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초진간호업무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riage Nursing Work in Emergency Room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1 no.4, 2015년, pp.477 - 489  

유경희 (전남대학교 병원, 전남대학교 대학원) ,  장금성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전남대학교 간호과학 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to assess emergency room nurses'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triage nursing. Methods: The instrument was developed through the stages of conceptual construction,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ing. For the valid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응급실 초진간호업무 상황에 적합한 지식과 수행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실제 응급실 간호사에게 적용가능한지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문헌고찰과 심층 면담 내용분석 결과를 검토하여 초진간호업무의 지식과 수행 도구를 개발하여 실제로 간호사들에게 적용해보고 이 결과를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 본 연구는 응급실 초진 간호업무의 특성을 반영하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지식과 수행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도구 개발을 위해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 고찰로 개념을 도출하고 심층 면담내용 분석결과와 통합하여 예비문항을 개발한 후,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최종 문항을 선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 본 연구는 응급실 초진간호업무 지식과 수행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크게 두 단계로 구분되어 진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 초진간호업무 지식과 수행 측정 도구의 영역과 항목을 도출하여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초진간호업무 내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응급실 초진 간호사(triage nurse)의 초진 간호업무 지식과 수행 도구를 개발하여 초진 간호사의 초진 간호업무능력이 향상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초진간호업무 수행을 위한 좀 더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위한 근거 마련에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등도 분류란 무엇인가? , 2004; Martin, 2012; Travers & Lee, 2006). 중등도 분류(triage)란 응급실 내원 환자의 최소한의 정보를 이용해 환자상태와 중증도를 사정하여 이를 통하여 우선 순위를 정하고 적절한 장소에 배정하여 한정된 자원 안에서 신속하게 의학적 치료를 제공하는 과정이다(Iserson & Moskop, 2007;Robertson-Steel, 2006).
책임 간호사는 현재 어떻게 근무하고 있는가? 그리고 책임 간호사는 응급실내의 전반적인 업무를 조정해주는 역할로서 초진 간호사와는 구분되는 의미이나 응급실의 규모나 인력면의 문제로 인해 책임 간호사가 초진간호업무를 수행하는 경우도 적지 않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2006; Lee, 2008; Suh& Kim, 1998; Suk, 2007). 더구나 다른 일반 간호사와 구분되어 일정하게 정해진 간호사에 의해 중증도 분류업무를 포함한 초진간호업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근무별 구성원에 따라 다른 업무를 수행하고 있을 뿐 아니라(Lee, 2008) 구체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초진간호업무 내용을 인식하지 못한 채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응급실 신규 간호사에 대한 교육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초진 간호사(triage nurse)에 대한 교육은 체계화된 교육 프로그램 없이 경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거나 2-3시간 가량의 단기 교육만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대 사회는 어떤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가? 현대 사회는 인구의 노령화로 인한 중증 질환 증가, 산업화로 인한 안전사고 증가,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한 심 맥관 질환 증가와 대형 사고와 재해로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1989년 전 국민 의료보험의 시행 후 응급의료센터 이용이 용이해 지면서 응급의료센터 내원이 꾸준히 증가하여 2002년에 비해 2011년 69%정도 증가하였으며 총 응급실 이용자 중 비 응급환자의 비율은 거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NEMC],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 M. H. (1998). Development of an Nursing Assessment Tool for Emergency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 419-437. 

  2. Chung, J. Y. (2005). An exploration of accident and emergency nurse experiences of triage decision making in Hong Kong. Accident and Emergency Nursing, 13, 206-213. 

  3. Do, B. S. (2009). Appropriate use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 a solution for emergency department overcrowding in large hospital in Korea.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52, 1044-1046. 

  4. Elder, R., Neal, C., Davis, B. A., Almes, E., Whitledge, L., Littlepage, N., et al. (2004). Patient satisfaction with triage nursing in a rural hospital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19(3), 263-268. 

  5. Ganley, L., & Gloster, A. S. (2011). An overview of triag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Review]. Nursing Standard, 26(12), 49-56. 

  6. Hamm, J. R. (2008). How to overcome triage barrier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4(3), 241-242. http://dx.doi.org/10.1016/j.jen.2008.02.023 

  7. Han, S. S., & Lee, S. C. (2004). Statistical analysis of nursing & health, Seoul: Hyun-moonsa. 

  8. Iserson, K. V., & Moskop, J. C. (2007). Triage in medicine, part I: concept, history, and types.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49(3), 275-281. 

  9. Kim, B. J., Lee, E. N., Kang, K. H., Kim, S. S., Kim, S. A., Sung, Y. H., et al. (2006). A study of job analysis of the emergency room nurs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2(1), 81-95. 

  10. Kim, E. J. (1998). Work analysis for the role of the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 93-103. 

  11. Kim, G. J. (2006). Analysis of nursing performance of emergency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hung-Ang University, Seoul. 

  12. Kim, G. J., Lee, H. Y., & Kim, K. B. (1996).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the emergency clinical nurses specialis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 194-222. 

  13. Kim, K. H., & Kim, H. Y. (1995). The analysis of emergency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6(2), 381-387. 

  14. Kim, M. H. (2004). Actual condition of caring emergency department nurses work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Hanyang University, Seoul. 

  15. Lee, E. N., Kim, B. J., Kang, K. H., Kim, S. S., & Kim, Y. S. (2008). Development of an in-service education program for emergency Room nurses according to their career ladde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1), 99-111. 

  16. Lee, G. K. (1997). A study on the triage system of general hosipital in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7. Lee, K. S. (2012). Research about chief compliant and principal diagnosis of patients who visited the university Hospital emergency room.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10, 347-352. 

  18. Lee, Y. M. (2008). Activities,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triage nurses working in university affilataed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Yonsei University, Seoul. 

  19. Martin, M. (2012). A pivot nurse at triage.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8(1), 104-105. http://dx.doi.org/10.1016/j.jen.2011.09.021 

  20. Montejano, A. C., & Visser, L. S. (2010). What is a triage nurse?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6(1), 85-86. http://dx.doi.org/10.1016/j.jen.2009.07.010 

  21. National Medical Center, Institute for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2, May). Statistical year book 2011. Retrieved September 9, 2013, from Web site : http://www.nemc.or.kr/egen/inf.bor12.do?flag4&strid68448&pageflag2 

  22. Park, J. H., Sung, Y. H., Song, M. S., Cho, J. S., & Sim, W. H. (2000). The classification of standard nursing activit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6), 1411-1426. 

  23. Read S., George, S., Williams, B., Glasgow, J., & Potter, T. (1992). Piloting an evaluation of triag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9(3), 275-288. 

  24. Robertson-Steel, I. (2006). Evolution of triage systems. Emergency Medicine Journal, 23(2), 154-155. http://dx.doi.org/10.1136/emj.2005.030270 

  25. Seo, D. W., Lim, K. S., Moon, Y. S., Shon, Y. D., Cho, M. W., & Kim, W. (2004). Effect of the New Emergency Fee Schedule on the Pattern of Emergency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5(4), 227-232. 

  26. Suh, H. W., & Kim, K. J. (1998). A study of triage nurses system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0(1), 184-197. 

  27. Sulfaro, S. (2009). Charting the course for triage decision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5(3), 268-269. http://dx.doi.org/10.1016/j.jen.2009.01.003 

  28. Suk, M. S. (2007).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on triage nurs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young Buk University, Daegu. 

  29. Travers, J. P., & Lee, F. C. (2006). Avoiding prolonged waiting time during busy period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is there a role for the senior emergency physician in triage? Europ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13(6), 342-348. 

  30. Yoo, D. K., & Kwon, Y. S. (1999). SPSS-WIN 8. 0 for statistics analysis. Seoul: Keehanja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