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도의 발달장애 아동의 시지각 및 주의력 향상을 위한 시기능 훈련의 임상사례
Clinical cases of vision therapy for visual perception and attention enhancement of children with mild developmental disabilities 원문보기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v.5 no.3, 2017년, pp.888 - 896  

이승욱 (대구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장우영 (대구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sual field training on visual function, visual perception and attention enhancement. Methods. We examined the changes of visual function and visual perception tests for children with mil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vis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각기능은 여유 있고 편안한 주시를 통한 관찰이 가능할 때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에 시각기능의 이상으로 인한 실질적인 시지각의 영향을 살펴보고, 정상적인 시기능의 중요성을 생각해 보고, 시각기능 이상을 가진 경도의 발달장애인 한 아동을 대상으로 시각 훈련(Vision therapy)을 통한 개선을 통해 시각 훈련 전후의 전체 시지각 평가와 하위 영역별 시지각평가에 대해서 어떠한 부분에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cLeod가 시각적 능력에 장애가 있으면 학습이 어렵다고 주장한 이유는? 발달장애 아동의 지적 기능 및 지각적 인지기능은 고급인지 기술보다는 기본적인 기능에 국한되어 있다5). 그 중 정보의 습득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시지각의 왜곡을 최소화 하기 위해 시각의 정상적인 기능이 중요하다 할 수 있으며, McLeod6)는 학습은 근본적으로 시각적인 방법으로 학습되는 것이므로 시각적 능력에 장애가 있으면 학습이 어렵게 된다고 하였다. 아이들이 시각을 통해서 학습이나 여러 중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눈 그리고 눈과 관련된 구조들이 분명하게 사물을 볼 수 있어야 하며, 빛과 배경 그리고 계속해서 변화되는 목표물에 대해서 초점을 맞추어야만 하며, 본인이 얻고자 하는 정보를 위해서 그 목표물에 대해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그 주위의 관련이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무시하면서, 왜곡되지 않은 정보를 뇌에 전달하여야 한다.
시각훈련을 통해 어떤 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가? 이러한 시각기능이 이상이 있을경우 시각훈련을 통해서 개선이 가능하다. 시각훈련을 통한 눈의 이향운동기능과 조절기능의 향상은 안정피로, 복시, 집중력을 저하의 원인을향상시켜 양안시 기능을 개선하여 사물 관찰시더 편안함을 느끼는 것에 대한 연구 결과가 있다12).
발달장애아동이 시각적 공간처리 기능 저하를 가지면 정보처리를 하는 데 있어 어떤 문제를 갖게 되는가? 기능 저하의 가장 큰 결함은 시각적 공간처리에 있다14,15). 이는 정보를 흡수할 때 잘못된 정보, 힘들게 정보를 흡수를 하는 과정에서 정상적인 정보의 흡수가 원활이 되지 않았을 때에는 분명 문제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14). 본 연구에서의 임상결과에서도 그러한 문제가 시각 및 시지각이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alapatek P, Cohen LB. Infant perception: from sensation to cognition. Academic Press. 1982; preface:10. 

  2. Cummins RA. Sensory integration and learning disabilities, Ayres' factor analyses reappraised.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1991;24(3):160-168. 

  3. Segall MH, Campbell DT, Herskovits MJ. The influence of culture on visual perception. Indianapolis, Bobbs-Merrill, 1966;32 

  4. Kim JM. Validation of the TVPS_R and an analysis of Korean children's visual-perceptual skills. PhD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7:3. 

  5. Blasi, Francesco D, Di et al. Relationships between visual-motor and cognitive abilities in intellectual disabilitie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2007;104(1):763-772. 

  6. McLeod, Pierce H. The undeveloped learner: a developmental-corrective reading program for classroom teachers, 1968:301-327. 

  7. Denckla, Martha B. Biological correlates of learning and attention: What is relevant to learning disability an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Developmental & Behavioral Pediatrics, 1996;17(2):114-119. 

  8. Carrasco, Marisa. Visual attention: The past 25 years. Vision research, 2011;51(13):1484-1525. 

  9. Lane KA. Developing ocular motor and visual perceptual skills: An activity workbook. Slack Incorporated, 2005;Preface:13-14. 

  10. Smith F. Understanding reading: A psycholinguistic analysis of reading and learning to read. Routledge, 2012. 

  11. Hwang MS, Choi SK, Lee IK. Influence of movement education on motor development of visually handicapped childre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 Exercise 1993:96-97. 

  12. Borsting E, Rouse MW, Deland PN et al. Association of symptoms and convergence and accommodative insufficiency in school-age children. Optometry 2003;74(1):25-34. 

  13. Kurtz LA. Visual perception problem in children with ad/hd, autism, and other learning disabilities.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06;10:48-49. 

  14. Wilson, Peter H, Beryl E et al. Information processing deficits associated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 meta-analysis of research findings. Th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1998;39(6):829-840. 

  15. Kim DH. Analysis of refractive status between urban and rural region in 13-year old children,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2017,5(1):808-815. 

  16. Smith, Danielle. The implications of abnormal stereopsis in typical and atypical development. Diss. University of Nottingham, 2017. 

  17. Howard, Ian P, Brian J et al. Binocular vision and stereopsis.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995.:2. 

  18. Carlson NR. Foundations of Physiology of Behavior, Edition 12, Pearson PLC London, 2007. 

  19. Warren M, A hierarchical model for evaluation and treatment of visual perceptual dysfuntion in adult acquired brain injury, part 1, The Americal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993;47(1):42-53. 

  20. Han SH, Kim BH, Kim BY et al. Investigation of prevalence and awareness of cataract,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2017,5(2):834-849. 

  21. Kim BH, Han SH, Kim DH et al. A survey wearing soft lenses for astigmatism correction of the local college students, Gyeongsagnnamdo, Keora,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2015,3(3):378-3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