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방 분야 품질경영시스템 세분화를 통한 군수품 품질향상 방안
Suggestion for the Enhancement of Military Supplies via Segregation of Defense Quality Management System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8, 2016년, pp.251 - 261  

주진천 (국방기술품질원) ,  김성곤 (국방기술품질원) ,  이종찬 (국방기술품질원) ,  안남수 (울산과학대학교 안전및산업경영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군수분야에서는 K-21 장갑차, K-9 자주포, 신병훈련시 수류탄 폭발 등의 다양한 군수품 성능저하 및 품질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현상들은 갑자기 발생한 현상이 아니며 또한 일부 품질문제의 경우 반복적으로 발생하였다는 점에서 단순히 제품에 대한 품질검사를 강화하는 것이 아닌, 시스템적인 차원에서 개선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현재의 군수품에 대한 품질경영시스템(국방품질경영시스템)을 분석하고, 기존에 발생하였던 품질문제 및 감사지적사항들에 대해 시스템적인 차원에서 보완이 필요한 사항들을 식별하였다. 이를 위해 민수 및 선진 해외 군수분야의 품질경영시스템 등을 벤치마킹 하여 국방품질경영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한 요구사항들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식별한 개선사항들은 부적합품의 경향분석, 제품수락기준, 공급자 품질경영, 변경점 관리, 예방정비 등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단일화된 형태의 국방품질경영시스템을 MIL-I-45208 시험시스템 기반의 중소기업/비방산물자/단기계약을 위한 품질경영시스템과 AQAP 2310 품질경영시스템 기반의 중견기업/방산물자/중장기계약으로 세분화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는 품질경영시스템이 미 구축된 업체의 경우에는 시스템 구축 계획을 업체품질보증계획서에 반영하여 품질보증기관에 제출하여야 한다로 계약요구조건에 명기 되어 있어 일단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인증획득 여부와 관계없이 군수품 납품계약이 성립된 이후에는 필수적으로 국방품질경영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나, 군수업체의 상당수가 중소업체이며 1년 이내의 단기계약임을 감안시 비현실적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many weapon related quality issues have arisen in the armed forces, such as failures of K-21 Infantry Fighting Vehicles, K-9 self-propelled mounts, and grenade explosion during boot training. Since all of the issues are repetitive phenomena, we examined the defense quality management sys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QAP 표준은 NATO 회원국들간의 군수품 조달을 위해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 요소이다. AQAP은 2105(Requirements for Deliverable Quality Plans), 2070(Mutual Government Quality Assurance Process) 등 여러 가지 표준이 존재하며, 이중 본 절에서는 품질경영시스템 요구조건인 2310(Quality Management System Requirements for Aviation, Space and Defence Suppliers)을 ISO 9001과 비교해 보고자 한다.
  • ISO 9000 품질경영시스템은 일반화된 품질경영시스템이므로 본 절에서는 MIL-I-45208의 요구조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주요 요구사항을 요약하면 Table 2와 같다.
  • 기존 논문들에서 제안하였던 국방품질경영시스템을 분야별(화력, 탄약, 기동, 항공유도, 함정, 통신전자, 화생방, 기타 등)로 세분화하여 운용하는 개선안은 충분한 검토한 필요한 내용으로 판단되다. 다만 본 논문에서는 즉시 적용 가능한 국방품질경영시스템 개선안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세분화에 대한 연구는 본 연구범위를 벗어난다.
  • 2장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체 중앙 조달되는 군수품의 계약의 대부분이 단기간(1년 이내)에 종료되는 경쟁계약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계약업체가 현재와 같은 계약특수조건에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보다 더 많은 요구사항을 포함하는(요구항목 70개) 국방품질경영시스템 구축을 생산 전에 수립하고, 그에 따라 제품을 개발, 시제품 생산, 대량생산 등의 과정을 거친다는 것은 어렵다고 여겨진다. 또한 상당수의 단기간 조달계약을 수행하는 업체의 경우 중소기업이 상당수를 차지하므로, 최소한의 품질경영시스템의 요구사항만을 구축하는 것(DQMS-I)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중소업체의 경우 대부분 단기계약 으로 계약이 종료되기 때문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품질경영시스템 구축(최소 6개월)을 요구하기 보다는, 적합한 제품을 적기에 생산하기 위한 시험 시스템의 구축만을 요구하기 위함이다.
  • 본 논문에서는 군수업체의 품질보증능력의 향상과 정부의 품질보증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기제정된 국방품질경영시스템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방품질경영시스템 관련 선행연구 및 관련 규정·지침의 내용 등을 검토하였으며, 국내외 및 선진 품질경영시스템과 ISO 9001과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벤치마킹이 필요한 부분을 식별하였다.
  • 본 장에서는 2000년 이후 발생한 군수품 주요 성능부실 및 품질문제들을 살펴보고, 그 현상 및 원인과 해당문제의 재발 방지를 위한 품질경영시스템 관점에서의 필요한 요구사항 순으로 정리를 해보았다. 또한 중앙 조달되는 군수품의 품질보증업무를 수행하는 국방기술품질원(이하 기품원)의 품질보증업무 수행 과정 중 상위정부기관(방위사업청 및 감사원)에서 지적한 사항들에 대해서도 역시 현상, 원인 그리고 품질경영시스템 관점에서 재발방지를 위해 필요한 요구사항 순으로 정리를 하였다.
  • 본 장에서는 현재의 단일화된 형태의 국방품질경영시스템을 중소기업, 비방산물자 및 단기계약을 위한 최소한의 요구사항만을 포함한 국방품질경영시스템(이하 DQMS-I)과 중견기업이상, 방산물자 및 중장기 계약을 위한 국방품질경영시스템(이하 DQMS-II)으로 구분하여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절에서는 민수분야의 품질경영시스템의 경향 및 구축요건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민수분야의 경우 기본적인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요건에 각 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추가 요구사항을 반영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 본 절에서는 방산분야 선진국이라고 일컫는 미국과 NATO(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북대서양조약기구)의 군수업체에 대한 품질경영시스템 구축요건을 살펴보고자 한다. 기타 방산분야 선진국인 독일, 영국, 일본 등의 경우는 관련 자료를 획득하기 어려운 관계로 본 논문의 연구대상에서 제외한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방품질의 발전을 위해 현 군수업체의 현실을 반영하고 시스템 효과성을 고려한 개선된 형태의 국방품질경영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방품질경영시스템이란 무엇인가? 중앙 조달되는 군수품에 대한 사업을 관장하는 방위사업청은 점차 고도화 되어지는 군수품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모든 계약업체에 생산 전 단계에서부터 납품 후 사후관리까지 일련의 절차를 수립하여 계약 이행할 것을 요구하며, 이를 위해 국방품질경영시스템(DQMS)[1]이라 불리는 국방 분야에 특화된 품질경영시스템의 구축 및 이행을 요구하고 있다. 국방품질경영시스템이란 군수업체의 품질보증능력 향상과 정부의 효과적인 품질보증활동 수행을 위해 민수분야의 품질경영시스템인 ISO 9001[2]을 보완, 변경하여 제정된 시스템이다.
Jungsik Ahn이 품질경영시스템 발전을 위하여 제언한 다섯 가지 항목은 무엇인가? Jungsik Ahn 등[11]은 국방품질경영시스템 발전을 위해 크게 세 가지 제언을 하였는데, 첫 번째로 국방품질경영시스템을 무기체계 분야별(탄약, 항공, 함정 등)로 세분화하는 방안, 두 번째로 민수분야의 규격을 국방 분야에서 인정해 주는 방안, 세 번째로 군수산업에서 점차 납품비중이 높아지는 중소기업을 위한 품질보증 및 기술 지원을 제시하였다. 이후 논문[12]에서는 다섯 가지 제언을 하였는데, 첫 번째로는 국방품질상의 확대시행, 두번째로는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인증획득업체에 대한 인센티브 추가부여, 세 번째로는 시스템 구축을 위한 컨설팅 및 전문 인력 양성, 네 번째로는 산업 분야별 전문 규격 제정, 마지막 다섯 번째로는 인증업무 민간과 공동 수행 등이다.
방위사업청은 군수품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계약업체에 무엇을 요구하고 있는가? 중앙 조달되는 군수품에 대한 사업을 관장하는 방위사업청은 점차 고도화 되어지는 군수품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모든 계약업체에 생산 전 단계에서부터 납품 후 사후관리까지 일련의 절차를 수립하여 계약 이행할 것을 요구하며, 이를 위해 국방품질경영시스템(DQMS)[1]이라 불리는 국방 분야에 특화된 품질경영시스템의 구축 및 이행을 요구하고 있다. 국방품질경영시스템이란 군수업체의 품질보증능력 향상과 정부의 효과적인 품질보증활동 수행을 위해 민수분야의 품질경영시스템인 ISO 9001[2]을 보완, 변경하여 제정된 시스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 Quality (DTaQ), KDS 0050-9000-3, "Quality Management System Requirements", 2015.09. 

  2.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ISO), ISO-9001, Quality Management System - Requirements, 2008. 

  3. Nakgu Yang, "Deep worries in defense industry", Asia Economy, 2015.09.27 

  4. Jaechun Lee, "1 soldier per 1 day suffer from food poisoning", News1, 2015.09.01. 

  5. Yongmoon Lee, Kichung Kim, Yoonwon Seo, Jinsu Jang, "Research for the improvement of contract management for the efficient combat support acquisition system", Security Management Institute, 2012.12. 

  6. ISO/TC 176,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ISO), "Quality management systems - Particular requirements for the application of ISO 9001:2008 for automotive production and relevant service part organizations", ISO/TS 16949,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2002.03. 

  7. U.S. Government, "Quality Program Requirements", MIL-Q-9858, 1965.12.16. 

  8. Sangjin Lee, Yongsu Park, "The Effectiveness on the Certification of the Defense Quality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35(30), 100-108, 2007. 

  9. Sangbok Ree, Jaeyong Noh,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Business Performance by the Defense Quality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39(3), 444-460, 2011. 

  10. Hyunsoo Kim, Myeongsoo Kim, Jyeongki Shin, Sangsul Lee, "Performance of Defence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Analysis on Certification outcomes", Society of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spring), 2012. 

  11. Junsik Ahn, Guseung Hwang, "Research on the defense quality management system certification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ociety (fall), 2002. 

  12. Junsik Ahn, Guseung Hwang, "Research on the defense quality management system certification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society of korean industrial economic association(fall), 2008. 

  13. Department of Acquisition Policy, "Regulation of Defense Acquisition Program",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DAPA), 2014.12.23. 

  14. Regulation Reform and Legal Affairs Officer, "Standard of product manufacturing and purchase contract special terms(general and defense industry)",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DAPA), 2014.06.02. 

  15. Division of quality management and operations, "Yearbook of defense quality management system",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DTaQ), 2014.05.19. 

  16. Division of defense quality management system certification, "Status of certified Defense Quality Management System Companies",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DTaQ), 2015.06.30. 

  17. Department of Defense(DoD), "Inspection System Requirement", MIL-I-45208, 1963.12.16. 

  18. Allied Administrative Publication, "NATO Quality Management System Requirements for Aviation, Space and Defense Supplier," NATO, 2013.04. 

  19.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SAE), "Quality Management Systems - Requirements for Aviation, Space and Defense Organizations", AS 9100, 2009. 

  20. QuEST Forum, "The Telecom Quality Management System", TL 9000, 1998. 

  21.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s - Requirements for any organization in the food chain", ISO 22000, 2005. 

  22. Jaeseung Choi, "Stick to the principle",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DTaQ), 2015. 

  23. Jaeseung Choi, Sun Woo, Guchang Choi, Joowok Lee, "Truth and falsity of military supplies quality management",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DTaQ), 2012. 

  24.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BAI), "Audit and Inspection Result", http://www.alio.go.kr. Access Oct. 30, 2015. 

  25. Public Procurement Service, "Regulation of self-warranted goods", 2014-29, 2015.01.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