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3 no.5, 2017년, pp.93 - 109
강현미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 박소윤 (동주대학교 유아교육과)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in order to increase the flourish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by examining pre-service teacher'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characteristics on flourish.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00 pre-service teach...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높을수록 나타나는 특징은? | 즉, 모든 발달의 결정적인 시기에 있는 영유아는 양육자에게 어떠한 지원을 받았는지에 따라 영유아의 성장과 발달이 달라질 수 있다. 유아교사가 행복감을 느낀다면 삶을 보다 긍정적으로 보고 직무에 보다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오재연, 남민우, 2016),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이 높아지며(곽희경, 2011; 이성아, 2014; 정다우리, 2013), 유아의 내적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양질의 교수자 역할이 가능하다(박유진, 2012). 이렇듯, 유아교사의 행복이 교육의 질 향상과 영유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Van Petegem, Creemers, Rossel, & Aelterman, 2005)이 되므로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과 유아 교사의 행복감을 지속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 |
영유아시기에 교사의 인성이 중요한 이유는? | 영유아는 인성형성과정에 있으며 발달 과정의 어느 시기보다 교사의 행동, 성격, 태도들을 모방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정명자, 2016). 이 시기 교사의 인성은 올바른 사회적 모델로 작용하기 때문에(박찬옥, 서동미, 엄은나, 2013) 교사가 올바른 인성을 함양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인성은 인간에 대한 사랑이 많고 깊은 인간애, 자기개발과 주도적인 성취를 가진 긍정적 자아개념, 자신과 다른 사람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하게 정서적 표현을 하며 이를 바탕으로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사회관계, 집단의 일원으로서 효과적으로 일하고 조직의 목적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도록 동기를 유발하는 기술인 직무수행, 창의적 성향과 유머, 위트와 같은 창의⋅인성을 포함하는 매우 포괄적인 범위라고 할 수 있다(전재선, 2011). | |
유아교사가 빈번히 스트레스를 받거나 정서적 소진을 경험하는 이유는? | 2015년 OECD에서 발표한 ‘삶의 질(How’s life)’보고서에 의하면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는 36개국 중 27위에 그쳤으며,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은 최하위 수준인 33위로 나타나(강현미, 황해익, 2016) 직장인의 행복지수가 낮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여러 직업군 중 특히 유아교사는 긴 근무시간, 저임금, 과도한 신체적이며 정신적인 업무요구, 다른 교직에 비해 낮은 사회적 인식, 학부모의 과도한 요구와 기대, 유치원과 어린이집 평가 인증 등 다양한 차원의 요구를 수행하는 현실 때문에(이경민, 박주연, 2015) 빈번히 스트레스를 받거나 정서적 소진을 경험한다(강지영, 2009; 권성민, 2011; 권혜진, 2008). 유아교사는 유아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존재이다. |
강선보, 박의수, 김귀성, 송순재, 정윤경, 김영래 등 (2008). 인성교육. 서울: 양서원.
강영하 (2012). 행복 연구가 교육에 주는 시사점. 초등교육연구, 25(2), 1-21.
강은주 (2017). 보육교사의 인성과 행복감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지영 (2009). 유치원교사의 역량강화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현미 (2016).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강현미, 황해익 (2016).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21(3), 87-116. doi:10.20437/KOAECE21-3-04
고연경, 장석경, 이정아 (2013). 예비유아교사의 효능감과 인성 및 행복감 간의 관계 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2(1), 19-34.
고영미, 유영의, 권혜진 (2017).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기본심리욕구, 내적 통제 소재, 학업적 자기 효능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7(1), 29-50. doi:10.18023/kjece.2017.37.1.002
곽희경 (2011).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구재선, 서은국 (2015). 청소년의 내재적 가치 지향과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 미래 행복의 관계 구조 분석. 청소년학연구, 22(10), 317-338.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2017).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에서 2017년 6월 12일 인출
권미나, 이진숙 (2015).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기본심리 욕구, 행복감과의 관계. 아동과 권리, 19(4), 589-610.
권성민 (2011). 유아교사에 대한 사회지지가 업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 및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313-333.
김미진, 황해익 (2015).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20(5), 65-94.
김민숙, 민정숙, 옥진선, 정영숙, 홍인숙 (2012). 상담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공감능력, 직무만족도, 상담 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상담심리치료학회지, 3(2), 1-19.
김병만, 김미진 (2016).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능력과 행복감의 관계. 생태유아교육연구, 15(4), 169-192.
김여흠, 이윤주 (2013). 대학생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불안, 공감, 사회적 기술, 분노 표현양식, 대인관계만족에 대한 구조 방정식 모델 검증. 상담학연구, 14(3), 1587-1604.
김요셉 (2009). 긍정적 자아개념과 자기신뢰감이 청소년기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주 (2007). 부모자녀관계와 자기결정성 요인들이 대학신입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1(3), 539-555.
김현주 (2016). 영상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0(6), 25-48.
노현종, 손원숙 (2014). 초등학생의 내, 외재적 생애목표와 기본심리욕구 및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1(2), 355-378.
류덕엽 (2014). 초등교사의 의사소통능력, 학교조직문화, 교사효능감 및 주관적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류미향, 김성숙 (2013). 교사자질로서 인간관계 능력에 관한 고찰: 예비유아교사를 중심으로. 육아지원연구, 8(2), 155-176.
문은식 (2015).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지지, 친구의 사회적지지, 기본심리욕구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29(4), 737-756. doi:10.17286/KJEP.2015.29.4.05
문지영 (2016).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 하위유형 분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태형 (2016). 예비유아교사의 미래지향목표 및 기본심리욕구가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5(1), 5-19. doi:10.17643/KJCE.2016.25.3.09
박유진 (2012).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진성 (2015).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행복감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1), 97-118.
박찬옥, 서동미, 엄은나 (2013). 유아사회교육. 파주: 정민사.
안도희 (2008). 자율성지지, 기본적 욕구,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5(5), 315-338.
엄은나 (2016).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과 자아탄력성, 행복감, 교사효능감의 관계.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1), 53-78.
엄은나, 전우경, 서동미 (2016). 유아교사 인성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과 자기평가. 유아교육학논집, 20(1), 73-95.
오재연, 남민우 (2016).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교직에 대한 태도, 다문화교수변인이 다문화교수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2(3), 41-60. doi:10.14698/kjece.2016.12.03.041
유신복, 이명숙 (2016). 대학생용 학교기본심리욕구 척도의 타당화. 중등교육연구, 64(1), 131-158.
이경민, 박주연 (2015). 유아교사의 행복, 소진, 이직의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5(6), 33-48.
이명숙 (2016). 메타인지능력이 대학생활적응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학교기본심리욕구의 매개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 779-798.
이명희, 김아영 (2008).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한국형 기본심리욕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 사회 및 성격, 22(4), 157-174.
이성아 (2014).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윤희 (2009). 직장인의 직무만족과 자아정체감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재선, 조아미 (2006). 청소년의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이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3(6), 79-100.
이현수 (2008). 긍정적 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장희선 (2017). 영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2(1), 303-323. doi:10.20437/KOAECE22-1-12
전대수 (2012).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통제, 대인관계가 학교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재선 (2011). 유아교사 인성 자기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전재선 (2013).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보육학회지, 13(4), 305-327.
정다우리 (2013).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심사 및 교사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81, 49-70.
정명자 (2016). 유아교사의 인성 및 교사효능감과 행복감 간의 관계 분석.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벽 (2016). 인성이 실력이다. 서울: 해냄.
채영문, 곽수진 (2013). 대학생의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공감능력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생활과학학회지, 22(6), 599-613.
한송이, 장석진 (2015).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공격성의 관계에서 아동이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4), 459-479.
황선영 (2016). 유아교사 인성이 교사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0(6), 5-24.
황해익 (2016).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몰입, 향유신념, 직무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생태유아교육연구, 15(1), 135-159.
황해익, 강현미, 탁정화 (2015).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낙관성, 희망, 정서성 간의 구조관계 분석. 유아교육연구, 35(3). 365-386.
황해익, 탁정화 (2014).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향유 신념의 조절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3(4), 153-177.
최윤정, 이경민 (2012). 유아교사의 행복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유아교육연구, 32(1), 395-415.
Ben-Shahar, T. (2008). Happier: Learn the secrets to daily joy and lasting fulfillment, 해피어(노혜숙 옮김). 서울: 위즈덤하우스(원판 2003).
Butler, J., & Kern, M. L. (2016). The PERMA-Profiler: A Brief Multidimensional measure of flouris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Wellbeing, 6(3), 1-48. doi:10.5502/ijw.v6i3.526
Deci, E. L., & Ryan, R. M. (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4), 227-268.
Deci, E. L., & Ryan, R. M. (2002).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N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Diener, E. (1998).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on the structure of emo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6(5), 803-804. doi:apa.org/journals/psp/76/5/803
Hoggard, L. (2006). How to be happy, 행복(이경아 옮김). 서울: 예담(원판 2005).
Kasser, V., & Ryan, R. M. (1999). The relation of psychological needs for autonomy and relatedness to vitality, well being, and mortality in s nursing hom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9(5), 935-954. doi: 10.1111/j.1559-1816.1999.tb00133
Lopez, S. J., & Snyder, C. R. (2008). Positive psychological assesment.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Lyubomirsky, S. (2008). The how of happiness: A scientific approach to getting the life you want,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오혜경 옮김). 서울: 지식노마드(원판 2007).
Minor, L. C., Onwuegbuzie, A. J., Witcher, A. E., & James, T. L. (2002).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nd their perceptions of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teach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6(2), 116-127.
Reeve, J. (2014). Understanding Motivation and Emotion. NJ: John, Wiley & Sons.
Reis, H. T., Sheldon, K. M., Gable, S. L., Roscoe, J., & Ryan, R. M. (2000). Daily well-being: The role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6(4), 419-435. doi: abs/10.1177/0146167200266002
Ryan, R. M., & Deci, E. L. (2002). Overview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 Organismic Dialectical Perspective.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pp. 3-33). NY: The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Ryan, R., & Grolnick, W. (1986). Origins and pawns in the classroom: self-report and projective assessment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children's percep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0(3) 550-558. doi: apa.org/journals/psp/50/3/550
Seligman, M. (2011).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NY: Free press.
Seligman, M. E. P., Park, N., & Peterson, C. (2004). The Values In Action (VIA) classification of character strengths. Ricerche di Psicologia, 27(1), 63-78.
Van Petegem, K., Creemers, B. P., Rossel, Y., & Aelterman, A. (2005).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characteristics, interpersonal teacher behavior and teacher welling. The Journal of Classroom Interaction, 40(2), 34-43.
Wright, B. A., & Lopez, S. J. (2002). Widening the diagnostic focus: A case for including human stre ngths and environmental resources.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 26-44). NY: Oxford University Press. doi: 10.1093/oxfordhb/9780195187243.013.0008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