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항 칠인정원림(七印亭園林)의 조영특성과 '괴목(槐木)' 식재(植栽)의 문화변용(文化變容)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and Acculturation of Planting of 'Guǐ(槐)' in Chirinjeong Wonlim of Pohang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5 no.3, 2017년, pp.22 - 31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한상엽 (우석대학교대학원 조경건설공학과) ,  김정문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전북대학교 휴양 및 경관계획연구소) ,  정푸름 (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포항 칠인정원림의 건립취지, 조형의도 그리고 변천과정 등을 살펴봄으로써 조선조 누정 조영의 시대적 감각과 조영의장을 조명하고, 원림내 회화나무와 느티나무 식재의 문화변용 현상을 살펴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2주의 괴목(槐木) 식재로 인해 쌍괴정(雙槐亭)이라는 또 다른 이름을 얻은 칠인정(七印亭)은 고려말 관료 출신의 장표(張彪)가 태종9년(1409) 초곡리 사일마을에 건립한 은거형 정자이며, 칠인정원림은 쌍계구곡(雙溪九曲)의 제3곡인 초곡(草谷)의 핵심이기도 하다. 칠인정원림은 사일마을 비보숲 초입의 진입부(進入部)와 칠인정 및 느티나무와 회화나무로 이루어진 정자부(亭子部) 그리고 방지방도(方池方島)의 지당과 배롱나무로 이루어진 지당부(池塘部)로 구분된다. 칠인정 기문 내용이나 아들과 사위 7인의 인수(印綬)를 쌍괴수(雙槐樹)에 내건 것에서 기인된 당호(堂號)로 볼 때, 초건 시 식재한 괴목과 그 이후 보식(補植)한 수종 또한 삼공(三公)의 지위와 학자수(學者樹)를 상징하는 회화나무(홰)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 뿐만 아니라 영조21년(1745) 보식한 수종이 현재 칠인정에 존치하는 느티나무(괴)라고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칠인정 담장 밖의 회화나무가 당시 식재한 그 수목임을 배제할 수 없다. 요컨대 느티나무와 함께 칠인정원림에 심겨진 3주의 회화나무는 인동장씨 후손들이 회화나무(홰)와 느티나무(괴)의 차이점을 인식하였음을 알리는 최소한의 징표가 아닐 수 없다. 회화나무가 국내에 들어오면서 한편으로 회화나무로, 다른 한편으로 느티나무로 인식되었고 점차 구입용이성, 성장속도, 장수목으로의 성장가능성에서 회화나무와 비교우위에 있는 느티나무를 회화나무 대용(代用)으로 혼용한 자발적 문화변용 현상을 칠인정원림의 괴목 식재사례를 통해 목도(目睹)하게 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historical sensitivity and design in the days of the Joseon era and examines the phenomenon of acculturation as revealed in the planting of Sophora japonica and Zelkova serrata in the garden grove by looking into the purpose underlying the construction,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본 학회에서 아직 다루지 않았던 전통정원 유적 칠인정원림의 정원 특성과 함께 칠인정의 당호의 유래 근거인 인수목 식재 사례를 통해 괴목의 문화변용을 다루고자 하였다. 그러나 지면 관계상 식재 수목의 문화변용을 충분히 논의하는 데는 부족함이 있었다.
  • 본 연구는 포항 칠인정의 건립취지, 조형양식 그리고 식재변용 등을 살펴봄으로써 조선 초기 누정 조영의 시대적 감각과 사상을 조명하며, 초기 식재 상태와 누정의 변화과정 속에 보식되면서 영향을 미친 식재 문화변용 현상을 통시적으로 이해 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항 칠인정은 무엇인가? 포항 칠인정(七印亭)은 ‘흥해의 두문동’이라 일컬어지는 장표(張彪, 1349~?)의 장구지소(杖屨之所)로서 조선 태종9년(1409)에 창건한 후, 정조21년(1797)에 중창하고 이후 여러 차례 중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는 유서 깊은 정원유적이다. 칠인정은 산간지역으로 이주해 갔던 재지사족(在地士族)들의 삶의 일면을 보여주는 정자로 원형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69호로 지정되어 있다.
칠인정은 왜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 되었는가? 포항 칠인정(七印亭)은 ‘흥해의 두문동’이라 일컬어지는 장표(張彪, 1349~?)의 장구지소(杖屨之所)로서 조선 태종9년(1409)에 창건한 후, 정조21년(1797)에 중창하고 이후 여러 차례 중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는 유서 깊은 정원유적이다. 칠인정은 산간지역으로 이주해 갔던 재지사족(在地士族)들의 삶의 일면을 보여주는 정자로 원형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69호로 지정되어 있다. 지금의 칠인정은 18세기 후반에 중수한 것이지만, 정자뿐만 아니라 지당, 주변 비보숲과 쌍계(雙溪) 등은 15세기 이후 전통정원의 원형과 향유 등에 따른 변모과정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http://www.
문화접변은 무엇을 초래하는가? com)[8]. 이는 단지 전파로 인하여 문화 요소가 추가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새로운 문화 요소의 등장을 초래하는데, 보통 장기간에 걸친 접촉은 양쪽 문화 모두의 변화를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http://www.cha.go.kr(문화재청) 

  2. Park, S. K.(2013). A Study on the Architectual Characteristics of Pavilion in the Area of Gyeongbuk in Chosun Dynasty. Graduate School of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 Master's Thesis. 

  3. Chung, D. O.(1978). On the From and Composition of the Artificial Ponds and Lakes in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Garden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6(1): 1001-1016. 

  4. Nam, K. H.(1860). Collection of Chiam's Works(癡庵先生文集) Record of Chirinjeong Pavilion(七印亭記) 

  5. Jang, S. Y.(1925). Collection of Youhyen's Works(遊軒先生文集) Repairing Record of Chirinjeong Pavilion(七印亭重修記) 

  6. Jang, S. K.(2012). Korean Translations of Collection of Igae's Works(耳溪先生文集).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 

  7. http://db.itkc.or.kr(한국고전번역원) 

  8. http://www.culturecontent.com(한국콘텐츠진흥원) 

  9. Kim J. H., H. J., Kim E. J. and Oh, S. R.(2012). Concept TocTock Terminology Dictionary(Social Side). Seoul Purungil Publisher. 

  10. Rho J. H., Suh, H. S., Choi, J. H and Han S. Y.(2016). A Study on the Culture Transformation about "Takyung-Takjok" in Traditional Landscape Ruin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4(1): 97-106. 

  11. Kang, P. G.(2016). Chinese Scholar Tree and Scholar Culture. Paju Munhakdongne Publishing Co. 

  12. http://mokpan.ugyo.net(한국학진흥원) 

  13. http://hanja.naver.com(네이버한자사전) 

  14. http://www.chis.go.kr(경상북도 문화재 정보화시스템) 

  15. www.indongjangssi.or.kr(인동장씨대종회) 

  16. http://www.kyongbuk.co.kr(경북일보) 

  17. Rho J. H.(2009). A Study on the Textuality of China's Wuyi-Gugok, the Origin of Gugok-Wonlim: Focus on the Tradition Process to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6): 66-80. 

  18. Book of Odes(詩經) Gamdang(甘棠) 

  19. Kang, P. G.(2015). The Recognition on Trees and Culture Transformation in China and Korea: Focusing on Sophora and Zelkova Tree. Daegu Sahak volume 118: 113-142. 

  20. Park, S. J.(2014). The Tree Story are Caved in History. Paju Gimmyoung Publisher: pp174-1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