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노인들의 미충족 의료 유형별 관련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Types of Unmet Health Care Needs among the Elderly in Korea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1 no.2, 2017년, pp.65 - 79  

최희영 (서남대학교 의료경영행정학과) ,  류소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ypes of unmet health care needs of the elderly and factors affecting them. Methods :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012 Community Health Surve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evance between each type of un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노인들의 미충족 의료경험의 유형을 파악하고, 미충족 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노인들의 미충족 의료경험은 전체의 9.
  • Anderson 모형은 의료서비스의 이용에 관련된 요인을 소인성 요인(predisposing factor), 가능성 요인(enabling factor), 필요 요인(needs factor)으로 나누어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고[19].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앤더슨 모형에 근거하여 노인들의 미충족 의료의 경험와 유형 관련요인을 소인성 요인, 가능성 요인, 필요 요인으로 분류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Figure 1].
  • 지역사회건강조사는 보건소를 기반으로 한 우리나라 모든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주민을 대표할 수 있도록 표본조사를 실시한 것으로, 우리나라 전체 주민을 설명할 수 있는 자료를 이용한 미충족 의료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다. 이에 본 연구는 201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Anderson 행동모형에 근거한 관련 요인을 제시하고 노인의 미충족 의료경험과 물리적 접근성의 제한, 지불능력의 제한, 편의성의 제한 등과 관련된 미충족 의료경험의 유형별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 필요한 의료에 대한 미충족 요인을 파악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도 필요하지만, 미충족 의료의 유형이 경제적인 이유 외에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어, 경제적 이유에 관한 관련요인 외에 다른 유형별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하여 미충족 의료경험의 유형별 관련 요인을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년 우리나라의 인구 중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우리나라의 인구 중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2015년 13.1%에서 2060년까지 40.0%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14년 건강보험 상 전체 진료비 54조 5,275억 원의 35.5%인 19조 3,551억 원을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였고, 고령자 1인당 진료비는 322만원으로 전체 1인당 진료비 108만원 보다 3배 높게 나타났다[1].
월 평균가구 소득이 낮은 경우에서 미충족 의료 경험을 유형별 분석결과 지불능력과 물리적 접근성에 의한 미충족 의료경험은 저소득인 경우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는데, 이유는? 유형별 분석결과, 지불능력과 물리적 접근성에 의한 미충족 의료경험은 저소득인 경우에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건강보험이나 의료급여제도를 통해 의료이용에 대한 접근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본인 부담률 등에 대한 지불능력의 제한에 의해 미충족 의료경험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8]. 더불어 경제적 수준이 교통수단의 활용과도 연관되어 나타나는 결과로 여겨진다.
Anderson 모형은 어떤 요인으로 나누어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가? 지금까지 의료이용과 관련된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행위에 대한 예측의 분석 틀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것이 앤더슨의 행동모형(Anderson Model or Behavior Model of Service Utilization)이다[18]. Anderson 모형은 의료서비스의 이용에 관련된 요인을 소인성 요인(predisposing factor), 가능성 요인(enabling factor), 필요 요인(needs factor)으로 나누어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고[19].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앤더슨 모형에 근거하여 노인들의 미충족 의료의 경험와 유형 관련요인을 소인성 요인, 가능성 요인, 필요 요인으로 분류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Figure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bSeq&aSeq348565&pageNo1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2015 

  2. S.R. Do(2009), Medical utilizations of the aged: Issues and policy tack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157;66-79. 

  3. S.S. Moon, M.G. Choi(2013),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Bomungak, pp.428-440. 

  4. K.S. Song, J.H. Lee, K.H. Rhim(2011),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needs for health care,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37(1);131-140. 

  5. J.G. Kim(2008), Factors affecting the choice of medical care use by the elderly person, Joum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39;273-302. 

  6. J. Bradshaw(1972), The concept of social need, New society, Vol.496;640-643. 

  7. A. Donabedian(1973), Aspects of medical care administration: Specifying requiremnts,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p.1-649. 

  8. B.D. Hwang, R. Choi(2015), The prevalence and association factors of unmet medical needs by Age group in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9(1);81-93. 

  9. B.R. Lee(200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o medical service utilization of the aged, Catholic University, p.22. 

  10. R. Pencchansky, J.W. Thomas(1981), The concept of access: definition and realationship to consumer satisfaction, Medical Care, Vol.19(2);127-140. 

  11. S.N. Huh, M.G. Kim, S.H. Lee, S.J. Kim(2009), Policcy options to tackle unmet health needs, KIHASA, pp.1-121. 

  12. Y.J. Shin, J.I. Son(2009), The prevalence and association factors of unmet medical needs: Using 1st and 2en korea welfare panel dat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29(1);111-142. 

  13. B.W. Lee(2014), The study on regional variation of unmet needs for health care in korea, Konyang University, pp.1-98. 

  14. S.S. Cho, T.K. Lee, Y.W. Bang, C.J. Kim, H.J. Im, Y.J. Kwon, Y. Cho, D.Y. Park, Y.S. Ju(2010),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needs for medical care among island inhabitants in korea, J Agr Med Commun Health, Vol.35(2);151-164. 

  15. S.H. Kim, C.Y. Lee(2013),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unmet health care needs of married immigrant women, J Korean Nurs, Vol.43(6);770-780. 

  16. J.E. Lee, T.H. Kim(2014), Association of supplementary private health insurance with unmet health care needs,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39(1);91-104. 

  17. Y.H. Jung(2012), Limited activities and unmet medical care on the Korean health pane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Vol.120(1);1-8 

  18. D.Y. Lee, J.D. Park(2011), A study on the factors for elderly living alone at home to determine their participation in a health promotion activity program: with the application of Anderson Model, Social Welfare Policy, Vol.38(4);1-23. 

  19. R. Anderson(1968), A behavioral model of families' use of health service, Center for Health Administration Studies, University of Chicago, pp.1-111. 

  2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2012), Community Health Survey, pp.1-98. 

  21. H.S. Jeon, S.K. Kahng(2012), Age differences in the predictors of medical service use between young-old and-old: Implications for medical service in aging society, Health and Social Wefare Review, Vol.32(1);28-57. 

  22. O.M. Baek(2011), Factors associated with funtional health outcome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pplying anderson's revised model,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9(1);1-27. 

  23. H.C. Shin, J.Y. Kang, W.S. Park, S.A. Kim(2009), Helath status and medical utilization of women in rural aera, J Agri Med & Community Health, Vol.34(1);67-75. 

  24. J.H. Kim(2011), A study of factors in unmet medical needs and equity, Yonsei University, pp.1-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