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곡선의 길이 수업에서 길이 개념에 대한 담론 분석
An Analysis of the Discourse on the Length Concept in a Classroom for the Length of Space Curve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9 no.3, 2017년, pp.571 - 591  

오택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적분으로 정의되는 곡선의 길이를 다루는 수업에서 나타나는 길이에 대한 수학적 담론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의사소통적 접근을 토대로 수업 참여자들이 길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용법에 주목하며 길이에 대한 담론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담론 참여자들이 의사소통하는 과정에서 길이라는 단어를 세가지-일상적, 조작적, 구조적-용법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참여자들이각자 서로 다른 용법의 단어를 사용하면서도 그 차이를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효과적이지 못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이 사용하는 단어의 용법 차이가 의사소통의 효과성을 떨어뜨린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한편, 참여자들이 그러한 용법의 차이를 인식하고 주목한다면 의사소통적 단절을 극복하고 메타 수준의 학습이 가능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discourse about the length in the class that learns the length of the curve defined by definite integra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discourse about length by paying attention to the usage of the word 'len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에서 다루는 단어나 개념을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이유는? 수학에서 다루는 단어나 개념의 용법이 일상적인 용법과 다르기 때문에 학생들은 수학 학습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Harel 외, 2006). 어린 학생 뿐 아니라 대학생들까지도 일상적 단어와 수학적 단어의 용법 차이로 인해 학습의 어려움을 겪는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된다(Harel외, 2006; McClure, 2000; Tall, 1997).
길이라는 대상을 수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어떤 활동이 요구되는가? 구체물의 모양에서 파생된 길이라는 대상을 수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요구되는 활동은 측정이다. 듀이는 측정을 모호한 전체에 대해 단위를 정하고 그 단위와의 상대적인 크기를 정함으로서 명확한 전체로 재인식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하였다(강흥규, 2005).
기하학에서 곧다가 휘어지기도 하는 실과 같은 선을 포함하지 않는 이유는? 기하학은 곧다가 휘어지기도 하는 실과 같은 선을 포함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직선과 곡선의 비는 모르고 또 그런 비는 인간의 지적 능력으로는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런 비에 바탕을 둔 결론은 엄밀하고 정확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Boyer & Merzbach, 2000:5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강완.나귀수.백석윤.이경화(2013). 초등수학 교수 단위 사전. 서울: 경문사. 

  2. 강흥규(2005). Dewey의 경험주의 수학교육론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고정화(2010). 길이 어림과 관련된 교과서 분석 및 대안 모색. E-수학교육 논문집, 24(3), 587-610. 

  4.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8]. 

  5. 김부미(2006).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성기.김도한.계승혁(1998). 해석개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7. 우정호.정영옥.박경미.이경화.김남희.나귀수.임재훈(2006), 수학교육학 연구방법론. 서울:경문사. 

  8. 이경화.강완(2008). 길이재기 단원의 여정: 수학 교과서 개발과정. 수학교육학연구, 18(2), 157-177. 

  9. 이종희(2002). 수학적 개념의 역사적 발달과 인식론적 장애. 교과교육학연구, 6, 23-36. 

  10. 이지현.최영기(2011). 학교수학과 대학수학에서 정의와 증명 개념 변화에 대한 수학사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1(1), 57-65. 

  11. Boyer, C. B., & Merzbach, U. C. (2000). 수학의 역사.하. 양영오.조윤동 (공역). 서울: 경문사.(영어 원작은 1991년에 출판). 

  12. Cobb, P., Stephan, M., McClain, K., & Gravemeijer, K. (2011). Participating in Classroom Mathematical Practices. A Journey in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117-163. 

  13. Dorier, J. L. (1995). Meta level in the teaching of unifying and generalizing concepts in mathematic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9(2), 175-197. 

  14. Folland, G. B. (1999). Real Analysis : Mordern Techniques and Their Applications, (2nd Edition). NY: John Wiley & Sons. 

  15. Freudenthal, H. (2006). Revisiting mathematics education: China lectures (Vol. 9).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6. Gucler, B. (2013). Examining the discourse on the limit concept in a beginning-level calculus classroom.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2(3), 439-453. 

  17. Harel, G. Selden, A., & Selden, J. (2006).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Handbook of research on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past, present and future, 147-172. 

  18. Harel, G., & Sowder, L. (2007). Toward comprehensive perspectives on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proof.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2, 805-842. 

  19. Kamii, C., & Clark, F. B. (1997). Measurement of length: The need for a better approach to teaching.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7(3), 116-121. 

  20. Luk, H. S. (2005). The gap between secondary school and university mathema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36(2-3), 161-174. 

  21. McClure, J. E. (2000). Start where they are: Geometry as an introduction to proof.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107(1), 44-52. 

  22. Sfard, A. (1991). On the dual nature of mathematical conceptions: Reflections on processes and objects as different sides of the same coi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2(1), 1-36. 

  23. Sfard, A. (2001). There is more to discourse than meets the ears: Looking at thinking as communicating to learn more about mathematical learn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6(1-3), 13-57. 

  24. Sfard, A. (2008). Thinking as communicating: Human development, the growth of discourses, and mathematiz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Sierpinska, A. (2000). On some aspects of students' thinking in linear algebra. In On the teaching of linear algebra (pp. 209-246). Springer Netherlands. 

  26. Tall, D. (1997). From school to university: The transition from elementary to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In Proceedings of the 7th Conference of the Australasian Bridging Mathematics Network (pp. 1-20). Auckland, New Zealand. 

  27. Toeplitz, O. (2006). 퇴플리츠의 미분적분학. 우정호.임재훈.박경미.이경화 (공역). 서울: 경문사.(영어 원작은 1963년에 출판). 

  28. Weir, M. D., Hass, J., & Thomas, G. B. (2010). Thomas\'calculu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