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자(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 껍질 용매 별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저해 및 질소산화물 소거능
Evaluation of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and Nitrogen Oxide Scavenging Activity from Peel of 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 Extracted by Various Solvents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4 no.2, 2017년, pp.244 - 253  

진동혁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오다영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헌식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영근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성종환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한수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치자 껍질의 70% methanol, ethyl acetate (EA) 및 distilled water (DW)의 용매 별 추출물의 total phenol 함량 및 질소 산화물 소거능, 환원력, ${\beta}$-carotene 탈색을 이용한 항산화력 및 지질과 산화 저해능 측정을 통하여 치자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검토한 결과, anthocyanin 함량은 $3.519{\pm}0.635mg/100g\;DW$로 나타났으며, 용매 별 추출 수율은 DW (39.87%), 70% methanol (36.26%), EA (2.88%)로 관찰되었다. 추출 용매 별 항산화 활성은 농도(0.2, 0.4, 0.6 mg/mL)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ontrol로 사용된 ascorbic acid, BHA, trolox 보다는 낮은 활성이 확인되었다. 치자 껍질의 total phenol 함량은 EA, 70% methanol, DW 추출물 순으로 EA 추출물에서 $26.59{\pm}0.20CAE$ (caffeic acid equivalents)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Nitric oxide (NO) radical 소거능에서는 70% methanol (70.32~76.15%), DW (52.66~59.31%), EA (34.65~46.98%)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Nitrite ($NO_2$) 소거능은 70% methanol (34.57~39.33%), DW (32.53~38.47%), EA (27.59~32.62%) 순으로 관찰되었다. ${\beta}$-carotene 탈색 저해능은 DW (41.55~50.97%), 70% methanol (23.37~44.80%), EA (13.37~25.24%) 순으로 동정되었다. Reducing power (optical density)는 70% methanol (0.044~0.127), DW (0.033~0.099), EA (0.026~0.097) 순으로 확인되었다. 지질과산화 저해능은 껍질 추출물 중 70% methanol (56.51~76.21%), EA (54.59~63.34%), DW (47.92~61.11%) 순으로 관찰되었다(p<0.05). 이에, 치자 껍질은 기능성 식품 및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io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eel from 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 (GJE). We were separated into GJE peel. After that, we determined anthocyanin. GJE peel were extracted by 70% methanol, distilled water (DW) and ethyl acetate (EA) thre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치자 껍질의 anthocyanin 함량을 측정하고 70% methanol, distilled water (DW) 및 ethyl acetate (EA)의 용매 별로 추출하여 total phenol 함량을 측정한 뒤 질소산화물 소거능(nitric oxide scavenging activity, nitrite scavenging activity), 항산화능(antioxidant activity by β-carotene bleaching assay), 환원력(reducing power), 지질과산화 저해(lipid peroxidation inhibition)를 측정하여 추출 용매에 따른 생리활성을 비교하여 생활습관병 예방과 건강기능 식품 개발의 목적으로 이들의 소비 효율성을 높이고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함으로써 고부가 가치의 천연 항산화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치자 껍질의 anthocyanin 함량을 알아보고 70% methanol, ethyl acetate (EA) 및 distilled water (DW)의 3가지 용매를 사용한 추출물의 용매 별 total phenol 함량 및 질소 산화물 소거능, 환원력, β-carotene 탈색을 이용한 항산화력 및 지질과산화 저해능 측정을 통하여 치자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검토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자는 무엇인가? 식물체의 경우 2차 대사산물의 방어체계, 효소와 같은 보호 기전이 발달되어 있어서 식물체에서 항산화 물질을 탐색,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한다[6]. 치자는 꼭두서니과(Rubiaceae)에 속하는 치자나무(Gardenia jasminoides Ellis)의 열매로 국내를 비롯한 중국, 일본, 대만 등의 기온이 따뜻한 지역에 자생하고 있다. 치자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은 수용성 carotenoids인 crocin으로 알려져 있으며, crocin과 그 대사산물인 crocetin이 동물 실험에서 췌장의 lipase 활성을 억제하여 지질 흡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고지방 식이로 인한 고지혈증(hyperlipidemia) 등을 개선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7].
치자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은 무엇인가? 치자는 꼭두서니과(Rubiaceae)에 속하는 치자나무(Gardenia jasminoides Ellis)의 열매로 국내를 비롯한 중국, 일본, 대만 등의 기온이 따뜻한 지역에 자생하고 있다. 치자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은 수용성 carotenoids인 crocin으로 알려져 있으며, crocin과 그 대사산물인 crocetin이 동물 실험에서 췌장의 lipase 활성을 억제하여 지질 흡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고지방 식이로 인한 고지혈증(hyperlipidemia) 등을 개선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7]. 따라서, 본 연구는 치자 껍질의 anthocyanin 함량을 측정하고 70% methanol, distilled water (DW) 및 ethyl acetate (EA)의 용매 별로 추출하여 total phenol 함량을 측정한 뒤 질소산화물 소거능(nitric oxide scavenging activity, nitrite scavenging activity), 항산화능(antioxidant activity by β-carotene bleaching assay), 환원력(reducing power), 지질과산화 저해(lipid peroxidation inhibition)를 측정하여 추출 용매에 따른 생리활성을 비교하여 생활습관병 예방과 건강기능 식품 개발의 목적으로 이들의 소비 효율성을 높이고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함으로써 고부가 가치의 천연 항산화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free radical을 가진 ROS와 RNS는 신체에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가? 산화질소합성효소에 의해 생성되는 reactive nitrogen species (RNS)는 nitric oxide (NO•), nitrite (NO2-), peroxynitrite (ONOO-)를 형성하여 이러한 free radical을 가진 물질은 불안정하고 홀수 전자를 가지므로 반응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Reactive oxygen species (ROS)와 RNS는 그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전자를 포착하여 다른 화합물과 신속히 반응하기 때문에 지질 과산화 및 연쇄 반응을 개시하여 여러 산화생성물들을 생성하여 암을 유발하고 노화와 관련하여 생리적 기능 장애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5]. 식물체의 경우 2차 대사산물의 방어체계, 효소와 같은 보호 기전이 발달되어 있어서 식물체에서 항산화 물질을 탐색,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J. Kearney, "Food consumption trends and drivers", Philosoph. Transact. Royal Soc. B: Biol. Sci., Vol.365, No.1554 pp.2793-2807 (2010). 

  2. K. Menrad, "Market and marketing of functional food in Europe", J. Food Eng., Vol.56, No.2 pp.181-188 (2003). 

  3. B. Halliwell, J. M. Gutteridge and C. E. Cross,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human disease: where are we now?", J. Lab. Clinic. Med., Vol.119, No.6 pp.598-620 (1992). 

  4. N. Hogg, V. M. Darley-Usmar, M. T. Wilson and S. Moncada, "Production of hydroxyl radicals from the simultaneous generation of superoxide and nitric oxide". Biochemical Journal, Vol.281, No.2 pp.419-424 (1992). 

  5. J. S. Hwang, B. H. Lee, X. An, H. R. Jeong, Y. E. Kim, I. Lee, H. Lee and D. O. Kim,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and antioxidant capacity in the leaves, bulbs, and roots of Allium hookeri",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47, No.2 pp.261-266 (2015). 

  6. H. O. Edeoga, D. E. Okwu and B. O. Mbaebie,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some Nigerian medicinal plants", African J. Biotechnol., Vol.4, No.7 pp.685-688 (2005). 

  7. I. A. Lee, J. H. Lee, N. I. Baek and D. H. Kim,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crocin isolated from the fructus of Gardenia jasminoides and its metabolite crocetin", Biol. Pharm. Bull., Vol.28, No.11 pp.2106-2110 (2005). 

  8. D. H. Jin, H. S. Kim, J. H. Seong and H. S. Chung, "Comparison of total pheno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extracts", J. Environ. Sci. Int., Vol.25, No.5 pp.695-703 (2016). 

  9. T. Fuleki and F. J. Francis, "Quantitative methods for anthocyanins", J. Food Sci., Vol.33, No.3 pp.266-274 (1968). 

  10. T. Sun and C. T. Ho, "Antioxidant activities of buckwheat extracts", Food Chem., Vol.90, No.4 pp.743-749 (2005). 

  11. M. N. A. Rao, "Nitric oxide scavenging by curcuminoids", J. Pharm. Pharmacol., Vol.49, No.1 pp.105-107 (1997). 

  12. J. A. Lim, Y. S. Na and S. H. Baek,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ethanol extract from Phyllostachys bambusoide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36, No.2 pp.306-310 (2004). 

  13. S. Kato, H. Aoshima, Y. Saitoh and N. Miwa, "Highly hydroxylated or $\gamma$ -cyclodextrin-bicapped water-soluble derivative of fullerene: The antioxidant ability assessed by electron spin resonance method and $\beta$ -carotene bleaching assay", Bioorg. Med. Chem. Lett., Vol.19, No.18 pp.5293-5296 (2009). 

  14. M. Singhal, A. Paul and H. P. Singh, "Synthesis and reducing power assay of methyl semicarbazone derivatives", J. Saudi Chem. Soc., Vol.18, No.2 pp.121-127 (2014). 

  15. N. Siriwardhana, K. W. Lee, Y. J. Jeon, S. H. Kim and J. W. Haw, "Antioxidant activity of Hizikia fusiformis on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Food Sci. Technol. Int., Vol.9, No.5 pp.339-346 (2003). 

  16. T. A. Holton and E. C. Cornish, "Genetics and biochemistry of anthocyanin biosynthesis", The Plant Cell, Vol.7, No.7 pp.1071 (1995). 

  17. Z. Lin, J. Fischer and L. Wicker, "Intermolecular binding of blueberry pectin-rich fractions and anthocyanin", Food Chem., Vol.194, pp.986-993 (2016). 

  18. A. Sgambato, R. Ardito, B. Faraglia, A. Boninsegna, F. I. Wolf and A. Cittadini, "Resveratrol, a natural phenolic compound, inhibits cell proliferation and prevents oxidative DNA damage", Mutat. Res. Genet. Toxicol. Environ. Mutagen., Vol.496, No.1 pp.171-180 (2001). 

  19. Y. Cai, Q. Luo, M. Sun and H. Corke,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of 112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plants associated with anticancer", Life Sci., Vol.74, No.17 pp.2157-2184 (2004). 

  20. R. Re,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ice-Evans,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Vol.26, No.9 pp.1231-1237 (1999). 

  21. S. R. M. J. Moncada, R. M. L. Palmer and E. Higgs, "Nitric oxide: physiology, pathophysiology, and pharmacology", Pharmacol. Rev., Vol.43, No.2 pp.109-142 (1991). 

  22. S. H. Snyder and D. S. Bredt, "Biological roles of nitric oxide", Sci. American, Vol.266, No.5 pp.68-77 (1992). 

  23. H. Moshage, B. Kok, J. R., Huizenga and P. L. Jansen, "Nitrite and nitrate determinations in plasma: a critical evaluation", Clin. Chem., Vol.41, No.6 pp.892-896 (1995). 

  24. D. Pastore, D. Trono, L. Padalino, S. Simone, D. Valenti, N. Di Fonzo and S. Passarella, "Inhibition by $\alpha$ -tocopherol and L-ascorbate of linoleate hydroperoxidation and ${\beta}$ -carotene bleaching activities in durum wheat semolina", J. Cereal Sci., Vol.31, No.1 pp.41-54 (2000). 

  25. M. Senevirathne, S. H. Kim, N. Siriwardhana, J. H. Ha, K. W. Lee and Y. J. Jeon, "Antioxidant potential of ecklonia cavaon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metal chelating, reducing power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Food Sci. Technol. Int., Vol.12, No.1 pp.27-38 (2006). 

  26. O. Firuzi, A. Lacanna, R. Petrucci, G. Marrosu and L. Saso,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by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ssay and cyclic voltammetry", Biochim. Biophys. Acta-Gen. Subj., Vol.1721, No.1 pp.174-184 (2005). 

  27. E. N. Frankel, "Lipid oxidation", Prog. Lipid Res., Vol.19, No.1 pp.1-22 (1980). 

  28. Y. Yamamoto, M. H. Brodsky, J. C. Baker and B. N. Ames,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pid hydroperoxides at picomole level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 Biochem., Vol.160, No.1 pp.7-13 (1987). 

  29. H. Esterbauer, "Cytotoxicity and genotoxicity of lipid-oxidation products", American J. Clin. Nutr., Vol.57, No.5 pp.779S-785S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