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의료시설 병동부의 시대적 변천과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Chronological Study on the Transformation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Inpatient Care Facilities in the United States 원문보기

의료·복지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23 no.3, 2017년, pp.57 - 69  

이수경 (Department of architecture, Chung-ang University) ,  최윤경 (Department of architecture, Chung-ang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interrelation between healthcare policies, design standards and hospital architecture of the United States since 1950s; to examine spatial characteristics of inpatient care facilities through case studies; and to consider the social implication of these spati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80년대 DRG 등의 미국의 의료개혁은 미국식 의료체계를 정착시키는 데는 성공하였으나 의료질의 향상과 비용을 통제하는데 거듭 실패함으로써 정부는 다시 의료보험구매 연합기구17)를 신설하여 건강유지기구(HMOs)와 민간보험 간의 경쟁체제를 통하여 의료비절감 및 확대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의료시장에서 보험 공급자들 간의 상호경쟁은 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가격상승과 보험회사들의 저소득계층 및 건강취약계층에 대한 보험가입제한이라는 역효과를 불러왔다.
  • 앞서 다루어진 병동부와 또 다른 큰 변화로서 병동부 안에 환자가족을 위한 실들이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nursing pod에는 작은 차트 구역과 약품, 물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계획하여 간호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미국 병동부의 이러한 공간적 변화가 가능할 수 있었던 이유는 시장경제체제 하에 있는 미국의 의료체계가 수요를 창출해내고 이를 통하여 수익을 얻어야하기 때문에 병원운영자들이 선행 연구들을 통하여 의료시설이 비용절감효과와 의료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인지하고 의료시설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있었기 때문이다. 다음 장에서 이러한 의료정책, 설계기준과 병동계획 간의 상관관계가 실제 병동부의 공간구조 안에서는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지를 구체적인 사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는 다른 의료이념과 의료제도를 가지고 있는 미국 의료시설의 병동부중심으로 의료정책과 설계기준들을 연대기적으로 비교분석하여 그 상관관계를 재조명하고 이에 기초하여 병동부의 공간적 특성들을 살펴봄으로써 공간구조의 변화가 가지는 사회적 의미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 또한 방문자를 위한 동선과 환자 ·의료진 · 서비스동선을 완전히 분리시킴으로써 병원 내의 감염을 통제하고자 하였다.
  • 이 시기의 건축유형은 증축과 확장이 용이한 post podium유형이 주류를 이루고 이러한 계획은 간호업무의 능률성을 향상시켰으며 단순한 동선계획으로 병원 공간구조의 효율성을 높여주었다. 또한 병동계획 시 의료진들의 이동거리를 고려하여 평균이동거리, 병실과 간호코어간의 거리, 병실들 간의 거리 등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1973년 관리의료(HMOs)의 도입이후부터 병실구성은 2인실에서 1인실로 전환되어 실제적으로 전체병원의 병상수는 1/5로 급감하게 되었다22).
  • 본 장에서는 1950년대 이후 미국 병동부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서 앞서 다루어진 의료정책들과 설계기준들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Table 1). 또한 병동부 공간구조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선정된 사례들을 간략하게 언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미국의 의료이념, 의료정책, 설계기준, 병동부 공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병동부 내에서 환자들의’위치‘와 의료진과의 관계를 통하여 ’의료이념‘과 ’의료정책‘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병동부의 공간구조 안에서 표출되는 지를 살펴보았다.
  • 또한 병원건축이 의료제도와 정책의 부산물이 아닌 실제적인 정책 수행요소이자 정책의 성패를 결정하는 요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점은 의료정책의 변화가 실제 미국 병동부 공간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었던 계기이다. 이와 같은 변화가 가능할 수 있었던 원인으로 첫 번째, 이를 위한 산학협력 하에서의 선행연구들의 중요성에 대하여 언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1950년대 이후 미국의 의료이념과 의료정책, 의료시설 설계기준5), 병동부의 역사를 간략하게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의료정책과 설계기준의 변화시기별로 각 1개씩 총 5개의 병동부 사례들을 선정하여 그 상관관계와 공간적 특성들을 살펴보고자 한다.6) 본 연구에서는 병동부 공간들 간의 관계와 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의 위상연계도(Spatial map)7)을 부분적으로 사용하였다.
  • 사례선정을 위하여 앞에서 언급되었던 의료정책과 설계기준의 변화과정들을 바탕으로 하여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90년대, 2000년대로 나누고 문헌을 통해서 다루어진 사례들 중에서 비교적 보편적인 사례들로 각 시기별로 1개씩 총 5개 병원의 병동부를 선정하였다 (Table 2). 본 연구에서는 일반성인병동에 국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 본 장에서는 선정사례들을 Space Syntax의 위상연계도(Spatial Map)를 이용하여 분석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각 시기별 병동부가 가진 공간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절에서 의료정책과 설계기준의 변화과정에 준하여 1950년대, 1960년대, 1980-90년대, 현재로 나누어 미국 병동 부의 디자인경향을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 이후, 1998년 병원 및 기타 의료 시설 설계 및 건설을 위한 지침을 만드는 비영리기관인FGI(Facility Guidelines Institute)가 설립되면서 이후 모든 의료관련시설에 대한 설계기준을 관할하고 있다. 본 절에서는 병동부관련 설계기준으로 한정하여 앞에서 언급되었던 의료정책들과 비교분석하여 그 연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처럼 병동부의 설계기준은 의료정책이 지향하는 방향에 따라 이에 순응하면서 변화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실제 병동부 내부공간의 변화로 이어졌을 것으로 보고 다음 장에서 이러한 의료정책과 설계기준의 변화가 병동부 공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점은 의료정책의 변화가 실제 미국 병동부 공간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었던 계기이다. 이와 같은 변화가 가능할 수 있었던 원인으로 첫 번째, 이를 위한 산학협력 하에서의 선행연구들의 중요성에 대하여 언급하고자 한다. 미국 병동부 공간의 변화과정들을 살펴보면 의료정책이나 의료시설 설계기준의 변화에 따라 수동적으로 병원 공간이 변화되어온 것이 아니라 실제적인 연구들을 통하여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왔음을 알 수 있었다.
  • 현재까지 미국 의료정책의 주요방향은 크게 의료비용의 절감, 양질의 의료서비스제공, 의료 접근성 향상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미국 병원건축의 변천과정에 크게 영향을 미친 의료정책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하나의 건물이 여러 층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계단이나 승강기 등을 연결공간으로 가정하여 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나 본 연구에서는 한 개의 층만을 선정하였으며 대부분의 환자, 의료진, 방문객 등이 승강기를 통해 병동부로 진입이 이루어진다고 가정하고 병동부 승강기를 기점으로 하여 ‘0’으로 시작하는 공간은 병원의 1층 승강기 홀로 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계단실은 비상시에만 사용되는 공간으로 가정하고 수직동선이 아닌 하나의 단위공간으로 지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좀 깊이있는 공간분석을 위하여 위상위계도를 이용하여 동선체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2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라 별 의료이념과 의료정책은 어떠한가? 그러나 이러한 거시적인 변화의 틀 안에서 국가별 의료 환경들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각기 다른 의료이념과 의료정책을 가지고 조금씩 다른 양상을 가지고발전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영국, 독일 등에서는 의료를 필요도(need)를 기준으로 한 정부통제 하의 공공재로 보는 견해가 큰 반면에, 미국은 수요(demand)3)를 기준으로 한 일반재화로 보는 견해가 큰 편이다(Lee, 2007; Jung, 2011). 또한, 의료를 공공재로 보는 국가들에서는 정부통제에 의한 의료의 생산과 분배가 이루어지는 반면, 의료를 일반재화로 보는 미국의 경우에서는 자유주의에 입각한 시장경제에 의한 생산과 분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병원건축은 무엇에 대한 상징인가? 병원건축은 그 시대의 의료이념1)과 정책에 대한 가시적 상징2)이다. 병원은 18, 19세기에 들어서면서 폭발적인 의학 기술의 발전과 의료의 사회제도화를 통하여 이전의 가난하고 병든 환자들을 위한 격리수용시설에서 오늘날 현대적인 의료시설로 변모하게 된다.
의료를 공공재로 보는 국가와 일반재화로 보는 국가에서의 차이는? 우리나라, 영국, 독일 등에서는 의료를 필요도(need)를 기준으로 한 정부통제 하의 공공재로 보는 견해가 큰 반면에, 미국은 수요(demand)3)를 기준으로 한 일반재화로 보는 견해가 큰 편이다(Lee, 2007; Jung, 2011). 또한, 의료를 공공재로 보는 국가들에서는 정부통제에 의한 의료의 생산과 분배가 이루어지는 반면, 의료를 일반재화로 보는 미국의 경우에서는 자유주의에 입각한 시장경제에 의한 생산과 분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건축적 특성을 살펴보면 대부분 국가들에서는 1인 병실(Private room)과 다인 병실(2인실, 3인실, 4인실)이 혼용된 유형을 추구하는 반면, 개인주의를 중시하는 미국은 신축되는 모든 병실을 1인병실로 계획하도록 규정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oi, CH, 2012, "The Transformation and reform of American health policy since 1960s" History & culture studies 42: 213-248. 

  2. Choi, YK. 2003, "Social and architectural space(read with 7 keywords)", Spacetime. 

  3. Facility Guidelines Institute, 2014, "Guidelines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health care facilities(2014th edition)", the American Hospital Association. 

  4. Ginzberg, E, 1998, "Tomorrow's hospital: a look to the twenty-first century", Yale University Press. 

  5. Hamilton, K., 1993, "Unit 2000: Patient beds for the future." Houston, Watkins Carter Hamilton Architects. 

  6. Hiatt, H, "Medical lifeboat : will there be room for you in the health care system", 1994., Nanam. 

  7. Jung, YH, 2008, "미국의 의료개혁과 시사점." 국제노동브리프 6.5, p 20-35. 

  8. Kim, CY, 2003, "상업주의 의료의 천국- 미국 보건의료시스템의 구조와 병폐". 

  9. King, Anthony D., ed, 2003, "Buildings and society: Essays on the social development of the built environment", Routledge. 

  10. Kobus, R. L. & Kim, 2014, "Building type basics for healthcare facilities", Kimoondang 

  11. Lee, KS, 2007, " Ideology and reality of Health policy",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17.3 

  12. Markus, T, 2006, "Buildings & power: Freedom and control in the origin of modern building types", Spacetime. 

  13. Starr, P,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American Medicine", 1994., MungKyung. 

  14. The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Guidelines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health care facilities(2001 edition)",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Press. 

  15. Thompson, J., and Goldin, G., 1975, "The hospital: A social and architectural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16. United States, Public Health Service, 1962, "Planning the Patient Care Unit in the General Hospital", US Public Health Service. 

  17. United States, 1960, "General standards of construction and equipment: general hospitals", U.S. Dep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18. United States, 1962, "General standards of construction and equipment", Washington. 

  19. United States, 1969, "General standards of construction and equipment for hospital and medical facilities[Rev.]", Silver Spring, Md. 

  20. United States, 1974, "Minimum requirements of construction & equipment: for hospital & medical facilities", Rockville, Md.: The Division. 

  21. United States, 1984, "Guidelines for construction and equipment of hospital and medical facilities", Washington: Government Printing Office. 

  22. United States & AIA Academy of Architecture for Health, 1996, "Guidelines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hospital and health care facilities (1996-97ed)",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Press. 

  23. United States &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1993, "Guidelines for construction and equipment of hospitals and medical facilities(1992-93ed)",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Press, Washington, D.C 

  24. US Public Health Service, 1946, "Elements of the general hospital", Hospitals 20, HOSPITAL FACILITIES SECTION. 

  25. Verderber, S., 2010, "Innovations in hospital architecture", Routledge. 

  26. Verderber, S., & Fine, D. J, 2000, "Healthcare architecture in an era of radical transformation", Yal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