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ested PCR 기법을 이용한 토양으로부터 Barley yellow mosaic virus 검출
Detection of Barley yellow mosaic virus from Soil Using Nested PCR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3 no.1, 2017년, pp.65 - 68  

이중환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생물자원연구소) ,  손창기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생물자원연구소) ,  권중배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생물자원연구소) ,  남효훈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생물자원연구소) ,  김영태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생물자원연구소) ,  이봉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 ,  신동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재배환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단계의 nested PCR 방법을 이용하여 보리 및 벼 재배 토양에서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를 검출하였다. BaYMV 분절 RNA1 외피단백질 영역의 특이 프라이머로 1차 PCR을 하고 내부서열로부터 작성된 프라이머로 2차 PCR을 실시하여 확보된 372 bp의 PCR 산물이 BaYMV 외피단백질 영역과 98%-100% 염기서열이 일치하여 BaYMV를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토양으로부터 BaYMV 검출에 관한 최초의 보고이며 토양전염성 바이러스의 정확한 진단과 예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 which is transmitted by the root-inhabiting protist Polymyxa graminis, causes a soil-borne disease. In this study, we detected BaYMV from soil using two-step nes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Specific primers based on a coat protein region of BaYMV segment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graminis 휴면포자에 존재하는 BaYMV를 토양에서 직접 검출한 보고는 아직 없다. 본 연구는 토양 중에서 BaYMV를 직접 검출한 최초의 보고로서 토양 내에서 BaYMV의 정밀한 진단으로 보리 바이러스병 발생예찰에 필요한 자료와 바이러스 매개균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진단에 유용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aYMV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이 바이러스는 토양전염성 바이러스로 활물 기생균 Polymyxa graminis에 의해 매개되며(Adams 등, 1986) 감염 시 40%–100%의 수량을 감소시키면서 보리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Park 등, 2010). BaYMV는 분절게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직경 13 nm, 길이 7.3–7.6 kb의 RNA1과 3.5–3.7 kb의 RNA2로 나누어진다(Li와 Shirako, 2015). RNA 구조를 분석한 결과 국내에는 4종의 strain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ark 등, 2007).
보리누른모자이크바이러스병은 언제 국내에 보고됐으며 어디 지역에 문제가 되고 있는가? 보리누른모자이크바이러스병(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은 1940년 일본에서 최초로 보고되었으며, 유럽에서 큰 피해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Park 등, 2004). 국내에서는 1990년대 발생이 보고되어 남부 보리 재배지를 중심으로 문제시되고 있다(Park 등, 2010). 이 바이러스는 토양전염성 바이러스로 활물 기생균 Polymyxa graminis에 의해 매개되며(Adams 등, 1986) 감염 시 40%–100%의 수량을 감소시키면서 보리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Park 등, 2010).
보리 및 벼 재배 토양에서 Barley yellow mosaic virus를 검출하는데 이용하는 방법은? 2단계의 nested PCR 방법을 이용하여 보리 및 벼 재배 토양에서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를 검출하였다. BaYMV 분절 RNA1 외피단백질 영역의 특이 프라이머로 1차 PCR을 하고 내부서열로부터 작성된 프라이머로 2차 PCR을 실시하여 확보된 372 bp의 PCR 산물이 BaYMV 외피단백질 영역과 98%–100% 염기서열이 일치하여 BaYMV를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Adams, M. J., Swaby, A. G. and Macfarlane, I. 1986. The susceptibility of barley cultivars to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 and its fungal vector, Polymyxa graminis. Ann. Appl. Biol. 109: 561-572. 

  2. Bae, J. Y., Kim, S. M., Kang, M. H., Kim, K. M., Lee, J. H., Ju, H. J., Kim, S. L. and Lee, B. C. 2015. Occurrence of barley virus diseases in southern part of Korea. Korean J. Org. Agric. 23: 859-866. (In Korean) 

  3. Cox, B. A., Luo, H. and Jones, R. A. C. 2014. Polymyxa graminis isolates from Australia: identification in wheat roots and soil,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wide genetic diversity. Plant Dis. 98: 1567-1575. 

  4. Ketta, H., Rysanek, P. and Zouhar, M. 2012. Detection of Polymyxa graminis in a barley crop in the Czech Republic. Plant Protect. Sci. 48: 65-71. 

  5. Ketta, H., Zouhar, M. and Rysanek, P. 2011. First report of Polymyxa graminis f. sp. temperata, a vector of soilborne cereal viruses in the Czech Republic. Plant Dis. 95: 353. 

  6. Li, H. and Shirako, Y. 2015. Association of VPg and eIF4E in the host tropism at the cellular level of Barley yellow mosaic virus and Wheat yellow mosaic virus in the genus Bymovirus. Virology 476: 159-167. 

  7. Park, J. C., Lee, J. D., Seo, J. H., Kim, Y. K., Jeong, S. G. and Kim, H. M. 2004. Growth damage and alteration of cellular tissue of barley infected by Barley yellow mosaic virus. Res. Plant Dis. 10: 34-38. (In Korean) 

  8. Park, J. C., Noh, T. W., Kim, M. J., Lee, S. B., Park, C. S., Kang, C. S. Lee, J. J. and Kim, T. S. 2010. Effect of cropping system on disease incidence by soil-borne Bymovirus in barley and on density of the vector, Polymyxa graminis. Res. Plant Dis. 16: 115-120. (In Korean) 

  9. Park, J. C., Roh, T. W., Kim, J. G., Kim, H. M., So, I. Y. and Lee, K. J. 2007. Strain distinction and their distribution of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se on RAPD analysis in Korea. Korean J. Plant Resour. 20: 511-517. 

  10. You, Y. and Shirako, Y. 2013. Evaluation of host resistance to Barley yellow mosaic virus infection at the cellular and whole-plant levels. Plant Pathol. 62: 226-2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