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추 재배에 이용되는 농업용수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및 이화학성분 분석
Investigation of Microbiological and Physiochemical Quality for Irrigation Water used in Napa Cabbage Cultiv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2 no.5, 2017년, pp.396 - 403  

윤보현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김민경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국제기술협력과) ,  류진희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 ,  김원일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박병용 (국립농업과학원 기획조정과) ,  김현주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이승돈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  김세리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배추 주산단지 5지역을 대상으로 배추재배에 활용되는 농업용수를 각 지역의 수확 시기에 채취하여 위생지표세균(총대장균군, 대장균, 장구균)과 이화학 성분을 분석함으로써 농업용수의 수질의 오염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지하수 보다 지표수에서 위생지표세균이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지표수의 경우 총대장균군 1.96-4.96 log MPN/100 mL, 지하수의 경우 0-3.98 log MPN/100 mL 수준이었다. 장구균의 경우 지표수에서 95% (72/75), 지하수에서 22% (8/36) 빈도로 검출되었으며, 대장균의 경우 지표수에서 100% (72/75), 지하수에서 22% (8/36) 빈도로 검출되었다. 위생지표세균과 이화학성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지표수의 경우 대장균군과 대장균은 총인과 상관성을 보였으며, 장구균은 부유물질생물학적산소요구량에 상관성을 보였다. 지하수의 경우 위생지표세균은 부유물질과 화학적산소요구량에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엽채류 재배에 사용되는 농업용수의 미생물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ater quality for irrigation water used in Napa cabbage cultivation. The water samples were analyzed for physi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quality for a total of 111 samples including surface water (n = 75) and groundwater (n = 36) collected from five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배추 주산단지의 농업용수의 미생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위생지표세균(총대장균군, 대장균, 장구균)을 조사하였으며 이들 위생지표세균과 수질항목과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위생지표세균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수질인자의 특성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로 인해 식중독이 발생한 예시는? 하지만 김치는 제조 공정에 멸균과정이 없는 비살균 자연발효식품이기 때문에 충분히 발효가 되지 않으면 김치에 오염된 식중독세균을 제어하기가 어렵다1,5). 이러한 이유로 2008년, 2011년에는 Clostridium perfringens에 2012년에는 장응집성 Escherichia coli (enteroaggregative E. coli)에 2013년에는 장병원성 대장균(enteropathogenic E. coli)에 2014년에는 장독소원성 대장균(enterotoxigenic E. coli)에 의한 식중독이 발생하였다1). 김치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원재료의 안전성 확보가 가장 중요하며, 그 중에서도 김치 주요 원료인 배추의 안전성이 가장 중요하다.
김치란 무엇인가? 김치는 배추와 여러 부재료들이 어우러져 유산균에 의한 젖산발효작용을 통하여 독특한 맛과 영양을 지닌 한국의 전통적인 채소발효식품으로1) 2001년 국제식품규격(CODEX) 목록에 등록되었고, 2006년 ‘Health’에서 세계 5대 건강식품으로 선정 되어 전세계적으로 높은 관심을보이고 있다2,3). 또한 경제발전과 단체급식의 증가 등으로인하여 국내에서는 상품김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4).
김치 제조 시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은? 또한 경제발전과 단체급식의 증가 등으로인하여 국내에서는 상품김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4). 하지만 김치는 제조 공정에 멸균과정이 없는 비살균 자연발효식품이기 때문에 충분히 발효가 되지 않으면 김치에 오염된 식중독세균을 제어하기가 어렵다1,5). 이러한 이유로 2008년, 2011년에는 Clostridium perfringens에 2012년에는 장응집성 Escherichia coli (enteroaggregative E.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Lee H.W., Yoon S.R., Kim S.J., Lee H.M., Lee J.Y., Lee J.H., Kim S.H., Ha J.H.: Identification of microbial communities, with a focus on foodborne pathogens, during Kimchi manufacturing process using culture-independent and-dependent analyses. LWT-Food Sci. Technol., 81, 153-159 (2017). 

  2. Commision C.A.: Codex standard for Kimchi. Codex Stan 223, (2001). 

  3. Magagine U.H.: Available from http://eating.health.com.Updated Feb 1 (2008). 

  4. You J.H., Shin M.J., Choi S.K.: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selection attributes when purchasing Kimchi. J. East. Asian. Soc, Diet. Life, 18, 624-632 (2008). 

  5. Lee J.K., Jung D.W., Kim Y.J., Cha S.K., Lee M.K., Ahn B.H., Kwak N.S., Oh S.W.: Growth inhibitory effect of fermented Kimchi on food-borne pathogens. Food Sci. Biotechnol., 18, 12-17 (2009). 

  6. Beuchat L.R., Farber J.M., Garrett E.H., Harris L.J., Parish M.E., Suslow T.V., Busta F.F.: Standardization of a method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sanitizers in inactivating human pathogenic microorganisms on raw fruits and vegetables. J. Food Prot., 64, 1079-1084 (2001). 

  7. Choi Y.D., Lee C.W., Kim J.S., Chung D.H., Shim W.B.: Investigation of hazards from onions and their cultivation areas to establish a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model.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785-790 (2013). 

  8. Uyttendaele M., Jaykus L.A., Amoah P., Chiodini A., Cunliffe D., Jacxsens L., Holvoet K., Korsten L., Lau M., McClure P., Medema G., Sampers I., Jasti P.R.: Microbial hazards in irrigation water: Standards, norms, and testing to manage use of water in fresh produce primary production. Compr. Rev. Food Sci. Food Saf., 14, 336-356 (2015). 

  9. An Y.J., Lee W.M., Yoon C.G.: Evaluation of Korean water quality standards and suggestion of additional water parameters. Korean J. Limnol., 39, 285-295 (2006). 

  10. Mossel D.: Marker (index and indicator) organisms in food and drinking water. Semantics, ecology, taxonomy and enumeration. Antonie van Leeuwenhoek, 48, 609-611 (1983). 

  11. Report EFSA. The community summary report on trends and sources of zoonoses, zoonotic agents and food-borne outbreaks in the European Union in 2001. EFSA J., 12, 3547 (2014). 

  12. Hutchison M.L., Walters L.D., Morre T., Thomas D.J.I., Avery S.M.: Fate of pathogens present in livestock wastes spread onto fescue plots. Appl. Environ. Microbiol., 71, 691-696 (2005). 

  13. Canosa A., Pinilla G.: Bacteriological eutrophication indicators in four Colombian water bodies (South America). Lakes Reserv. Res. Manag., 4, 23-27 (1999). 

  14. Ramteke P., Bhattacharjee J., Pathak S., Kalra N.: Evaluation of coliforms as indicators of water quality in India. J. Appl. Microbiol., 72, 352-356 (1992). 

  15. Choi C.M., Yun S.G., Kim M.K., Kim J.H., Ko B.G., Park S.J., Ryu H.Y.: Correlation between ground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total coliforms in livestock farm. Korean J. Environ. Agric., 28, 86-91 (2009). 

  16. James J.: Overview of microbial hazards in fresh fruit and vegetables operations. Microbial hazard identification in fresh fruit and vegetables, John Wiley & Sons Inc., West Sussex, U.K., pp. 1-36 (2006). 

  17. Steele M., Odumeru J.: Irrigation water as source of foodborne pathogens on fruit and vegetables. J. food prot., 67, 2839-2849 (2004). 

  18. Canada C.A., Rudolph D.L., Waterloo Centre for Groundwater Research: Ontario farm groundwater quality survey. Summer 1992: [Ontario]: Agriculture Canada (1993). 

  19. Exner M.E., Spalding R.F.: Ground-water contamination and well construction in Southeast Nebraska. Groundwater, 23, 26-34 (1985). 

  20. Park H.S., Jung K.H.: Comparison between urban area and rural area for characteristics of ground water quality in Chungnam provine. J. Korean Soc. Environ. Adm., 7, 495-502 (2001). 

  21.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tandards for the growing, harvesting, packing, and holding of produce for human consumption. Fed Regist 80, 74353-74642 (2015). 

  22. Cabral J.P.: Water microbiology. Bacterial pathogens and water. Int. J. Env. Res. Pub. He., B, 3657-3703 (2010). 

  23. Unc A., Goss M.J.: Transport of bacteria from manure and protection of water resources. Appl. Soil Ecol., 25, 1-18 (2004). 

  24. Cabral J.P., Marques C.: Faecal coliform bacteria in Febros river (Northwest Portugal): temporal variation, correlation with water parameters, and species identification. Environ. Monit. Assess., 118, 21-36 (2006). 

  25. Touron A., Berthe T., Gargals G., Fournier M., Ratajczak M., Servais P., Petit F.: Assessment of faecal contamin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thogens and faecal bacterial indicators in an estuarine environment (Seine, France). Mar. Pollut. Bull., 54, 1441-1450 (2007). 

  26. Wilkes G., Edge T., Gannon V., Jokinen C., Lyautey E., Medeiros D., Neumann N., Ruecker N., Topp E., Lapen D.R.: Seasonal relationships among indicator bacteria, pathogenic bacteria, Cryptosporidium oocysts, Giardia cysts, and hydrological indices for surface waters within an agricultural landscape. Water Res., 43, 2209-2223 (2009). 

  27. Seo H.J., Kang Y.J., Min K.W., Lee K.S., Seo G.Y., Kim S.H., Paik K.J., Kim S.J.: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and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s in stream water and sewage effluent. Anal. Sci. Technol., 23, 36-44 (2010). 

  28. Shin Y.K.: Comparison of water quality between forested and agricultural subcatchments in Daegwallyong area. J. Korean Geogr. Soc., 39, 544-561 (2004). 

  29. Lim D.O., Lee S.H., Oh Y.T., Ji S.I., Lee H.C.: The specific plants, water quality and the use realities of reservoirs in Jeonju city - Osongjae, Gisijae, Sunggokjae, Gujujae, Seounjae, Hwanghakjae and Hacksojae. Pro. Kor. Soc. Env. Eco. Con., 22, 179-183 (2012). 

  30. Jo J.Y.: Water quality of agricultural groundwater in Western Coast area and Eastern Mountain Area of Jeollabuk-do. J. Appl. Biol. Chem., 54, 218-224 (2011). 

  31. Charron D.F., Thomas M.K., Waltner-Toews D., Aramini J.J., Edge T., Kent R.A., Maarouf A., Wilson J.: Vulnerability of waterborne diseases to climate change in Canada: a review. J. Toxicol. Environ. Health, Part A, 67, 1667-1677 (2004). 

  32. Sood A., Singh K.D., Pandey P., Sharma S.: Assessment of bacterial indicators and physicochemical parameters to investigate pollution status of Gangetic river system of Uttarakhand (India). Ecol. Indic., 8, 709-717 (2008). 

  33. Jin G., Englande A., Bradford H., Jeng H.W.: Comparison of E. coli, enterococci, and fecal coliform as indicators for brackish water quality assessment. Water Environ. Res., 76, 245-255 (2004). 

  34. Beck Y., Sohn J.: Studies on the effect of water quality parameters on total coliform concentration in sewage effluents. J. Kor. Soc. Wat. Qual., 22, 166-171 (2006). 

  35. McCoy W.F., Olson B.H.: Relationship among turbidity, particle counts and bacteriological quality within water distribution lines. Water Res., 20, 1023-1029 (1986). 

  36. Delpla I., Jung A.V., Baures E., Clement M., Thomas O.: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surface water quality in relation to drinking water production. Environ. Int., 35, 1225-1233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