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의 효과적인 조기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n Effect of Comprehensive Early Intervention for Pre-school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 신경재활치료과학, v.7 no.3, 2018년, pp.9 - 21  

정병록 ((주)지닌 컨설팅)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국외 학술지를 대상으로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아동들을 대상으로 사용되는 조기 중재 방법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2017년 12월 이전까지의 국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Pubmed를 통하여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로는 'autism',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high function autism', 'high function ASD', 'Asperger syndrome',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PDDNOS', 'intervention'과 'early intervention'를 사용하였다. 최초 검색된 논문은 724편이었으나 포함 및 배제기준을 적용하여 최종 10편의 연구가 선정되었다. 결과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조기 중재는 10편의 선정된 연구 중에서 8편의 연구가 응용행동분석에 기초한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다른 2편의 연구들은 감각 통합적 접근과 테크놀로지에 기반을 둔 중재접근을 사용하였다. 대부분의 연구가 조기 중재로 의사소통기술과 사회적 상호작용기술, 지능, 적응 행동의 증가, 동시집중력의 향상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조기 중재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며, 향후 국내 연구에서 효과적인 조기 중재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ystematic review aimed to evaluate the global literature on the effect of early intervention for preschool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Methods : A literature search of the PubMed database identified 10 studies published up to December 2017, using the following s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6세 이하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에 대한 중재 효과의 체계적 고찰을 통해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조기 중재를 시행한 연구들의 연구설계 및 조기 중재 접근법에 대한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의 조기 중재는 신경학적 관점에서 뇌 가소성이 가장 활발한 시기인 발달 초기에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기에 최대한 낮은 연령의 아동들에게 조기 중재를 적용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들의 효과적인 조기 중재를 적용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들에 대하여 체계적 고찰을 시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조기 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6세 이하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치료한 연구들을 체계적 고찰을 통해 대상자의 특성과 중재 방법 및 효과를 확인하는 측정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 또한, 기존의 고찰 연구들은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들의 나이가 3세에서 시작해서 12세까지 다양한 연령대를 포함하고 있어서, 조기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는 데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French & Kennedy, 2018).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조기 중재 관련 국외연구 결과를 통합하고 연구 경향을 파악하여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들의 효과적인 조기 중재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 기존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조기 중재에 관한 고찰 연구들에서는 연령에 대한 기준보다는 특정한 중재 기법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Nevill, Lecavalier, & Stratis, 2016; Ryberg, 2015;Virues-Ortega, 2010; Waddington, van derMeer, & Sigafoos, 2016).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기 중재의 효과 검증을 위해 기존 연구들에서 평균적으로 사용이 되었던 6세를 기준으로 하여 6세 이하를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만을 포함기준으로 하여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평균 연령이 가장 낮은 연구는 평균 연령이 23.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의 사회적 의사소통기술 향상을 위한 대표적인 앱으로는 Fletcher-Watson 등(2013)에 의해 개발된‘FineMe’ 앱이 있다. 해당 앱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이 시각적 자극에 강한 호기심을 가지는 점을 적용하여 게임을 통해 사회적 의사소통기술을 향상하게 시키기 위해 개발되었다. 아동들은 게임을 통한 보상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애니메이션을 제공받게 되므로 긍정적 행동을 지속해서 유지하게 된다(Fletcher-Watson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들의 조기 중재 효과의 지속성에 대한 선행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들의 조기 중재 효과의 지속성은 다양한 연구들에서 입증이 되고 있다(French & Kennedy, 2017). Green 등(2017)의 연구에 따르면 가족력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ASD)의 고위험요인을 가지고 있는 2세의 아동을 대상으로 예방적 관점에서의 부모 매개 중재(parent-mediated intervention)를 하였을 때, 그 효과가 3년 동안 지속이 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조기 선별 검사를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ASD)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18개월에서 30개월의 아동 39명을 대상으로 2년 동안 집중적인 조기 중재를 시행하였다. 추적연구를 통해 대상 아동들이 6세가 되었을 때 각 아동의 조기 중재 효과가 지속이 되었는지 확인한 결과 2년 동안의 조기 중재 직후 측정한 효과들이 대부분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Estes et al., 2015). Pickles 등(2016)은 학령전기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들을 대상으로 조기 중재의 방법으로 대체보완 의사소통훈련을 시행하고, 대상 아동들이 7~11세가 되었을 때, 처음의 중재 효과와 비교하였다. 대부분 영역에서 초기 중재를 시행한 이후의 효과들이 유지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자폐스펙트럼장애란 무엇인가? 자폐스펙트럼장애(ASD)는 생후 12개월을 전후하여 발달 초기에 다양한 임상적 증상들을 보이는 신경발달 장애의 한 종류이다(Newschaffer et al.,2007).
자폐스펙트럼장애(ASD)의 조기 중재는 어떤 효과를 보이는가? , 2016;Payakachat, Tilford, & Ungar, 2016). 자폐스펙트럼장애(ASD)의 조기 중재는 중재 효과를 극대화하고, 발달과정에서의 이차적 위험요인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Pierce, Courchesne, &Bacon,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rbesman, M., Scheer, J., & Lieberman, D. (2008).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 (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 (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T practice, 13(5), 18-22. 

  2. Benevides, T. W., Carretta, H. J., & Lane, S. J. (2016). Unmet need for therapy amo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Results from the 2005-2006 and 2009-2010 national survey of children with special health care needs. 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20(4), 878-888. doi.org/10.1007/s10995-015-1876-x 

  3. Bundy, A. C., Lane, S. J., & Murray, E. A. (2002).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2nd ed.). Pennsylvania, PA: FA Davis. 

  4. Camarata, S. (2014). Early identification and early intervention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Accurate and eff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6(1), 1-10. doi. org/10.3109/17549507.2013.858773 

  5. Charman, T. (2014). Early identification and intervention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Some progress but not as much as we hoped. International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6(1), 15-18. doi. org/10.3109/17549507.2013.859732 

  6. Cummings, J. R., Lynch, F. L., Rust, K. C., Coleman, K. J., Madden, J. M., Owen-Smith, A. A., ... & Massolo, M. L. (2016). Health services utilization among children with and without autism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6(3), 910-920. doi.org/10.1007/s10803-015-2634-z 

  7. Dawson, G. (2008). Early behavioral intervention, brain plasticity, and the prevention of autism spectrum disorder.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0(3), 775-803. doi:10.1017/S0954579408000370 

  8. Dawson, G., Rogers, S., Munson, J., Smith, M., Winter, J., Greenson, J., ... & Varley, J. (2010).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n intervention for toddlers with autism: The Early Start Denver Model. Pediatrics, 125(1), e17-e23. doi:10.1542/peds.2009- 0958 

  9. Dawson, G., & Watling, R. (2000). Interventions to facilitate auditory, visual, and motor integration in autism: A review of the evidence.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0(5), 415-421. 

  10. Dunn, W. (1997). The impact of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on the daily lives of young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 conceptual model. Infants and Young Children, 9, 23-35. 

  11. Estes, A., Munson, J., Rogers, S. J., Greenson, J., Winter, J., & Dawson, G. (2015). Long-term outcomes of early intervention in 6-year-ol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54(7), 580-587. doi. org/10.1016/j.jaac.2015.04.005 

  12. Farber, S. D. (1982). A multisensory approach to neurorehabilitation. Neurorehabilitation: A Multisensory Approach, 115-177. 

  13. Fletcher-Watson, S., Petrou, A., Scott-Barrett, J., Dicks, P., Graham, C., O'Hare, A., ... McConachie, H. (2016). A trial of an $iPad^{TM}$ intervention targeting social communication skills in children with autism. Autism, 20(7), 771-782. 

  14. Fletcher-Watson, S., Hammond, S., O'Hare, A., Pain, H., Petrou, A., & McConachie, H. (2013, May). Click-east: Evaluating the impact of an ipad app on social communicative abilities in young children with autism. In International meeting for autism research. 

  15. French, L., & Kennedy, E. M. (2018). Annual research review: Early intervention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or at-risk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59(4), 444-456. doi.org/10.1111/jcpp.12828 

  16. Fulton, E., Eapen, V., Crncec, R., Walter, A., & Rogers, S. (2014). Reducing maladaptive behaviors in preschool- age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using the Early Start Denver Model. Frontiers in pediatrics, 2, 40. doi.org/10.3389/fped.2014.00040 

  17. Ganz, M. L. (2006). The costs of autism. Understanding autism: From basic Neuroscience to Treatment, 1, 475-502. 

  18. Ganz, M. L. (2007). The lifetime distribution of the in cremental societal costs of autism.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61(4), 343-349. doi:10.1001/archpedi.161.4.343 

  19. Goods, K. S., Ishijima, E., Chang, Y. C., & Kasari, C. (2013). Preschool based JASPER intervention in minimally verbal children with autism: Pilot RCT.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3(5), 1050-1056. 

  20. Grynszpan, O., Weiss, P. L., Perez-Diaz, F., & Gal, E. (2014). Innovative technology-based intervention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A meta-analysis. Autism, 18(4), 346-361. 

  21. Green, J., Pickles, A., Pasco, G., Bedford, R., Wan, M. W., Elsabbagh, M., ... & Charman, T. (2017). Randomised trial of a parent-mediated intervention for infants at high risk for autism: Longitudinal outcomes to age 3 year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58(12), 1330-1340. doi. org/10.1111/jcpp.12728 

  22. Johnson, C. P., & Myers, S. M. (2007).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ediatrics, 120(5), 1183-1215. 

  23. Kratz, S. V. (2009).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Historical concepts, treatment strategies and clinical experiences in three patients with succinic semialdehyde dehydrogenase (SSADH) deficiency. Journal of Inherited Metabolic Disease, 32(3), 353-360. 

  24. Leew, S. V., Stein, N. G., & Gibbard, W. B. (2010). Weighted vests' effect on social attention for todd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7(2), 113-124. 

  25. Mundy, P., & Crowson, M. (1997). Joint attention and early social communication: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intervention with autism.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27(6), 653-676. 

  26. Nevill, R. E., Lecavalier, L., & Stratis, E. A. (2016). Meta-analysis of parent-mediated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utism, 22(2), 84-98. doi. org/10.1177/1362361316677838 

  27. Newschaffer, C. J., Croen, L. A., Daniels, J., Giarelli, E., Grether, J. K., Levy, S. E., ... Windham, G. C. (2007). The epidemiology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28, 235-258. doi. org/10.1146/annurev.publhealth.28.021406.144007 

  28. Orinstein, A. J., Helt, M., Troyb, E., Tyson, K. E., Barton, M. L., Eigsti, I. M., ... Fein, D. A. (2014). Intervention histor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optimal outcomes. Journal of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Pediatrics, 35(4), 247. doi:10.1097/DBP.0000000000000037 

  29. Payakachat, N., Tilford, J. M., & Ungar, W. J. (2016). National Database for Autism Research (NDAR): Big data opportunities for health services research and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PharmacoEconomics, 34(2), 127-138. doi.org/10.1007/s40273-015-0331-6 

  30. Pennington, R. C. (2010).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for teaching academic skills to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 review of literature.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25(4), 239-248. 

  31. Pickles, A., Le Couteur, A., Leadbitter, K., Salomone, E., Cole-Fletcher, R., Tobin, H., ... & Aldred, C. (2016). Parent-mediated social communication therapy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PACT): Long-term follow-up of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The Lancet, 388(10059), 2501-2509. doi. org/10.1016/S0140-6736(16)31229-6 

  32. Pierce, K., Courchesne, E., & Bacon, E. (2016). To screen or not to screen universally for autism is not the question: Why the task force got it wrong. The Journal of Pediatrics, 176, 182-194. doi. org/10.1016/j.jpeds.2016.06.004 

  33. Prior, M., Roberts, J. M., Rodger, S., Williams, K., & Sutherland, R. (2011). A review of the research to identify the most effective models of practice in early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Families, housing, Community Services and Indigenous Affairs(FaHCSIA). 

  34. Rogers, S. J., & Dawson, G. (2010). Early Start Denver Model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Promoting language, learning, and engagement. New York, NY: Guilford Press. 

  35. Rogers, S. J., & Vismara, L. A. (2008). Evidence-based comprehensive treatments for early autism.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37(1), 8-38. doi.org/10.1080/15374410701817808 

  36. Ryberg, K. H. (2015). Evidenc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Early Start Denver Model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the American Psychiatric Nurses Association, 21(5), 327-337. 

  37. VandenBerg, N. L. (2001). The use of a weighted vest to increase on-task behavior in children with attention difficultie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5(6), 621-628. doi:10.5014/ajot.55.6.621 

  38. Virues-Ortega, J. (2010). Applied behavior analytic intervention for autism in early childhood: Meta-analysis, meta-regression and dose-response meta-analysis of multiple outcomes. Clinical Psychology Review, 30(4), 387-399. doi.org/10.1016/j.cpr.2010.01.008 

  39. Waddington, H., van der Meer, L., & Sigafoos, J. (2016). Effectiveness of the Early Start Denver Model: A systematic review. Review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2), 93-106. doi.org/10.1007/s40489-015-0068-3 

  40. Yeargin-Allsopp, M., Rice, C., Karapurkar, T., Doernberg, N., Boyle, C., & Murphy, C. (2003). Prevalence of autism in a US metropolitan area. Jama, 289(1), 49-55. doi:10.1001/jama.289.1.4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