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 처리를 통한 아연의 산화 환원 반응을 이용한 질산성 질소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of Nitrate Nitrogen by Redox Reaction of Zinc in Acidic Atmosphere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4 no.2, 2017년, pp.217 - 224  

이수정 (창원대학교 화공시스템공학과) ,  김종화 (창원대학교 화공시스템공학과) ,  송주영 (창원대학교 화공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강산 분위기에서 아연산화 환원 반응을 통한 폐수 중 질산성 질소 제거에 관한 연구이다. 폐수에 황산($H_2SO_4$)을 첨가하여 강산 분위기를 조성한 다음, 아연과 설파믹산을 넣어주게 되면 금속 아연이 산화되고, 이온화된 질산성 질소가 환원 처리되어 제거되는 연구이다. 산화 반응은 강산 분위기일수록 반응이 잘 일어나기 때문에 pH 2.0~4.0 범위 중 pH 2.0에서 제거효율이 높았다. 설파믹산을 첨가함으로써 질산 이온을 최종 질소가스로 환원시켜 제거하는 것이 설파믹산이 존재하지 않을 때보다 $H^+$ 이온 소모량이 적기 때문에 설파믹산을 투입하는 것이 유리하였다. 같은 아연 양에 따라 설파믹산을 넣지 않은 것은 질산성 질소가 46.0% 제거되는 반면, 설파믹산을 넣게 되면 질산성 질소가 93.0% 제거된다. 본 실험에서 아연은 입자가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반응성이 다른 일반 아연 금속보다 크기 때문에 반응 후 1분 만에 제거 효율이 약 80.0% 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 study on the removal of nitrate nitrogen from wastewater by 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 of zinc in an acidic atmosphere. The optimum removal rate of nitrate nitrogen and the optimum pH were studi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zinc and sulfamic acid. The oxidation efficiency was hig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산성 질소가 포함된 폐수 처리를 위해 금속 아연 분말과 설파믹산의 제어에 따른 물리화학적 질산성 질소의 효율적인 처리에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처리 속도에 따라 칼럼을 통해 연속식 장치를 설계하여 경제적인 측면이나 기술적인 측면에서 활용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산성 질소가 포함된 폐수 처리를 위해 금속 아연 분말과 설파믹산의 제어에 따른 물리화학적 질산성 질소의 효율적인 처리에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처리 속도에 따라 칼럼을 통해 연속식 장치를 설계하여 경제적인 측면이나 기술적인 측면에서 활용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 채취한 시료들의 pH를 측정하고, NO3- , NO 2- , NH4 농도를 측정하여 질산성 질소의 환원 경향을 보고자 하였다.
  • 0 mg/ L인 2 L의 용액에 아연분말과 설파믹산을 넣게 되면 제거 되는 반응속도를 측정하고자 반응 시간을 1 min, 2 min, 3 min, 4 min, 5 min 처리 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처리액을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한 질산성 질소의 제거 효율을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중 질소 오염물은 어떤 상태로 존재하는가? 정부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수중 질소 오염 배출원을 제어하고자 하였으며, 1996년 1월 1일부터 방류수 수질기 준(수질 환경 보전법 제8조 및 동법 시행 규칙 제8조)에 질소를 추가하여 수질 1~4종 사업장에 대하여 질소와 인 배출 허용기준(청정지역: TN 3 mg/L, TP 4 mg/L, 기타지역: TN 60 mg/L, TP 8 mg/L) 규제를 시행하였으며, 2003년 1월 1일부터는 전국의 수질 1~5종 전 배출업소로 규제대상을 확대 시행하고 있다. 수중 질소 오염물은 암모니아성 질소, 아질산성 질소 및 질산성 질소의 상태로 존재한다. 그 중 질산성 질소는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있어 여과 같은 재래식 수처리 기술들을 사용해서 제거하는 것이 어렵다 [3].
차아염소산을 투입했을 때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8에서 보듯이 오히려 증가하였다. 차아염소산 처리는 암모니아성 질소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효과적이나 질산성 질소 제거에는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는 기술로는 무엇이 있는가? 그 중 질산성 질소는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있어 여과 같은 재래식 수처리 기술들을 사용해서 제거하는 것이 어렵다 [3].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에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현재 제거하는 기술로는 이온교환법, 생물학적 탈질법, 역삼투법, 전기투 석법, 화학적 탈질법, 촉매 탈질법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과 관련된 연구 결과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4]. 그러나 이를 처리 효율과 경제성이 뛰어난 현실적인 물리·화학적 질소 제거 기술이 개발 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개발이 시급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 M. Lee and W. H. Yoon, Characteristics of nitrate nitrogen and phosphate removals by alumina c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12(1), 35 (2012). 

  2. S. J. Kwon, A study on the Removal of Nitrate from a Groundwater by Electrolysis, Younam University Master of Science Dissertation, (2006). 

  3. B. U. Bae, Application of Ion Exchange Process for Removing Nitrate from Groundwater,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11(2), 149 (2000). 

  4. Anoop Kapoor and T. Viraraghavan, Nitrate Removal From Drinking Water - Review,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123(4), 371 (1997). 

  5. M. S. Kim, B. S. Kim, E. Y. Kim, S. K. Kim, and J. C. Lee, Recovery of Platinum group metals from the leach solution of spent automotive catalysts by cementation, Journal of Korean Inst. of Resources Recycling, 20(4), 36 (2011). 

  6. K. W. Kim, E. H. Lee, I. K. Choi, J. H. Yoo, and H. S. Park, A study on electrochemical redox behavior of nitric acid by using a glassy carbon fiber column electrode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hemical Engineers, 38(2), 149 (2000). 

  7. S. H. Kim, S. Y. Mun, and S. G. Park, Improvement of metal-plating waste treatment,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22, 23 (1999). 

  8. S. I. Kim, A study on removal characteristic of ammonia nitrogen and behavior of nitrogen in synthetic wastewater using Leclercia adecarboxylata, Seoul National University Master of Science Dissertation, (2004). 

  9. H. H. Lee and C. G. Phae, Removal characteristic of ammonia nitrogen and behavior of nitrogen in synthetic wastewater using leclercia adecarboxylat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9(4), 460 (2007). 

  10. Marcelo G, Rafael Marinho Soares, Renata Rodrigues de Moura, and Vinicius de Freitas Granjao, Sulfamic acid: An efficient acid catalyst for esterification of FFA, M.G. Montes D'Oca et al., 97, 884 (2012). 

  11. S. J. Park and S. H. Lee, A study on the biological treatment of acid pickling wastewater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nitrate nitrog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1(3), 253 (2015). 

  12. S. Y. Min, S. M. Lee, Y. G. Chae, Sanjeev Maken, T. H. Kwak, J. W. Park, and J. H. Jang, A study on the denitrification of high strength industrial wastewater with zinc scrap and sulfamic aci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7, 958 (2005). 

  13. J. H. Jun, Nitrate removal using zero-valent iron and zeolite, Inje University Master of Science Dissertation, (2016). 

  14. Y. J. Lee, Nitrate removal by electrolysis metho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aster of Science Dissertation, (2010). 

  15. Y. K. Yun, Y. J. Park, S. H. Oh, W. S. Shin, S. J. Choi, and S. K. Ryu, Removal of nitrate-nitrogen in pickling acid wastewater from stainless steel industry using electrodialysis and ion exchange resin,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8(6), 645 (2009). 

  16. K. Y. Kim, D. G. Kim, K. Y. Park, Y. J. Kim, and H. J. Kim, Electrochemical denitrification of nitrate on various current dens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Wastewater, 27, 289 (2015). 

  17. C. C. Kim, Removal of ammonium and nitrate nitrogens from wastewater using zeolite, Journal of the Korean Organic Recycling Association, 24(1), 59 (2016). 

  18. B. U. Bae, Application of ion exchange process for removing nitrate from groundwater,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11(2), 149 (2000). 

  19. D. Y. Shin, H. S. Moon, J. Y. Kim ,and K. P. Nam, Microbial adaptation in a nitrate removal column reactor using sulfur- based autotrophic denitrifi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1(2), 38 (2006). 

  20. Shiota. K, Matsunaga. H, and Miyake. A, Effects of amino acids on solid-state phase transition of ammonium nitrate, Journal of Thermal Analysis and Calorimetry, 127(1), 851 (2017). 

  21. S. J. Lee, J. H. Kim, and J. Y. Song, A study on the treatment of heavy metal in wastewater by redox reaction of Cu-Zn metal alloy and adsorption of Al-silicate. J. of Korean Oil Chemistry Soc., 33(3) 441,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