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아카이브의 이용자 참여의 활성화를 위한 소셜 태깅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Social Tagging for Promoting Users' Participation in Digital Archives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4 no.3 = no.105, 2017년, pp.269 - 290  

박희진 (한성대학교 지식정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문화유산기관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효과적인 접근과 활용을 도모하고 이용자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는 소셜 태깅의 활용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정보기술을 활용한 아카이브의 성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아카이브의 기술 적용 현황을 파악하고, 소셜 태깅이 적용된 국내외 디지털 아카이브사례연구를 통해 소셜 태킹의 활용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용자 참여 단계유형을 재구성하여 소셜 태깅을 통한 참여 단계 모델을 제시하고, 디지털 아카이브에서 이용자의 참여와 콘텐츠의 기여도를 중심으로 표현, 커뮤니케이션, 협업에 따른 소셜 태깅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framework for promoting active engagement of users in digital archives through social tagging. It analyzed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involved with digital archives, and the user participation and engagement through social media. The analysis explored the aspects of...

주제어

참고문헌 (25)

  1. 권지은, 나건 (2013). 인터랙티브 스페이스에서의 사용자 참여 단계 모델 개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3(4), 247-256.(Kwon, Jieun, & Nah, Ken (2013). Development of user participation model for interactive spaces. Journal of Digital Design, 13(4), 247-256.) 

  2. 김성원, 김정우 (2013). 이용자관점에서의 도서관 2.0 서비스 활용현황과 활성화 방안: 폭소노미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2), 269-288.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2.269(Kim, Sungwon, & Kim, Jungwoo (2013). Current usage and proliferation of library 2.0 from user view point: Focused on folksonom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2), 269-288.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2.269) 

  3. 김성희, 이형미 (2009). 디지털화 문화유산 태그의 패턴 및 특성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3), 171-185.(Kim, Seong-Hee, & Lee, Hyungmi (2009).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tags in digitized cultural heritage.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3), 171-185.) 

  4. 김지영 (2013). 패션 미디어에 나타난 상호작용 사례 연구. 패션비즈니스, 17(5), 101-102. https://doi.org/10.12940/jfb.2013.17.5.101(Kim, Jiyoung (2013). Interactive case study on fashion media: Focused on Showstudio's fashion project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7(5), 101-102. https://doi.org/10.12940/jfb.2013.17.5.101) 

  5. 김현희 (2010). 태그 질의 확장 기능에 기반한 비디오 검색 시스템의 효율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4), 75-94. https://doi.org/10.4275/kslis.2010.44.4.075(Kim, Hyun-Hee (2010). An experimental study investigating the retrieval effectiveness of a video retrieval system using tag query expan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4), 75-94. https://doi.org/10.4275/kslis.2010.44.4.075) 

  6. 김현희, 김용호 (2010). 구조화된 소셜 메타데이터를 활용한 이미지 자료의 시맨틱 검색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1), 117-135. https://doi.org/10.4275/kslis.2010.44.1.117(Kim, Hyun-Hee, & Kim, Young-Ho (2010). An experimental study on semantic search for image data using structured social meta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1), 117-135. https://doi.org/10.4275/kslis.2010.44.1.117) 

  7.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정보원 (2016). 2016년 문화정보화 백서. 서울: 한국문화정보원.(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 Korean Culture Information Science Agency (2016). 2016 Korea culture informatization white paper. Seoul: Korean Culture Information Science Agency.) 

  8. 박혜원, 안형준 (2013). 미술관 및 박물관에서의 소셜미디어 활용 프레임웍에 대한 연구. 정보와 사회, 25, 43-77.(Park, Hye Won, & Ahn, Hyung Jun (2013). Development of a framework of using social media for museum.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ociety, 25, 43-77.) 

  9. 오의경 (2012). 트위터를 활용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정보관리연구, 43(2), 133-150. https://doi.org/10.1633/jim.2012.43.2.133(Oh, Eui-Kyung (2012). The study on the activation of public library services utilizing Twitter.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43(2), 133-150. https://doi.org/10.1633/jim.2012.43.2.133) 

  10. 유동환 (2013). 디지털 문화유산 연구의 현황과 전망. 문화콘텐츠연구, 3, 95-121.(You, Dong Hwan (2013). Current situation and prospect of digital heritage study. The Journal of Cultural Contents, 3, 95-121.) 

  11. 이란주, 김수영 (2011). 국내 대학도서관 블로그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3), 57-73.(Lee, Lan-Ju, & Kim, Soo-Young (2011).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blogs in university libraries at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3), 57-73.) 

  12. 최연진, 정연경 (2013).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4), 319-34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4.319(Choi, Yeon Jin, & Chung, Yeon-Kyoung (2013). A study on activating social network services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4), 319-34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4.319) 

  13. 최희수 (2014). 인문지식 기반 창작지원 서비스 활성화 방안. 인문콘텐츠, 36, 39-56.(Choi, Hee-Soo (2014). A research on activation plan for creative resources services based on humanties. Humanties Contents, 36, 39-56.) 

  14. 한국문화정보센터 (2013). 국가유물 정보화 전략 계획 수립 연구. 서울: 한국문화정보센터.(Korea Information Culture Center (2013).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for national relics. Seoul: Korea Information Culture Center.) 

  15. 한국콘텐츠진흥원 (2013). 문화기술(CT) 동향 I. 문화기술, 32, 54-55.(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13). Culture technology (CT) trends I. Culture technology, 32, 54-55.) 

  16. 한희정, 오효정, 김태영, 김용 (2016). 국내 무형문화유산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2), 95-13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6.27.2.095(Han, Hui-Jeong, Oh, Hyo-Jung, Kim, Tae-Young, & Kim, Young (2016).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digital archives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7(2), 95-13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6.27.2.095) 

  17. 허소임, 서용준, 박승호 (2017). 온라인 미술관에서 미술작품과 태그의 협력 태깅 관계 시각화. Design Convergence Study, 16(1), 238-256.(Hur, So Im, Seo, Young Jun, & Park, Seung Ho (2017). A study on collaborative tagging visualization of artworks and tags in online museum. Design Convergence Study, 16(1), 238-256.) 

  18. 홍성추 (2003).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방송공학학회지, 8(2), 84-104. 재인용: 한희정, 오효정, 김태영, 김용 (2016). 국내 무형문화유산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2), 103.(Hong, Seong Chu (2003). Digital archives system. Korea Society Broadcast Engineers Magazine, 8(2), 84-104. Quoted in Han, Hui-Jeong, Oh, Hyo-Jung, Kim, Tae-Young, & Kim, Young (2016).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digital archives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7(2), 103.) 

  19. Chae, G., & KIm, J. (2011). Rethinking museum management by exploring the potential of social tagging systems in online art museums.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Inclusive Museum, 3(3), 131-140. https://doi.org/10.18848/1835-2014/cgp/v03i03/44341 

  20. Conway, P. (2014). Digital transformations and the archival nature of surrogate. Archival Science, 15(1), 51-69. https://doi.org/10.1007/s10502-014-9219-z 

  21. Liew, C., & Cheetham, F. (2016). Participatory culture in memory institutions: Of diversity, ethics and trust? D-Lib, 22(7/8). https://doi.org/10.1045/july2016-liew 

  22. Manzo, C. (2015). By the people, for the people: Assessing the value of crowdsourced, usergenerated metadata. Digital Humanities Quarterly, 9(1), 1-16. 

  23. Park, C. J., & Hu, X. (2010). User tags versus expert-assigned subject terms: A comparison of LibraryThing tags and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6(6), 763-779. https://doi.org/10.1177/0165551510386173 

  24. Smith, M. (2006). Viewer tagging in art museums: Comparisons to concepts and vocabularies of art museum visitors. Advances in Classification Research Online, 17, 1-19. https://doi.org/10.7152/acro.v17i1.12492 

  25. Trant, J. (2006). Exploring the potential for social tagging and folksonomy in art museums: Proof of concepts. New Review of Hypermedia and Multimedia, 12(1), 83-105. https://doi.org/10.1080/136145606008029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