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 인증 후 요양병원 종사자의 만족도가 환자의 안전과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tisfaction Among Convalescent Hospital Staff Members on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Care After Medical Institution Certification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3 no.3, 2019년, pp.39 - 51  

정연자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최성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박종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한미아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tisfaction among convalescent hospital staff members on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care after the certification of the medical institution.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seven convalescent hospitals in Gwangju, South Jeolla Provi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의료기관 인증 후 요양병원 종사자의 만족도가 환자의 안전과 질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 의료기관인증제의 궁극적 목적인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 향상에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을 하도록 하여 요양병원에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기관 인증제는 어떤 성격을 가진 제도인가? 의료기관 인증제는 순위를 정하는 상대평가와는 달리, 의료기관의 인증기준 충족여부를 조사하는 절대평가의 성격을 가진 제도이다. 인증기준에는 환자안전과 지속적인 질 향상을 의료기관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가치로 설정함으로써 개별 의료기관들이 환자에게 안전하고 질적으로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목표를 제시하고 지속적인 개선활동을 유도하는데 있다[4].
의료기관의 인증기준에 대한 기본적인 가치는 무엇인가? 의료기관 인증제는 순위를 정하는 상대평가와는 달리, 의료기관의 인증기준 충족여부를 조사하는 절대평가의 성격을 가진 제도이다. 인증기준에는 환자안전과 지속적인 질 향상을 의료기관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가치로 설정함으로써 개별 의료기관들이 환자에게 안전하고 질적으로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목표를 제시하고 지속적인 개선활동을 유도하는데 있다[4]. 요양병원 환자는 사물판단 및 인지기능이 떨어지고 거동이 불편한 고령의 환자 가 대부분이어서 안전에 취약하다.
의료기관 인증 후 종사자의 만족도 조사결과는 어떠했는가? 본 연구는 의료기관 인증 후 종사자의 만족도가 환자의 안전과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인증 후 구성원의 만족도의 평균 점수는 3.00±0.56점 이었으며 환자의 안전과 질 향상의 평균 점수는 3.60±0.53점 이었다.구성원의 만족도와 환자안전과 질 향상 간에는 정적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https://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5010000 

  2. J.S. Kim(2015), Employee's Recognition of Accreditation Effect in Certified Long-term Care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of Busan, pp.2-44. 

  3. http://law.go.kr/lsInfoP.do?lsiSeq210282&viewClslsRvsDocInfoR#0000 

  4. https://www.koiha.or.kr 

  5. J.E. Kim, K.A. An, S.H. Yoon(2004), Korean Nurses' Perceptions of Hospital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Process Related to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 Medical Informatics, Vol.10;130-135. 

  6. E.K. Kim, M.A. Kim, H.Y. Kim(2007), Experience and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of Employee in Hospitals.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3(3);321-334. 

  7. S.G. Kwang, S.I. Lee, S.M. Yun(2014), Job Satisfaction by Workers in Medical Institutions for Senior Caring on Their Service Qualit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Health and Welfare for Elderly, Vol.6(1);131-147. 

  8. S.Y. Kim(2013), A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Worker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Han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Welfare, pp.74-76. 

  9. Y.R. Lee(2008),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mong Geriatric Hospital Worker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Kangnam University, pp.47-51. 

  10. G.S. Kim(2011), Progress, Achievements and Challenges of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Medical Institu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Managed Care Pharmacy, Vol.3(1);31-33. 

  11. B.J. Hwang, J.Y. Kim(2015),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and Business Performance in Medical Service, Korean Accounting Review, Vol.20(1);209-232. 

  12. S.M. Oh(2016), The Study on the Impacts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on the Performance of Hospital Organization, Catholic University, pp.4-6. 

  13. Y.H. Seo(2016), Change of Patient Safety, medical Service Quality, Organization culture and hospital management performance after the execu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for Convalescent Hospital, Kyungpoo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pp.19-52. 

  14. M.Y. Sin(2014), The Effects of Hospital Accreditation Program to the Patient Safety at Geriatric Hospital : About Busan Metrocity, Jour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10);455-466. 

  15. H.S. Lee(2013), A Study on the Recognition connected with Healthcare Accreditation for hospital Employees: Comparison between Non accreditation Hospital Accreditation Hospital, Won Kwang University, pp.1-66. 

  16. H.R. Kim(2012), Impact of Healthcare Accreditation on Patient Safety and Improvement of Healthcare Quality, Organizational Culture, Hospital Administrative activitie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 pp.13-14. 

  17. Y.J. Lee(2011), Patient Safety Culture and Management activitie Perceived by Hospital Nurses, Eulji University, pp.11-14. 

  18. H.I Kim(2015), Quality Improvement, Edu factory, pp.25-42. 

  19. H.J. Jo(2012), Hospital Employee's Recognition and Attitudes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Catholic University of Busan, pp.35-39. 

  20. I.S. Jang(2012), The Study of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Relation to Size of Hospital, Korean Association of Business Education, Vol.72;265-281. 

  21. G.E. Lee(2009),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Mid sized Hospital Employee about the Hospital Evaluation, Catholic University of Busan, pp.55-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