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각운동프로그램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아동의 시각운동통합기술과 운동기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ptual Motor Program on Visual Motor Integration Skill and Motor Skill of a Child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원문보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The jo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v.15 no.1, 2017년, pp.21 - 32  

김승주 (인제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구기쁨 (인제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김경미 (인제대학교 보건 의료 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지각운동프로그램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아동의 시각운동통합기술과 운동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ADHD로 진단 받았으나 약물중재를 받고 있지 않는 8세 남아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설계는 개별실험연구(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중 A-B-A(follow up) 설계를 사용하였고, 기초선 A는 3회기, 중재기 B는 8회기, 추적기간 A는 3회기였다. 기초선기간과 추적기간에는 자유 놀이를 40분간 실시한 후 시각운동통합기술을 보기 위해 한국판시지각발달검사의 하위 항목인 따라 그리기와 운동기술을 보기 위해 줄넘기를 실시하였다. 중재기 B에는 지각운동프로그램을 40분간 제공한 후 한국판시지각발달검사의 하위 항목인 따라 그리기와 줄넘기를 실시하였다. 결과 : 시각운동통합기술을 측정하기 위한 따라 그리기 항목의 표준점수는 기초선 기간에는 평균 4.7점의 열등수준을 보였지만 중재기간에서는 평균 9.6점의 평균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추적기간에서는 7.7점의 평균이하의 수준을 보였다. 아동의 운동기술의 변화를 측정한 줄넘기에서는 기초선 기간에는 4.3회, 중재기간에서는 5.9회로 증가된 운동능력을 보였으나, 추적기간에서는 5회로 약간 감소하였다. 결론 : 지각운동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시각운동통합기술과 운동기술의 수행의 변화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a perceptual motor program in promoting visual motor and motor control outcomes in a child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who is enrolled in an elementary school. Methods : The subject is 8-year-old boy w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로 진단받은 아동에게 지각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아동의 운동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아동은 시각자극에 따라 눈과 손의 협응이 요구되는 운동능력과 줄넘기를 사용하여 적절한 운동계 획능력 및 실행을 요구하는 운동능력을 측정하였을 때, 시각운동통합기술과 운동기술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각운동이란 무엇인가? 지각운동(perceptual motor)은 감각정보를 받아들여 해석하고 반응하는 개인의 능력으로 정의되며, 지각은 정보를 알거나 해석하는 것을 의미하고 운동은 움직임 또는 운동반응을 말한다(Capon, 1975). 신체를 움직이는 동안, 뇌는 움직임을 위해 뇌 반구 사이의 정보를 교환하기도 하고, 신체의 일부분을 사용하는 편측 움직임 활동 시에는 편측 뇌의 활동을 더 우세하게 유발하여 양반구의 활동을 분리한다(Johnstone & Ramon, 2011).
지각운동발달과 감각통합치료가 필요로 하는 것은 무엇인가? 지각운동발달은 공간에서 움직임과 자세조절을 위해 고유계, 시각계, 전정계의 처리/통합뿐만 아니라 다양한 감각계를 통해 환경의 변화와 정보들을 정확하게 감지하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Hatzitaki, Zlsi, Kollias, & Kioumourtzoglou, 2002). 이러한 부분은 감각통합치료의 이론적 원리와 유사하며 두 중재 모두 환경 내에서 사물의 위치나 특별한 정보들을 지각하고 통합하여 조절된 움직임으로서 반응하기(자세, 균형, 힘 등) 위해서 감각정보를 원활하게 처리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Plumert, Kearney, & Cremer, 2007).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는 무엇이며 증상은 어떠한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아동기에 나타나는 가장 흔한 신경발달장애 중 하나로 부주의, 과잉행동과 충동성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나며(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감각-운동 또는 지각-운동의 문제를 갖는 경우가 많다(Han, Hwang, Kim, & Hong, 2016). ADHD 아동은 시각적으로 주의집중하기 어려우며 특히 비정상적인 안구 움직임 및 문제가 없어도 파란색을 지각할 때 어려움을 가진 것으로 연구되어졌다(Kim, Chen, & Tannock, 2014; Banaschewsk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fshari, J. (2012). The effect of perceptual-motor training on attention in th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6(4), 1331-1336. http://dx.doi.org/10.1016/j.rasd.2012.05.003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3. Banaschewski, T., Ruppert, S., Tannock, R., Albrecht, B., Becker, A., Uebel, H., Uebel, H., et al. (2006), Colour perception in ADHD.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7(6), 568-572. http://dx.doi.org/10.1111/j.1469-7610. 2005. 01540.x 

  4. Blythe, S. G. (2000). Early learning in the balance: Priming the first ABC. Support for Learning, 15(4), 154-158. http://dx.doi.org/10.1111/1467-9604.00168 

  5. Capon, J. (1975). Perceptual motor development. Belmont, Ca: Fearon Pitman. 

  6. Chu, S., & Reynolds, F. (2007).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part 1: A delineation model of practice.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0(9), 372-383. http://dx.doi.org/10.1177/030802260707000902 

  7. Englund, J. A., Decker, S. L., Allen, R. A., & Roberts, A. M. (2014). Common cognitive deficits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autism: Working memory and visual-motor integration.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32(2), 95-106. http://dx.doi.org/10.1177/0734282913505074 

  8. Frost, L. A., Moffitt, T. E., & McGee, R. (1989). Neuropsychological correlates of psychopathology in an unselected cohort of young adolescen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8(3), 307. http://dx.doi.org/10.1037/0021-843X. 98.3.307 

  9. Han, H. L., Hwang, S. T., Kim, J. H., & Hong, S. H. (2016). Construct validity of developmental Test of visual-motor integration Korean version: Focused o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5(1), 81-99. 

  10. Hatzitaki, V., Zlsi, V., Kollias, I., & Kioumourtzoglou, E. (2002). Perceptual-motor contributions to static and dynamic balance control in children. Journal of Motor Behavior, 34(2), 161-170. http://dx.doi.org/10.1080/00222890209601938 

  11. Hedges, W. D., & Hardin, V. B. (1972). Effects of a perceptual-motor program on achievement of first graders. Educational Leadership, 30(3), 249-53. 

  12. Hong, Y. J. (1995). The Development of perceptual motor skill program for the disorder childre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4, 293-302. 

  13. Linderman, T. M., & Stewart, K. B. (1999). Sensory integrative-based occupational therapy and functional outcomes in young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A singlesubject stud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3(2), 207-213. http://dx.doi.org/10.5014/ajot.53.2.207 

  14. Johnstone, A., & Ramon, M., (2011). Perceptual-motor activities for children: An Evidence-based guide to building physical and cognitive skills. Champaign; Human kinetics. 

  15. Kandel, S., & Valdois, S. (2006). Syllables as functional units in a copying task. Language and Cognitive Processes, 21(4), 432-452. http://dx.doi.org/10.1080/01690960400018378 

  16. Kim, S., Chen, S., & Tannock, R. (2014). Visual function and color vision in adul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optometry, 7(1), 22-36. http://dx.doi.org/10.1016/j.optom.2013.07.001 

  17. Kim, S. K. & Kim, O. K. (2002). Social maturity scale. Seoul: Jungang Aptitude Publisher. 

  18. Koh, E. Y., & Jeong, S. R. (2013). A review of single -subject design research for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DHD. Asian Journal of Education, 14(2), 1-27. 

  19. Moon, S. B., Yoe, K. E., & Jo, Y., T. (2003). Korean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 Seoul: Hajisa. 

  20. Nancy, S., Ruth, S., & Barbara, R. (1969). A program for perceptual-motor training, Florida Reading Quarterly (March), 32-36. 

  21. Park, K. S., Jung, D. Y., Jung, I. S., Kim, K. O., & Song, Y. J. (2005). 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Basic Academic Achievement Test. Ansan: Korea Institue for Special Education. 

  22. Piek, J. P., Baynam, G. B., & Barrett, N. C.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fine and gross motor ability, self-perceptions and self-worth in children and adolescents. Human movement science, 25(1), 65-75. http://dx.doi.org/10.1016/j.humov.2005.10.011 

  23. Plumert, J. M., Kearney, J. K., & Cremer, J. F. (2007). Children's Road Crossing: A Window Into Perceptual-Motor Development.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6(5), 255-258. http://dx.doi.org/10.1111/j.1467-8721.2007.00515.x 

  24. Roessner, V., Banaschewski, T., Fillmer-Otte, A., Becker, A., Albrecht, B., Uebel, H.,et al. (2008). Color perception deficits in co-existing attention-deficit/ hyper- activity disorder and chronic tic disorders. Journal of neural transmission, 115(2), 235-239. http://dx.doi.org/10.1007/s00702-007-0817-2 

  25. Saha, S., Sultana, F., Ahmed, M., & Saha, S. (2016).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iveness of perceptual motor training on improvement in motor performance in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Movement, Health & Exercise, 5(2). http://dx.doi.org/10.15282/mohe.v5i2.104 

  26. Shin, H. H., Choi, Y. W., Kim, S. J., & Kim, K. M. (2014). The effects of video modeling on the meal preparation for adult mental retardation : Single subject desig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3(2), 375-385. 

  27. Silva, A. P., & Frere, A. F. (2011). Virtual environment to quantify the influence of colour stimuli on the performance of tasks requiring attention. Biomedical engineering online, 10(1), 74. http://dx.doi.org/10.1186/1475-925X-10-74 

  28. Sovik, N., & Teulings, H. L. (1983). Real-time feedback of handwriting in a teaching program. Acta psychologica, 54(1), 285-291. http://dx.doi.org/10.1016/0001-6918(83)90040-9 

  29. Stephen, K. (1969). Area of Perceptual-Motor Development (Unpublished paper), University of South Florida, Tampa. 

  30. Stephenson, J., Carter, M., & Wheldall, K. (2007). Still jumping on the balance beam: Continued use of perceptual motor programs in Australian schools. 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 51(1), 6-18. http://dx.doi.org/10.1177/000494410705100102 

  31. Tawney, J. W., & Gast, D. L. (1993). Single subject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Merrill. 

  32. Tervo, R. C., Azuma, S., Fogas, B., & Fiechtner, H. (2002). Children with ADHD and motor dysfunction compared with children with ADHD only.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44(6), 383-390. https://dx.doi.org/10.1017/S0012162201002250 

  33. Tseng, M. H., & Chow, S. M. (2000). Perceptualmotor function of school-age children with slow handwriting spee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4(1), 83-88. https://dx.doi.org/10.5014/ajot.54.1.83 

  34. Ulrich, D. A. (2000).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 (2nd ed.). Austin, TX: Pro-Ed. 

  35. Yazd, S. N. T., Ayatizadeh, F., Dehghan, F., Machado, S., & Wegner, M. (2015). Comparing the effects of drug therapy, perceptual motor training, and both combined on the motor skills of school-age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ldren. CNS & Neurological Disorders-Drug Targets, 14(10), 1283-12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