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와송(Orostachys japonicus A. Berger)의 산화방지 효과와 산화스트레스로부터의 신경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및 주요 생리활성물질을 분석하였다. 와송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thylacetate fraction from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extract: EFOJ)은 다른 분획물보다 높은 총 페놀화합물 함량을 나타냈으며, 와송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FOJ)로 ABTS, DPPH 라디칼 소거 활성FRAP 검정 및 지방질과산화물 억제력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수한 라디칼 소거 활성, 총산화방지력과 과산화 지방질 생성물의 억제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와송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FOJ)은 과산화수소로 인한 신경세포 사멸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향상시켰으며, 신경 세포막 손상을 보호하는 능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생리 활성을 가진 와송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FOJ)의 주요물질을 분석하기 위하여 $LC-MS^e$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생리활성 물질은 퀘세틴 배당체와 캠페롤 배당체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와송 추출물은 우수한 산화방지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통해 퇴행성 신경질환과 같은 질병을 예방 할 수 있는 건강기능성식품의 천연산화방지제 소재로써 고부가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neuroprotective effect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from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extract (EFOJ) and its main constituent compounds. Among all fractions,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phenolics was found in EFOJ. The antioxidant act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반해, 와송의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의 보호효과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와송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의 in vitro 산화방지 활성 및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검증하고,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사중극 비행시간 질량 분광법(UPLC-QTOF/MS)을 이용하여 주요 생리활성 물질 분석을 통해서 와송 추출물의 고부가 자연 산화방지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뇌 조직은 뇌신경세포의 신호전달 기능으로 인해 높은 함량의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한 조직일뿐만 아니라 낮은 함량의 체내 산화방지 효소를 가지고 있어 활성 산소종의 존재에 매우 취약한 부위이다(2). 본 연구에서는 와송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FOJ)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지방 질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ICR 쥐에서 적출한 뇌 조직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Fig. 5). 와송 아세트 산에틸 분획물(EFOJ)의 1,000 μg/mL 농도에서 70.
  • 본 연구에서는 와송(Orostachys japonicus A. Berger)의 산화방지 효과와 산화스트레스로부터의 신경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및 주요 생리활성물질을 분석하였다. 와송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thylacetate fraction from Orostachys japonicus 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잉 생성된 활성 산소종이 일으키는 문제점은? 적정 량의 활성 산소종은 생체 내에서 세포내 신호전달 물질로 작용함 으로써, 미토콘드리아 내의 전자전달계 및 백혈구 세포의 활성화 등 세포기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2). 반면, 과잉 생성된 활성 산소종은 생체 내의 산화방지 균형을 무너뜨림 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를 야기한다. 활성산소의 독성이 세포 구성성분들인 지방질, 단백질, 당 및 DNA 등을 비선택적, 비가역적으로 손상시켜 암을 비롯하여 뇌졸중, 알츠하이머병 등과 같은 뇌질환과 심장질환, 동맥경화, 염증 및 자가면역질환 등의 각종 질병 및 노화를 일으킬 수 있다(3).
활성 산소종의 긍정적 역할은? 인체에서 산소를 소비하는 과정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부산물인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 초과산화음이온(superoxide anion, O2−), 하이드록실라디칼(hydroxyl radical, OH') 등과 같은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생체 내에서의 높은 반응성으로 인하여 독성을 유발한다(1). 적정 량의 활성 산소종은 생체 내에서 세포내 신호전달 물질로 작용함 으로써, 미토콘드리아 내의 전자전달계 및 백혈구 세포의 활성화 등 세포기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2). 반면, 과잉 생성된 활성 산소종은 생체 내의 산화방지 균형을 무너뜨림 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를 야기한다.
와송에 있는 약리적 성분은? Berger, 瓦松)은 둥근바위솔이라 하며 일명 암송 및 옥송 등으로 불리는 돌나물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 산 위의 바위에서 자라며 민간에서는 와송의 뿌리를 제거한 전초를 건조하여 약용으로 사용해 왔다(6). 트리터페노이드(triterpenoid), 캠페롤(kaempferol), 퀘세틴(quercetin) 및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등 다양한 약리적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7), 산화방지 효과(6), 항염증효과(8) 및 항당뇨(9)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많이 보고되었다. 이에 반해, 와송의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의 보호효과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Fiers W, Beyaert R, Declercq W, Vandenabeele P. More than one way to die: Apoptosis and necrosis and reactive oxygen damage. Oncogene 18: 7719-7730 (1999) 

  2. Benzi G, Moretti A. Age-and peroxidative stress-related modifications of the cerebral enzymatic activities linked to mitochondria and the glutathione system. Free Radic. Biol. Med. 19: 77-101 (1995) 

  3. Valko M, Leibfritz D, Moncol J, Cronin MTD, Mazur M, Telser J.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 44-84 (2007) 

  4. Limon-Pacheco J, Gonsebatt ME. The role of antioxidants and antioxidant-related enzymes in protective responses to environmentally induced oxidative stress. Mutat. Res. Genet. Toxicol. Environ. Mutagen. 674: 137-147 (2009) 

  5. Roy MK, Juneja LR, Isobe S, Tsushida T. Steam processed broccoli (Brassica oleracea)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in chemical and cellular assay systems. Food Chem. 114: 263-269 (2009) 

  6. Jin DH, Kim HS, Seong JH, Chung HS. Comparison of total pheno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extracts. J. Environ. Sci. Int. 25: 695-703 (2016) 

  7. Choi SY, Kim JG, Sung NJ.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NDMA formation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 148-156 (2008) 

  8. Lee HS, Ryu DS, Lee GS, Lee DS. Anti-inflammatory effects of dichloromethane fraction from Orostachys japonicus in RAW 264.7 cells: Suppression of NF-B activation and MAPK signaling. J. Ethnopharmacol. 140: 271-276 (2012) 

  9. Lee SJ, Shin JH, Ju JC, Kang SK, Sung NJ. Hypoglycemic and hypolipidemic effects of Orostachys japonicus with medicinal herb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587-594 (2013) 

  10. Kim JM, Park SK, Guo TJ, Kang JY, Ha JS, Lee DS, Kwon OJ, Lee U, Heo HJ.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 of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against high glucose-induced oxidative stres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 938-947 (2016) 

  11. Chang ST, Wu JH, Wang SY, Kang PL, Yang NS, Shyur LF.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Acacia confusa bark and heartwood. J. Agr. Food Chem. 49: 3420-3424 (2001) 

  12.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999) 

  13. Szabo MR, Idioiu C, Chambre D, Lupea AX. Improved DPPH determination for antioxidant activity spectrophotometric assay. Chem. Pap. 61: 214-216 (2007) 

  14. Benzie IFF, Strain JJ.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1996) 

  15. Lovell MA, Xie C, Markesbery WR. Acrolein is increased in Alzheimer' disease brain and is toxic to primary hippocampal cultures. Neurobiol. Aging 22: 187-194 (2001) 

  16. Schieber M, Chandel NS. ROS function in redox signaling and oxidative stress. Curr. Biol. 24: 453-462 (2014) 

  17. Heo HJ, Cho HY, Hong BS, Kim HK, Kim EK, Kim BG, Shin DH. Protective effect of 4',5-dihydroxy-3',6,7-trimethoxyflavone from Artemisia asiatica against A-induced oxidative stress in PC12 cells. Amyloid 8: 194-201 (2001) 

  18. Zhao B. Natural antioxidants protect neurons in Alzheimer's disease and Parkinson's disease. Neurochem. Res. 34: 630-638 (2009) 

  19. Berridge MV, Tan AS. Characterization of the Cellular Reduction of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subcellular localization, substrate dependence, and involvement of mitochondrial electron transport in MTT reduction. Arch. Biochem. Biophys. 303: 474-482 (1993) 

  20. Korzeniewski C, Callewaert DM. An enzyme-release assay for natural cytotoxicity. J. Immunol. Methods 64: 313-320 (1983) 

  21. Felipe DF, Brambilla LZS, Porto C, Pilau EJ, Cortez DAG. Phytochemical analysis of Pfaffia glomerata inflorescences by LCESI-MS/MS. Molecules 19: 15720-15734 (2014) 

  22. Zhang L, Zhu L, Wanga Y, Jiang Z, Chai X, Zhu Y, Gao X, Qi A. Characterization and quantification of major constituents of Xue Fu Zhu Yu by UPLC-DAD-MS/MS. J. Pharm. Biomed. Anal. 62: 203-209 (2012) 

  23. Farag MA, Sakna ST, El-fiky NM, Shabana MM, Wessjohann LA.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evaluation of eight Bauhinia L. species from Egypt using UHPLC-PDA--qTOF-MS and chemometrics. Phytochem. 119: 41-50 (2015) 

  24. Liao SG, Zhang LJ, Sun F, Wang Z, He X, Wang AM, Li YZ, Huang Y, Lan YY, Zhang BL, Wang YL.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phenolics in Polygonum capitatum by ultra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photodiode array detection and tandem mass spectrometry. Phytochem. Anal. 24: 556-568 (2013) 

  25. Lee JH, Lee SJ, Park SM, Kim HK, Jeong WY, Choi JY, Sung NJ, Lee WS, Lim CS, Kim GS, Shin SC. Characterisation of flavonoids in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using HPLC-MS/MS: Contribution to the overall antioxidant effect. Food Chem. 124: 1627-1633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