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병원 기반 조기 집중 중재 실태 조사
A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Based Early Intensive Intervention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in South Korea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8 no.4, 2017년, pp.213 - 219  

이주영 (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문덕수 (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신석호 (신석호 소아청소년 정신과) ,  유희정 (서울대학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변희정 (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서동수 (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정신건강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Early intensive interventions are very important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e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s of hospital-based early intensive intervention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in Seoul, in order to help develop and implement an evidence-based early intensiv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을 위한 조기 집중 중재 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조기 집중 중재의 특성을 알 수 있었다. 현재 병원 기반 조기 집중 중재 프로그램은 대체적으로 근거 중심 치료에 입각하여 다학제적 접근과 주 20시간 이상의 치료 집중도를 가지고 있었다.
  • 이에 본 연구는 근거중심의 조기 집중 중재 모델을 개발하고 보급하는데 그 기초가 되는 선행작업을 위해, 치료 기관이 집중되어 있는 서울 지역에서 병원 기반 조기 집중 중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기관의 치료 구성 및 실태를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조기 집중 중재’라는 용어에서 제시하는 것처럼 조기 집중 중재는 세 가지 요소, 즉 1) 치료의 시작 시점, 2) 치료의 강도, 3) 사용되는 중재방법이 성격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 먼저,조사 결과의 치료 시작 시점은 만 2세에서 3세로, 통상적인 치료 권고안의 내용에 부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치료 표준은? 나이가 들어서 치료 중재를 하는 것보다 조기에 중재를 할수록 그 효과가 좋고 오래 지속된다는 보고들이 많다.3-6) 따라서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조기에 발견하여 진단하고 조기에 집중적인 치료적 중재를 하는 것이 현재까지는 치료 표준으로 제시되고 있다.
미국 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의 의사소통 치료 접근의 권고안은? 행동 치료적 접근은 응용행동분석(applied behavioral analysis, ABA)을 기본으로 한 조기 집중 행동 중재(early intensive behavioral intervention)를 개별적, 집중적으로 시행할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 나아가 일상 생활과 학습, 상호 의사소통, 사회 기술, 직업 기술에까지 확장하여 적용된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의사소통 치료 접근은 언어 재활사가 함께 개입하여 언어적 의사소통이 되지 않을 경우 대체 의사소통 수단을 이용하여 의사소통을 촉진할 수 있도록 권고한다. 교육적 치료 접근은 행동치료적 접근처럼 매우 구조화된, 개별 수준에 적합한 집중적인 개입을 가족을 포함한 팀으로 시행하도록 권고한다.
자폐스펙트럼장애으로 인한 증상은? 자폐스펙트럼장애는, 2013년에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text revision (DSM-IV-TR)에서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DSM-5)으로 정신과 진단 체계의 대대적 변환이 있으면서 진단 기준이 바뀌었다. 3세 이전이라는 명확한 나이 기준이 발달 초기에 발생이라는 좀 더 모호한 나이 기준으로 바뀌긴 하였으나, 어려서부터 시작되어 대부분의 환자가 일생에 걸쳐 오랫동안 그 증상이 지속되는 발달상의 질환임은 여전하며,1,2) 사회적 상호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관심 및 행동이상을 보인다는 점은 공통으로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13. 

  2. Volkmar F, Siegel M, Woodbury-Smith M, King B, McCracken J, State M;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ACAP) Committee on Quality Issues (CQI). Practice parameter for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4; 53:237-257. 

  3. McEachin JJ, Smith T, Lovaas OI. Long-term outcome for children with autism who received early intensive behavioral treatment. Am J Ment Retard 1993;97:359-372; discussion 373-391. 

  4. Sallows GO, Graupner TD. Intensive behavioral treatment for children with autism: four-year outcome and predictors. Am J Ment Retard 2005;110:417-438. 

  5. Tonge BJ, Bull K, Brereton A, Wilson R. A review of evidence-based early intervention for behavioural problem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core components of effective programs, childfocused interventions and comprehensive treatment models. Curr Opin Psychiatry 2014;27:158-165. 

  6. Zwaigenbaum L, Bauman ML, Choueiri R, Kasari C, Carter A, Granpeesheh D, et al. Early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under 3 years of age: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nd research. Pediatrics 2015;136 Suppl 1:S60-S81. 

  7. Koo YJ, Cho HJ, Yoo HJ, Yoo HI, Son JW, Chung Us, et al. The Korean practice parameter for the treatment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7;18:117-122. 

  8. Hong KE. Korean textbook of child psychiatry. Seoul: Hakjisa;2014. p.145-162 

  9. Kim SH, Lee YH, Hwang JH, Oh MA, Lee MK, Lee NH, et al. 2014 survey on disabled. Sejong: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2014. 

  10. Yoon HS. Early recognition of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by parents. J Korean Assoc Pers Autism 2006;16:1-15. 

  11. Maglione MA, Gans D, Das L, Timbie J, Kasari C; Technical Expert Panel; HRSA Autism Intervention Research-Behavioral (AIR-B) Network. Nonmedical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SD: recommended guidelines and further research needs. Pediatrics 2012;130 Suppl 2:S169-S178. 

  12. Yang MB, Shin SH. Autism spectrum disorder A to Z. Seoul: Sigmapress; 2011. 

  13. Developmental Disabilities Monitoring Network Surveillance Year 2010 Principal Investigator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Prevalence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mong children aged 8 years - autism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monitoring network, 11 sites, United States, 2010. MMWR Surveill Summ 2014;63:1-21. 

  14. Perreault S, Croteau C, Mottron L, Tarride J, Dorais M. Psychiatric healthcare utilization and related costs in newly diagnosed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in Quebec (Canada). Value Health 2015;18:A746-A747. 

  15. Parish SL, Thomas KC, Williams CS, Crossman MK. Autism and families' financial burden: the association with health insurance coverage. Am J Intellect Dev Disabil 2015;120:166-175. 

  16. KM Kim, IC Choi, SB Lee, KK Lee, KC Paik, JY Lee, et al. Use of various treatment modalitie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mental retardation.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4; 25:73-81.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Research of developmental disabled people's rehabilitation and medical support system construction;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