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인증제 시행 후 의료 질 향상과 운영성과에 대한 인식이 고객지향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Perception of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and Operational Performance on Customer Orientation and Job Performance after Healthcare Accreditation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1 no.2, 2017년, pp.1 - 15  

장원혁 (부민병원) ,  이승재 (고신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  이선찬 (고신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  류황건 (고신대학교 의료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and operational performanc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Healthcare Accreditation.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5 hospitals that have experienced the 2th Healthcare Accreditation in Busan, South 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2주기 의료기관 인증평가를 받은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인증제 시행 후 의료 질 향상과 운영성과에 대한 인식부분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성과의 측면에서 구성원들의 고객지향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해봄으로서 의료기관의 경영개선에 필요한 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지속적인 의료 질 향상을 도모하고 효과적인 의료서비스 품질관리를 통해 병원성과의 극대화 방안을 모색하며, 인증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병원에 접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 연구는 2주기 의료기관 인증평가를 받은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인증제 시행 후 의료 질 향상과 운영성과에 대한 인식부분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성과의 측면에서 구성원들의 고객지향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해봄으로서 의료기관의 경영개선에 필요한 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지속적인 의료 질 향상을 도모하고 효과적인 의료서비스 품질관리를 통해 병원성과의 극대화 방안을 모색하며, 인증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병원에 접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 연구는 부산지역에 위치한 5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의료기관인증제 시행 후 의료 질 향상과 운영성과에 대한 인식이 고객지향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인증평가 2주기가 진행되는 현 시점에서 인증제의 필요성과 의료 질 향상의 인식도를 고취시키고, 인증제를 통한 내부적인 시스템 개선과 조직역량을 높이는 데 어떠한 요인이 중요한지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이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의료기관인증제 시행 후 의료 질 향상과 운영성과를 주요변수로 하여 고객지향성과 직무성과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Figure 1].
  • 이 연구는 의료기관 인증제 시행 후 의료 질 향상과 운영성과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이 고객지향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인증제를 통한 의료기관 경영개선과 인증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준비하고 활용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H1. 의료기관인증제 시행 후 의료 질 향상에 대한 인식은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의료기관인증제 시행 후 운영성과에 대한 인식은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의료기관인증제 시행 후 의료 질 향상에 대한 인식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의료기관인증제 시행 후 운영성과에 대한 인식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기관 인증제는 언제 실시되었는가? 보건복지부는 의료서비스 질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증가되면서 의료기관이 제공하는 의료서비스 수준의 평가를 통해 보건의료서비스의 전반적인질 향상을 도모하고 환자안전 및 의료이용 상의불편을 개선하는 등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0년 11월에 의료법 제58조에 의거 의료기관 인증제를 실시하였다. 의료기관 인증제는 환자안전과 의료 질 향상에 대한 내용을 주로 평가하는 것으로서 주요 평가 기준 영역은 안전보장활동, 지속적인 질 향상 노력을 위한 기본가치, 환자진료, 경영 및 조직 운영과 인적자원관리 등 성과관리 측면이다[1][2][3].
보건복지부의 의료서비스 수준의 평가의 목적은? 보건복지부는 의료서비스 질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증가되면서 의료기관이 제공하는 의료서비스 수준의 평가를 통해 보건의료서비스의 전반적인질 향상을 도모하고 환자안전 및 의료이용 상의불편을 개선하는 등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0년 11월에 의료법 제58조에 의거 의료기관 인증제를 실시하였다. 의료기관 인증제는 환자안전과 의료 질 향상에 대한 내용을 주로 평가하는 것으로서 주요 평가 기준 영역은 안전보장활동, 지속적인 질 향상 노력을 위한 기본가치, 환자진료, 경영 및 조직 운영과 인적자원관리 등 성과관리 측면이다[1][2][3].
의료기관 인증제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2014년부터 현재 2주기 인증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 의하면 2주기 인증방향은 국제적 수준의 환자안전과 의료서비스 질 보장을 위해 인증기준을 강화하였고, 인증을 획득한 의료기관의 경우 사후관리를 더욱 철저히 할 방침이라고 하였다. 또한 추적조사를 이용한 조사방법의 신뢰성과 조사인력의 전문성도 강화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Y.H. Lee, J.D. Lim(2015),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of Patient Safety & Medical Service Quality and Changes of Management Activity after Medical Institution Accreditation: Mental Hospitals and Geriatric Hospitals,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15(1);287-299. 

  2. M.J. Shin(2014), The Effects of Hospital Accreditation Program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Job Satisfaction, Financial Performances and Patient Safety at Geriatric Hospital : About Busan Metrocity,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12(10);455-464. 

  3. J.Y. Yoo, J.H. Lee(2015), Complex impact of Patient Safety and Medical Quality on Hospital Management Activities due to Healthcare Accreditation Adoption,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13(7);283-291. 

  4. S.K. Kwon, S.K. Bae(2015),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Accreditation of Small-Sized Dental Hospitals within Local Communiti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9(4);1-12. 

  5. J.H. Cha(2014), The Effects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on Managerial Performances in Hospital Organizations, The Graduate School of Konyang University, pp.98-99. 

  6. Y.H. Seo(2016), Change of patient safety, medical service quality, organization culture and hospital management performance after the execu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for convalescent hospital,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p.18-19. 

  7. Y.R. Yeun(2013), The impact of healthcare accreditation on patient safety and qualit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bout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4(4);1820-1829. 

  8. H.S. Lee, Y.J Yang(2014), The Effects of the Healthcare Accreditation on Hospital Employees' Satisfaction Level and Hospital Management Performance,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12(1);431-441. 

  9. H.J. Cho(2012), Hospital employee's recognition and attitudes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The Grsduate School of Life Sciences, Catholic University of Busan, pp.20-40. 

  10. J.I. Bae(2008), A Study on Hospital Staff's Perception of and Attitudes toward the Medical Institute Accreditation System: Focused on Those Working for the Public Hospitals,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pp.14-25. 

  11. Y.S. Choi(2011), Effects of nurses' awareness on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on nursing performance, The Graduate School of Catholic University, pp.15-22. 

  12. S.H. Choi(2015), The study on the Recogni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Job Stress and Resilience to Burnout of Nursing staff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e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pp.8-18. 

  13. J.H. Park(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Hotel Employee's Customer Orientationon Rapport and Relationship Quality, The Graduate School of Kyonggi University, pp.43-60. 

  14. H.J. Choi(2013), A Study on impact of Internal Marketing on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in Hospital Employees, The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 pp.35-50. 

  15. J.K. Jeong(2009),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Internal Marketing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at General Hospital,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KyungHee University, pp.42-55. 

  16. S.H. Jung(2015), The Effects of Hospit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ployees' Characteristics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Job Performance, The Graduate School of Kosin University, pp.24-45. 

  17. K.I. Millar(1990), Performance Appraisal of Professional Social Workers,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Vol.14(1);65-85. 

  18. R.P. Tett, J.P. Meyer(1993),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Path analyses based on meta-analytic findings, Personnel Psychology, Vol.46(2);259-293. 

  19. S.Y. Jeong, H.S. Oh, H.K. Chun(2015), The status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mong Healthcare Facilitie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9(4);33-49. 

  20. C.A. Peterson(2003), Management, Faculty, and Accreditation Outcomes: A survey of physical therapy faculty and program director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Education, Vol.17(2);22-31. 

  21. W.K. In(2009),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Customer Satisfaction of the public Medical Center on Improvement Medical Services from Hospital Evaluation Programme, The Graduate School of Kong Ju National University, pp.57-62. 

  22. W.S. Han(2008), The Effects of the Hospital Evaluation Programme on Operation Performance in General Hospital Organizations, The Graduate School of Konyang University, pp.85-87. 

  23. M.P. Pomey, A.P. Contandriopoulos, P. Francois, D. Bertrand(2004), Accreditation: A Tool for Organizational Change in Hospital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Care Quality Assurance, Vol.17(3);113-124. 

  24. J.H. Park(2015), A Study on the Effects of Perception toward Healthcare Organization Accreditation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pp.42-46. 

  25. M.H. Hong(2016), Nurses'Perception of Accreditation,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in an Accredited Healthcare System, J Korean Acad Nurs Adm, Vol.22(2);167-1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