31. 

  27. 채금석. (2006). 우리저고리 2000년. 서울: 숙명여자대학교출판국. 

  28. 채금석. (2012). 세계화를 위한 전통한복과 한스타일. 파주: 지구문화사. 

  29. 채금석. (2014). 백제 복식 유형별 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8(1), 1-18. 

  30. 채금석. (2017). 한국복식문화-고대-. 서울: 경춘사. 

  31. 퍼트리샤 리프 애너월트. (2009). 세계 복식 문화사 (한국복식학회 역). 고양 : 위즈덤하우스. 

  32. Afrasiab Museum. (2014). AFROSIAB. Samarkand: Afrasiab Museu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